한국기업 220개사, 베트남 유통바이어 1000개사와 상담
 
아세안 한류의 중심이자 인구 1억 명, 평균나이 32.5세의 젊은 국가 베트남이 선진국을 대체할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나라 프리미엄 소비재의 베트남 시장 공략을 위한 전시회가 성황리에 개막했다.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는 5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베트남 호치민 SECC(Saigo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전시장에서 ‘2024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시회는 올해로 12회째를 맞았으며,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강원‧인천‧전북‧제주 등 4개 지자체가 협력해 총 220개 국내 소비재 기업이 참가했다. 
 
베트남에서는 3400여 개 마트를 운영 중인 최대 유통기업 윈커머스(Win Commerce–Masan Group)그룹과 베트남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티키(TIKI Company) 등 대형 유통바이어 1000여 개사가 전시장을 찾아 2500여 건의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상담회는 바이어 사전매칭 서비스를 제공해, 참가기업들이 현지에서 사전에 매칭된 바이어를 만나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 베트남뿐만 아니라 태국, 캄보디아 등 아세안 지역 바이어 150여 개사를 초청하고 우리나라 참가기업들과의 1대1 수출상담을 주선했다.
 
지난해 참가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시 참가성과 설문조사’에 따르면, 참가기업의 30% 이상이 전시 참가 6개월 이내에 한국 공장실사, 테스트용 샘플 주문수령, 초도 수출계약 체결 등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했다고 응답했다.
 
작년 본 전시회에 참가한 강원 소재 H사는 무역협회가 사전 매칭한 바이어와 상담 후 200만 달러 상당의 수출계약을 현장에서 체결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시장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함께하는 ‘2024년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베트남 판매 라이선스를 보유한 기업들의 판촉 공간인 ‘그레이트세일존(Great Sale Zone)’과 한류 콘텐츠 상품이 포함된 ‘K-라이프스타일 홍보관(K-Lifestyle Zone in Vietnam)’ 등 다채로운 전시 공간도 마련됐다. 
 
아울러 베트남 한류에 힘입어 유망 뷰티 중소기업의 수출판로 개척을 지원하기 위한 ‘K-뷰티 OED·ODM 특별관’도 신설됐다.
 
이인호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전시회 환영 리셉션 축사에서 “도시화율과 중산층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베트남의 소비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인구 1억 명, 평균연령 32.5세의 성장하는 소비시장”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호치민시는 1인당 GDP가 베트남 전체 1인당 GDP의 1.5배에 달하는 구매력이 큰 도시로, 무역협회는 베트남과 호치민시의 소비시장 잠재력을 내다보고 2013년부터 꾸준히 전시상담회를 개최해 왔다”며 “앞으로도 베트남을 비롯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수출시장을 발굴해 국내 기업들의 시장 진출 확대에 도움이 되는 사업들을 시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진=한국무역협회 제공]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는 5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베트남 호치민 SECC(Saigo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전시장에서 ‘2024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2 베트남 내수 회복 kimswed 11 2024.06.03
» 1억 인구 공략…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kimswed 12 2024.06.01
360 베트남 시장을 사수하라 kimswed 15 2024.05.23
359 K-푸드 ‘전성시대 kimswed 18 2024.05.10
358 반도체 허브’로 도약하는 베트남 kimswed 30 2024.04.13
357 베트남, 소셜커머스 통한 전자상거래 급성장 kimswed 24 2024.03.27
356 쇼피코리아 “올 들어 베트남 내 K-제품 주문 4배 증가 kimswed 34 2024.03.22
355 베트남 롯데마트와 1대1 수출상담 kimswed 31 2024.03.13
354 베트남판 ‘고비즈코리아’ 생긴다 kimswed 32 2024.03.10
353 베트남, 섬유봉제업 불황 탈출 대책 kimswed 42 2024.02.29
352 베트남 가성비 kimswed 75 2024.01.18
351 베트남 구조조정 kimswed 90 2024.01.04
350 베트남 트렌드 이동 kimswed 84 2023.12.21
349 베트남 수출 회복 kimswed 235 2023.11.19
348 베트남 마케팅 비용 kimswed 109 2023.10.29
347 '쇼피 베트남'에서 K-상품을 팔아볼까 kimswed 83 2023.10.27
346 베트남 유통 트렌드 kimswed 79 2023.10.15
345 K-스낵 '현지화 전략'해외서 더 잘 나간다 kimswed 91 2023.10.06
344 베트남 쇼핑몰 kimswed 75 2023.09.28
343 국내외 사회공헌활동으로 미래세대 꿈 후원 kimswed 50 2023.09.28
342 베트남 시장 진출 FTA 활용·인증 kimswed 61 2023.09.23
341 베트남 생태계 시장 kimswed 65 2023.09.14
340 베트남 회복 징후 kimswed 52 2023.08.31
339 베트남 통신(294) 젊은 중산층 kimswed 55 2023.08.17
338 베트남 통신(293) 소매업 회복 kimswed 89 2023.08.03
337 베트남 통신(292) 소비자 신뢰도 kimswed 104 2023.07.25
336 베트남 통신(291) 시장 수요 kimswed 98 2023.07.25
335 베트남 통신(290) 다중 유통채널 kimswed 102 2023.07.04
334 베트남, 작년과 비교되는 올해 소비 트렌드 kimswed 91 2023.06.26
333 베트남 통신(289) 변화하는 소비패턴 kimswed 66 202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