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K-패션을 기다린다

kimswed 2021.08.27 06:57 조회 수 : 193

쿠웨이트 가정은 월 평균 1만3000달러를 생활비로 지출하고 이 중 6.6%, 858달러를 의류와 신발 구매에 쓴다. 오일달러 덕분에 구매력이 크다 보니 전 세계 유명 패션 브랜드들이 다양하게 진출해 있다. 최근 3년간 신발, 가방, 액세서리 매출이 늘고 있는 쿠웨이트에 K-패션을 널리 알릴 좋은 방법이 없을까?

★ 전통 복장 즐기는 쿠웨이트인들=중동지역 사람들은 무슬림 종교가 생활 전반에 깊숙이 배어 있으며 이는 그들의 의복문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쿠웨이트인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평소 전통 복장을 즐겨 입는다. 뿐만 아니라 쿠웨이트에 거주하고 있는 100여 국적의 외국인들은 다양한 스타일의 의복 문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전 세계 유명 패션 브랜드들도 거의 다 입점해 있다. 전통 의복과 세계 트렌드를 반영하는 해외 브랜드가 공존하는 곳이 쿠웨이트다.

쿠웨이트 전통 남성복 기업인 다그라의 압둘라 알 에싸 최고경영자(CEO)는 “과거 쿠웨이트의 패션은 서양 문화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최근의 패션 트렌드는 고유 문화를 지향하고 있다”면서 쿠웨이트 패션시장에서 전통 의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사랑받는 터키 브랜드=터키 브랜드는 합리적인 가격과 디자인, 품질까지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쿠웨이트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쿠웨이트인들은 값싼 의류보다는 어느 정도 가격을 지불하더라도 질 좋은 제품을 선호한다.

터키는 쿠웨이트에서 가깝고 의류 제조업이 발달한 나라다. 또한 터키는 중동문화와 서양문화가 공존하고 있어 쿠웨이트 여성들의 취향을 패션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제품을 생산한다.

한국 제품에 대한 쿠웨이트인들의 인식은 질 좋은 제품, 합리적인 가격이다. 쿠웨이트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터키 패션 브랜드들의 가격, 디자인, 마케팅 등을 분석해본다면 쿠웨이트 패션시장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수출 유망한 아동의류와 여성복=최근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한류 열풍에 힘입어 쿠웨이트에서도 한국산 의류와 패션 아이템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한국 의류는 합리적인 가격과 질 좋은 상품이라는 인식이 있어 최근 한국산 아동복과 여성복에 관심을 갖고 문의하는 바이어도 늘어나는 추세다.

작년 말에는 쿠웨이트의 고급 쇼핑몰 더게이트몰에 K-스타일의 아동복 브랜드를 취급하는 매장이 문을 열었다. 또한 현지의 패션 플랫폼 기업들도 한국 디자이너 제품들을 판매하기 시작하는 등 한국산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쿠웨이트의 유아용 의류 및 의류 액세서리 수입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1위는 중국, 2위는 인도, 3위는 방글라데시였다. 한국 제품은 85만4000달러로 8위를 차지했으며 여성용 드레스가 많이 수출됐다.

★ 우리 기업 시사점=쿠웨이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부터 40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쿠웨이트인들이 옷을 구매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은 트렌드, 종교 순이었다. 패션 트렌드와 무슬림의 문화를 적절히 접목한 의류 관련 상품의 진출 전망이 밝다는 뜻이다.

또한 쿠웨이트인들은 전통 의복을 즐겨 입는다. 완제품을 구매해 입기도 하지만 본인이 직접 원단을 골라 맞춤 제작을 많이 하기 때문에 중동의 날씨를 고려한 기능성 원단도 수요가 많다.

무슬림 문화를 고수하면서 다양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전통 의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무슬림 문화를 접목한 아이템들은 언제나 환영받을 수 있다. 세계 주요 패션 브랜드인 나이키, 아메리칸이글 등이 중동시장을 겨냥해 무슬림 전통 의상을 모티브로 한 패션 컬렉션을 출시하면서 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 중이다.

쿠웨이트는 제조업 기반이 약해 대부분의 소비재를 수입한다. 또한 쿠웨이트 국민들은 경제수준이 높기 때문에 가격에 크게 예민하지 않으며 기존에 없던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면 관심을 많이 갖는 편이다. 현재 쿠웨이트에 진출한 대부분의 한국 기업이 오일 및 가스, 건설 등으로 소비재는 상대적으로 진출이 미흡한 만큼 현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철저히 분석해 그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제품을 적극 발굴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6 인도 비즈니스가 어려워 보이는 4가지 이유(1) kimswed 2021.11.21 247
265 차이나 라미엔슈어의 성공사례 kimswed 2021.11.09 224
264 CIS 온라인 시장도 함께 진출해볼까 kimswed 2021.10.29 149
263 라오스 수출은 ‘뷰티’와 ‘메디컬 kimswed 2021.10.16 203
262 “온라인서 소비자 만나야” kimswed 2021.09.18 152
» 쿠웨이트, K-패션을 기다린다 kimswed 2021.08.27 193
260 중국의 포스트코로나 마케팅 ‘라이브커머스’ kimswed 2021.08.07 214
259 남성화장품 ‘티에소’는 어떻게 선진국 시장 진입에 성공 kimswed 2021.07.22 223
258 돈쭐’이 유행하는 세상… 필수가 된 ESG 경영 kimswed 2021.07.10 205
257 초보 수출기업 찾아가 애로 해결해주는 ‘이동 KOTRA’ kimswed 2021.06.22 192
256 비대면 마케팅, 앞으로도 ‘뉴노멀’로 자리 잡을 수 있어 kimswed 2021.06.11 192
255 캄보디아, 식품·외식시장 발전은 ‘명약관화’ kimswed 2021.05.25 195
254 중국 K-뷰티 시장 ‘블루오션’ 남성용 화장품 kimswed 2021.05.11 178
253 베트남, C2C 시장에 찾아온 변화 kimswed 2021.05.03 172
252 차이나 비즈니스 발음하기 쉬운 중문 브랜드 kimswed 2021.04.28 315
251 김치로 코로나 발생·사망률↓ kimswed 2021.04.09 158
250 오프라인 수출마케팅 자원, 온라인 kimswed 2021.04.03 167
249 중국사업, 브랜드 디자인을 사수하라 kimswed 2021.03.14 176
248 한-캄보디아 FTA 최종타결… 섬유·의류 진출기업 수혜 kimswed 2021.02.05 199
247 스킨케어 수출 호조… 중화권 시장 유망 kimswed 2021.01.29 172
246 해외시장전략①] RVC의 시대 kimswed 2021.01.23 147
245 방글라데시에서 떠오르는 한국 화장품 kimswed 2021.01.17 111
244 중국 상표권 등록 안 했다간 큰코다쳐 kimswed 2021.01.01 141
243 충북기업, 바이오폴리텍 kimswed 2020.12.28 100
242 차이나 비즈니스 원조가 짝퉁이 되는 유형에 조심 kimswed 2020.12.18 95
241 화장품 업계, 이제 ‘클린뷰티’에 주목 kimswed 2020.12.14 82
240 내년부터 RCEP 활용해 수출하면 유리 kimswed 2020.11.28 90
239 중국에서 실패하는 5가지 사업유형(1) kimswed 2020.11.07 151
238 인도에 한류 바람 kimswed 2020.11.06 89
237 한국 등 아시아 국가 쫓는 일본 화장품 업계 kimswed 2020.10.17 109
236 중국시장, ‘안전한 한국산’ 마케팅이 먹힌다 kimswed 2020.10.08 90
235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농업회사법인 화양 kimswed 2020.09.18 135
234 FTA 활용 성공사례 인산비료 kimswed 2020.09.12 160
233 K-팝·K-푸드·K-방역 뒤잇는 ‘K-통상’ 온다 kimswed 2020.08.06 126
232 당신의 중국 직원관리는 안녕하십니까? kimswed 2020.08.01 94
231 국산 제품이 곧 트렌드”… 중국 젊은이들이 바뀌었다 kimswed 2020.07.24 94
230 차이나 비즈니스(46)] ‘차이벌라이제이션’으로 승부하라 kimswed 2020.07.16 84
229 한·중 신속통로 문의 창구 운영 안내 (PCR신청절차 변경) kimswed 2020.07.03 155
228 FTA 활용 성공 사례] 플라스틱 풍선 kimswed 2020.06.30 102
227 마케팅은 왜 죽었을까’ 전문가들이 묻다 kimswed 2020.06.18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