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비엔티안 무역관은 최근 라오스를 대표하는 주요 분야 기업 관계자들을 만나 산업별 전망을 들었다. 다음은 주요 내용.

◇ 헬스케어(비엔통 파머)=비엔통 파머는 라오스의 주요 제약회사로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보조식품 등을 취급하며 태국, 한국, 인도 등의 공급처로부터 제품을 수입해 판매한다. 가장 큰 규모의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에 5개 매장이 있다.

비엔통 파머는 라오스인들의 기대수명이 연장되면서 의약품 및 의료장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장년층이 늘어나면서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고도의 의료기술과 숙련도 높은 의료 종사자 또한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라오스의 낮은 국민소득을 감안할 때 양질의 의료 제품과 서비스를 경쟁 업체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어야 고객 유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 정보통신기술(ICT)(라오텔레콤)=라오텔레콤은 라오스 통신 분야의 선두 기업이며 약 350만 명의 유무선 통신 고객을 두고 있다. 라오스 정부가 51%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싱가포르에 이어 동남아시아에서는 2번째로 4세대(4G) 통신망을 도입하기도 했다.

라오텔레콤 측은 자사가 라오스 우정부의 ICT 산업 발전 전략에 따라 5세대(5G) 통신망 상용화를 계획 중이며 빅데이터 및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라오스 정부기관과 민간 업체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라오스 정부가 정보통신 분야가 자국의 사회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5개년 개발 계획을 세움에 따라 협력사와 함께 스마트 농장,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의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도입할 계획이다. 올해 라오스 ICT 산업은 모바일 사용량 증가 등으로 약 3%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 건설(TK그룹 솔)=TK그룹은 라오스의 주요 건설사로 정부 및 민간 업체와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중국-라오스 고속철도, 비엔티안-방비엥 고속도로, 시판돈 신도시 경제특구 및 인프라 개발 사업 등 다수의 프로젝트로 라오스 건설업이 꾸준히 성장해 라오스 거시경제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건설업계 성장세를 뒷받침할 만한 사업 운영 및 확장 자금 확보에 곤란을 겪고 있어 라오스 정부의 대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에너지(EDL제너레이터퍼블릭컴퍼니)=EDL제너레이션은 라오스의 전력 공기업으로 인근 국가로 전력을 수출하는 라오스가 ‘아세안의 배터리’ 역할을 수행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EDL제너레이터는 수력발전 등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경우 라오스 경제가 성장할 것으로 보면서도 국내외 전력 분야 투자 유치가 에너지 산업 성장의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회사는 댐 안전 관리에 중점을 두고 검사 주기 및 항목을 늘리는 한편 환경 친화적 수력발전소 건설에도 신경 쓰고 있다.

◇ 소비재(KP)=KP는 세계적인 유명 브랜드의 일용소비재(FMCG), 자동차, 농산품을 취급하며 주택개조 관련 사업도 하고 있다.

KP는 라오스가 물류 인프라가 발전 중이고 지정학적으로 메콩강 인근 국가와의 연결점에 위치해 있어 장기적으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라오스 무역의 주요 결제 통화인 미국 달러화, 태국 바트화 대비 자국 통화 약세로 소비자 가격이 올라 경제성장에 발목을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0 중동 뷰티시장 kimswed 213 2019.05.18
89 중국사업, 전문 기업사냥꾼을 조심 kimswed 213 2019.04.28
88 전북대학교 GTEP 시작이 반이다 kimswed 212 2019.03.21
87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kimswed 211 2019.12.18
86 제품 홍보엔 광고보다 SNS 마케팅이 효과적 kimswed 211 2019.10.11
85 베트남 부동산시장의 전망 kimswed 210 2019.05.15
84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62)] 효율성과 효과성의 차이 kimswed 209 2020.01.13
83 만만치 않은 베트남 제약시장 진출 kimswed 209 2019.06.20
82 박승찬의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30)] 중국 서남지역시장의 키워드 kimswed 204 2019.11.29
81 따라가지 않는다, 따라오게 만든다 kimswed 202 2019.06.03
80 인공지능이 무역하는 시대 kimswed 198 2019.10.01
79 5대 유망소비재에 무역보험 8조 지원 kimswed 198 2019.06.15
78 동남아 가전시장 트렌드 공략하라 kimswed 198 2020.07.07
77 작지만 강한 브랜드로 전 세계 줄 세우려면 kimswed 197 2019.05.31
76 이메일 무역 사기 급증 kimswed 197 2020.08.28
75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kimswed 196 2019.03.03
74 중국 시장, 신소비채널과 전시회에 집중하라 kimswed 194 2019.11.09
73 대중 수출, 옌타이 보세항구 이용하면 쉬워진다 kimswed 192 2019.03.01
72 ‘란런’ 경제 성공비결 china kimswed 190 2019.03.29
71 경직된 한중관계 대화의 물꼬 kimswed 189 2019.03.31
70 FTA 활용 성공사례] 종합인쇄솔루션 kimswed 181 2020.03.26
69 [FTA 활용 성공사례] 흡수냉동기제품 kimswed 180 2020.06.01
68 옷을 팔기 시작한 일본 편의점 kimswed 169 2020.10.06
67 2020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지원 사업 kimswed 168 2020.02.08
66 글로벌 온라인 식품시장 고성장 예상 kimswed 165 2020.08.10
65 중국, Z세대의 소비행태 kimswed 158 2020.11.07
» 라오스 대표 기업이 말하는 산업별 전망 kimswed 138 2020.06.15
63 중국 화장품 규정 바뀐다 kimswed 132 2020.05.16
62 중국사업 리스크 대응은 어떻게 해야 kimswed 129 2020.06.05
61 중국 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1) kimswed 115 20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