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 비즈니스 알쓸신잡

kimswed 2019.04.15 06:17 조회 수 : 196

extra_vars1  
extra_vars2  
틈새시장 노린다면 성공 가능성 높아

 

 

기본정보

국명

카자흐스탄(Republic of Kazakhstan)

인구

18376200명 (2018 기준)

면적

2724900㎦ (2018 기준)

수도

아스타나(Astana)

언어

카자흐어(러시아어는 공용어)

화폐

텡게(Tenge)

종교

이슬람교러시아정교(국교는 없음)

민족

카자흐인(65.5%), 러시아인(21.5%), 우즈벡인(3.0%), 우크라이나인(1.8%), 위구르인(1.4%), 타타르인(1.2%), 독일인(1.1%) 등 다민족국가

한민족(고려인)은 약 10만 명으로 0.6%(8번째) - 2018년 기준

자료원카자흐스탄 통계청 등

 

카자흐스탄 인구는 2018년 기준 약 1900만 명으로 러시아나 우즈베키스탄 대비 규모가 작다그러나 1인당 GDP는 8000달러를 웃돌고 소득 수준 대비 소비가 커 소비시장으로서 잠재력이 크다아울러러시아와 달리 저출산 문제가 없다는 점, 10대와 20대 인구가 많다는 점국민들의 소득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카자흐스탄의 시장잠재력은 매우 커 보인다

 

특히 현지인들은 저축의 개념이 크게 없다소유한 물품의 가치에 따라 사회적 위상이 평가된다고 여겨 소득수준에 비해 고가의 제품(자동차휴대폰 등)을 구매하고자 대출을 하기도 한다. TV, 컴퓨터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구입할 때도 대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은행을 신뢰하지 않아 현금을 집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으며미래를 준비하기보다는 현재를 즐기자는 마인드로 소득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상품 이미지는 한국 제품은 고급제품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주로 전자제품에서 한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굉장히 높다백색가전은 주로 LG가 높은 점유율을 취하고 있으며휴대전화나 최신기기는 삼성이 높은 점유율을 꿰차고 있다

 

또한 기존 유럽이나 일본의 제품이 잠식하고 있던 시장에서 점차 한국기업의 제품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추세다기존 전자제품과 같은 고가품에서 공산품식품까지 점차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실제로 한국기업과 카자흐스탄 기업이 협력해 내놓은 식품이 대형 할인마트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아이스크림과자류음료건강식품으로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 및 한국 여성의 화장법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졌다현재 카자흐스탄의 수도에 있는 최대 쇼핑몰 메가 센터’, ‘도스틱 플라자’ 등에 네이처리퍼블릭미샤더샘 등의 한국 화장품 매장이 입점해 있다이외에도 시내 곳곳에 한국 화장품매장이 많으며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화장품들도 판매되고 있다.

 

한편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은 카자흐스탄의 특성상 유럽이나 중국일본에서 대량으로 수입되고 있는 제품을 피해 진출한다면 성공가능성이 큰 시장이라고 판단된다카자흐스탄의 틈새시장을 노려 성공적으로 진출한 한국 기업으로는 삼광글라스를 들 수 있다

 

삼광글라스는 2013년 카자흐스탄 수출에 성공했다당시 카자흐스탄은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격 우선의 풍토에서 품질을 중시하는 풍토로 변화하는 시점이었다자연스레 건강에 대한 인식도 높아졌으나 플라스틱용기의 유해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삼광글라스는 지금도 KOTRA 알마티 무역관의 지사화 사업에 참여해 지속적으로 수출 향상에 노력하고 있으며현지 광고와 바이어와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유리 용기의 필요성과 현지 시장에서의 적합성을 알리고 있다현지 유통업자들과 현지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경동나비엔도 대표적인 카자흐스탄 진출 성공 기업이다경동나비엔은 자체 보일러 고급기술을 바탕으로 2013년 카자흐스탄 보일러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기존 석탄에 의존하던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겨울철 난방을 조금씩 보일러 방식으로 전환시키며 고질적인 겨울철 대기오염을 완화시켰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이러한 기세를 몰아 2013년 5월에는 한국 정부의 우수한 기업이나 우수 기술의 수출 확대를 목적으로 진행되는 월드 챔프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CIS 5개국을 대상으로 로드쇼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9 (주)서치라이트 에이치앤비 제주 해마로 K뷰티 열풍 이끈다 kimswed 239 2019.04.19
188 (주) 앨리스 마샤 수출, 두드려라 혼자가 아니다 kimswed 210 2019.04.18
187 콜롬비아 : 비즈니스 알쓸신잡 kimswed 236 2019.04.16
» 카자흐스탄 : 비즈니스 알쓸신잡 kimswed 196 2019.04.15
185 인터넷 해외마케팅 실전 매뉴얼 kimswed 163 2019.04.14
184 중국 영유아 시장, 가성비·프리미엄 아닌 ‘틈새’가 답 kimswed 160 2019.04.13
183 중국에서 돈을 벌어도 못 가져 온다고 하던데요? kimswed 968 2019.04.12
182 코스본 전자무역으로 신뢰를 쌓는 8가지 비결 kimswed 268 2019.04.10
181 차이나 비즈니스 외상투자기업 vs 외국기업 kimswed 501 2019.04.02
180 국제기계공구]펀(FUN)하지만 뻔하지 않을 무역 kimswed 178 2019.04.01
179 더테스트키친 수출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kimswed 245 2019.03.30
178 파키스탄, 성분 좋은 한국화장품 인기 kimswed 245 2019.03.29
177 MWC 200% 활용하기 kimswed 163 2019.03.28
176 성진에스앤에프㈜] 100만 불 수출 kimswed 248 2019.03.26
175 ㈜엔앤피테크놀로지즈 수출 및 수입 업무 kimswed 181 2019.03.25
174 케미스타인터내셔널 kimswed 193 2019.03.24
173 강원대학교 GTEP 시작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시작되지 않는다 kimswed 208 2019.03.21
172 광주대학교 GTEP 신뢰가 쌓이면 기회가 온다 kimswed 185 2019.03.20
171 ㈜인포스 생사를 거는세일즈맨 정신 kimswed 179 2019.03.19
170 중국 조인트벤처 설립, 모르면 당한다 kimswed 209 2019.03.17
169 ㈜엑스컴퍼니 kimswed 309 2019.03.14
168 농업회사법인 고마미지㈜ kimswed 486 2019.03.12
167 온인터내셔널 kimswed 216 2019.03.11
166 중국 식품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방법 kimswed 154 2019.03.08
165 중국어의 함정 kimswed 167 2019.03.05
164 모잠비크 시장 kimswed 143 2019.03.04
163 중국 스포츠용품업계 kimswed 159 2019.03.04
162 중국 비즈니스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 kimswed 140 2019.02.28
161 우크라이나 소비 트렌드 변화 kimswed 174 2019.02.27
160 중국 소비성향으로 본 고급 소비재 시장 kimswed 184 2019.02.26
159 중국에서는 성질 급한 사람이 진다 kimswed 161 2019.02.25
158 상기하자 ‘동아시아 국제분업구조 kimswed 142 2019.02.23
157 한류에만 의존해 아세안 시장 공략하는 데엔 한계 kimswed 167 2019.02.22
156 중국 전자상거래법’ 우리에게 약인가 kimswed 194 2019.02.19
155 중국 비즈니스 면세점의 한중관계 kimswed 169 2019.02.14
154 중국 비즈니스 씨트립의 낯선 두 얼굴 kimswed 148 2019.02.02
153 게임산업, 수출 新효자로 우뚝 kimswed 166 2019.01.31
152 중국 비즈니스 1만 달러 시대 kimswed 191 2019.01.30
151 차이나 MOT를 잡아라 kimswed 282 2019.01.26
150 베트남, 색조화장품 유망 kimswed 205 201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