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통신(247) 근로자 부족

kimswed 2021.09.09 07:39 조회 수 : 250

베트남은 2020년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코로나19 방역으로 청정국가로 인식되면서 GDP 성장률이 2.91%로 역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올해 초 동남아시아에서 4차 코로나19 대유행이 범람해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코로나19 일일 확진 사례가 수만 명씩 되어도 베트남에는 남의 일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4월 말 통일의 날부터 5월 초 근로자의 날까지 계속된 장기 연휴 기간 대도시 근로자들 대부분이 고향을 방문하면서 베트남에도 델타 변이바이러스 유행이 시작됐다특히글로벌 생산기지인 산업공단에서부터 대유행이 영향권에 진입했다.

 

대유행은 잠시 진정 추세를 보였지만곧 베트남 제1의 경제도시이며 1300만 명의 인구로 추산되는 호치민시로 유입됐다인근 공업지대를 포함한 2000만 명이 넘는 대도시권은 6월부터 강화된 거리 두기로 생산시설 운영이 감축되기 시작했다.

 

<베트남 익스프레스(VnExpess)>의 8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근로자의 62%가 실직 상태로 조사됐다. 3개월이 넘는 장기간 봉쇄로 생산시설의 숙소에서 지낼 수 없거나 사업이 축소되는 기업체에서 실직한 근로자는 재취업도 어려운 실정이다.

 

하노이의 경우 8월에는 산업단지의 기업체가 70% 운영을 중단한 상태이다거리 두기가 비교적 느슨한 지역이었던 하노이의 회사들은 비용 상승생산성 저하 및 수익 감소를 기록하게 되자 직원이 집과 직장 사이를 혼자 통근하도록 권장하며 대유행에 소극적으로 뒤늦게 대응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글로벌 IT 대기업들은 중국으로부터 공장을 베트남으로 이전하려던 계획을 보류하고 추세를 관망하고 있다줄어든 생산량은 다른 국가에서 대신 생산하고 있다.

 

지방정부 당국은 호치민과 인근 지역 산업공단의 수출업체 근로자에게 백신을 우선 접종하고 있다수출기업은 근로자의 계속 근무 지원에 힘쓰고 있다.

 

통계청(GSO)에 따르면 2021년 1~8월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85500개의 기업이 시장을 떠났고 약 3분의 1이 호치민 소재 기업이었다운영을 중단하거나 폐업하는 기업의 수가 새로 설립되는 기업의 수를 초과했다고 말했다.

 

통계청(GSO) 자료는 베트남의 2021년 8월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5% 증가한 2125억 달러로 나타나 371000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베트남 2021년 상반기 수출 증가율은 28.4%이며 7월 수출은 18533000만 달러로 25.5% 증가했다. 8월에는 수출 증가율이 둔화해 21.5% 증가에 그쳤다.

 

2021년 상반기 경제성장률(GDP)은 5.64%이다. 2021년 연초에 세운 목표는 6.5%이고 베트남 중앙경제관리연구소(CIEM)는 4월에 5.9~6.1%, HSBC는 7월에 6.1%를 전망했다최근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은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2021년 베트남 GDP 전망치를 6.5%에서 4.7%로 하향 조정했다.

 

호치민시는 완전봉쇄 이후 근로자 부족 등으로 지하철 공사를 포함한 공공투자 인프라 공사에서 8월까지 37.1%의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GSO)의 보고서는 호치민을 비롯한 남부지방 19개 성의 완전봉쇄 영향으로 2021년 첫 8개월 동안 소매 유통 및 서비스의 베트남 전체 거래금액은 3000조 동(13355000만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했다고 밝혔다.

 

커피 세계 2위 수출국인 베트남은 호치민시가 물류 근로자 부족을 호소하면서 수출용 커피콩 선적이 지연됨에 따라 글로벌 커피 시장이 어려움을 겪으며 세계적으로 커피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블룸버그통신도 보도했다.

 

베트남 총리는 9월 초 회의에서 안전한 삶을 전제로 하는 해결책을 의료진에게 강력하게 요구했다호치민시의 완전봉쇄도 9월 20일부터 단계적으로 완화될 것임을 시사했다호치민시는 백신 접종에 속도를 내며 방역과 교통 상황을 연계하여 근로자들이 산업시설에 복귀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거리 두기 완화는 백신의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추세를 전제로 검토하며 글로벌 기업의 수출품 원가절감과 연결해 추진하고 있다근로자들이 공장 안에서 숙식하며 지출하는 비용을 줄이고 수출기업 노동력 부족을 해소해 정체된 항만시설을 정상화하고 수출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로자의 산업시설 복귀로 수출업체 생산시설의 낮은 가동 비율을 높인다면 수출기업은 비용을 절감하며 생산성을 키워 수출액을 다시 늘릴 수 있다근로자가 근무를 시작하게 되면 가계수입이 늘어나게 된다소비자의 구매력증가로 이어져 내수 소비가 늘어나 경제성장을 더욱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김석운 베트남경제연구소장 (kswkso@hanmail.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2 베트남 기업운영 재개 kimswed 171 2021.09.30
» 베트남 통신(247) 근로자 부족 kimswed 250 2021.09.09
270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와 연 50만 달러 거래 협의 kimswed 250 2021.08.30
269 베트남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 kimswed 175 2021.08.26
268 베트남, 코로나19도 비켜간 명품시장 kimswed 347 2021.08.19
267 베트남 코로나19 방역 kimswed 180 2021.08.12
266 베트남 현대식 유통 채널 kimswed 169 2021.08.03
265 바리케이드 뒤의 삶 kimswed 176 2021.07.28
264 ㈜웰팜 베트남 수출 개시 신속한 피드백이 성공 kimswed 387 2021.07.27
263 베트남 기업들이 선호하는 디지털 마케팅 kimswed 205 2021.07.23
262 베트남 소비 수요 환경 변화 kimswed 152 2021.07.14
261 K-뷰티, ‘플랫폼 서비스’로 베트남 진출 kimswed 149 2021.07.13
260 친환경 꿈꾸는 베트남, 360조 전력시장 kimswed 144 2021.07.05
259 베트남 엄마들의 필수템 유아매트 kimswed 135 2021.07.03
258 베트남 다채널 유통 kimswed 73 2021.07.01
257 베트남 변화하는 수요 kimswed 89 2021.06.19
256 신기산업(주) kimswed 256 2021.06.19
255 베트남 유통채널의 융합 kimswed 100 2021.06.03
254 베트남, 건강 키워드 상품 유망 kimswed 110 2021.05.28
253 베트남 전자상거래 활성화 kimswed 82 2021.05.21
252 B/L 스위치를 해야 하는데, 어떤 인코텀즈를 적용 kimswed 118 2021.05.21
251 리스크 커지는 베트남 시장, 우리 기업 체크포인트 kimswed 86 2021.05.14
250 베트남 온라인쇼핑 소비자 증가 kimswed 82 2021.05.05
249 베트남 소매시장 유통기업 진출 적기 kimswed 122 2021.04.24
248 베트남 외식업 수요 kimswed 140 2021.04.23
247 베트남에 한국 화장품이 간다 kimswed 120 2021.04.11
246 베트남 소매시장 변화 kimswed 83 2021.04.08
245 가공식품을 베트남에 수출할 때 절차와 필요서류 kimswed 561 2021.04.03
244 베트남 온라인 트렌드 kimswed 84 2021.03.27
243 베트남 새로운 수요 kimswed 88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