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술보다 대마 인구 더 많아

kimswed 2024.05.25 07:07 조회 수 : 9

미국에서 매일 또는 거의 매일 대마초(cannabis)에 손을 댄다고 응답한 사람이 같은 빈도로 술을 마신다는 사람보다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3일(현지시간) 카네기멜론대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미국의 연례 '약물 사용 및 건강에 관한 전국 설문조사'에서 대마초를 매일 또는 거의 매일(월 21일 이상) 이용한다고 답한 사람은 1천770만명으로, 알코올(술)을 이 정도로 섭취한다고 답한 사람의 수(1천470만명)를 역대 처음으로 앞질렀다.
 
이보다 30년 전인 1992년의 같은 조사에서는 매일 또는 거의 매일 술을 마신다는 사람이 890만명으로, 같은 빈도로 대마초를 이용한다고 밝힌 사람 90만명보다 10배 가까이 많았었다.
 
매일 또는 거의 매일 대마초를 이용한다는 사람의 수가 30년간(1992∼2022년) 90만명에서 1천770만명으로 19.7배 증가한 것이다.
 
또 2022년 조사에서 음주를 하는 사람 중 '지난 한 달 동안 술을 마신 날'의 중간값은 4∼5일인 데 비해 대마초 이용자의 전월 이용일 수 중간값은 15∼16일이었다.
 
다만 2022년 전체 응답자를 평균 낸 1인당 전월 이용일은 술이 3.29일로, 대마초 2.03일보다 많았다. 전월에 각각 이용한 날이 있다고 답한 비율도 술이 40.4%로, 대마초(12.6%)보다 훨씬 많았다.
 
연구진은 "여전히 훨씬 더 많은 사람이 술을 마시지만, 높은 빈도의 음주는 대마초보다 덜 흔하다"고 지적했다.
 
투자은행 로스캐피털의 애널리스트 스콧 포천은 "우리는 젊은 인구 집단이 이전 세대보다 더 높은 비율로 매일 또는 매월 대마초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믿는다"며 "이 연구 데이터는 이런 사실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미 경제매체 CNBC에 말했다.
 
CNBC는 "이 보고서는 미 당국이 연방 규제를 완화할 것으로 대마초 업계가 기대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대마초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대마초 시장 확대가 기존의 주류 산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CNBC는 덧붙였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22년 10월 보건복지부(HHS)와 법무부 등 관련 부처에 대마의 마약류 등급 재검토를 지시했고, 이에 따라 HHS는 마약단속국(DEA)에 대마를 위험성이 덜한 3등급으로 분류할 것을 작년 8월 권고한 바 있다.
 

 

향후 DEA의 3등급 분류가 확정되면 대마는 케타민(마취성 물질)과 테스토스테론(남성 호르몬) 등과 같은 등급으로 취급돼 합법화를 향한 길이 폭넓게 열리게 된다. 대마 판매 기업이 미국 주요 증시에 상장할 수 있으며, 대마가 이미 합법화된 캐나다 등의 외국 기업이 미국에서 대마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6 홍콩 몰락 잔혹사 kimswed 2024.06.17 4
385 글로벌사우스 시장 ‘핀 포인트 전략 kimswed 2024.06.13 10
384 태국시장 충북 기업들, ‘한류 업고 튀어 kimswed 2024.06.09 11
383 금주의 무역인 박진철 호야홈텍 대표 kimswed 2024.06.07 11
382 영국에서도 통하는 한국 프리미엄 미용 케어 kimswed 2024.05.29 13
» 미, 술보다 대마 인구 더 많아 kimswed 2024.05.25 9
380 영국의 ‘창조산업’과 소프트 파워 kimswed 2024.05.17 10
379 한-캄보디아, 늘어나는 농산물 교역 kimswed 2024.05.09 17
378 라오스에서 뜨는 3대 소비재 품목은 무엇 kimswed 2024.04.27 14
377 금주의 무역인 김인배 피트케이 대표 kimswed 2024.04.15 19
376 글로벌 유통바이어 거래알선 정보 kimswed 2024.03.30 13
375 중국 화장품 시장 요즘 트렌드는 ‘친환경’ kimswed 2024.03.21 29
374 쿠웨이트에 부는 ‘K-푸드’ 열풍 kimswed 2024.03.14 27
373 일본, 외국인 관광객 덕분에 활기 띠는 소비 kimswed 2024.03.06 25
372 중국, 식사대용식품 ‘열풍’ kimswed 2024.03.05 31
371 하홍국 한국MICE협회 사무총장 kimswed 2024.03.01 33
370 젊은 고소득자가 주도하는 중국 유아용품 시장 kimswed 2024.02.11 44
369 신석원 하나투어비즈니스 kimswed 2024.01.23 60
368 중국서 짐 싸는 외국인들 kimswed 2024.01.17 49
367 사우디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삶 kimswed 2024.01.11 56
366 새해 세상을 바꿀만한 5가지 사건 kimswed 2024.01.06 52
365 강도용 라우트컴퍼니 kimswed 2023.12.30 39
364 짝퉁' 감별 AI 서비스 인기... 엔트루피 kimswed 2023.12.27 31
363 아랍에미리트(UAE), 트렌드 가구 시장 kimswed 2023.12.25 30
362 ㈜기린화장품 박현수 kimswed 2023.12.18 26
361 내년은 ‘K-everything’의 시대 kimswed 2023.12.15 21
360 내년에 바라는 정책 1위는 "금융부담 완화" kimswed 2023.12.11 20
359 국내 기업 중국 이탈, 경쟁력 악화에 기인 kimswed 2023.12.01 33
358 내년 글로벌 식음료 트렌드는? kimswed 2023.11.20 35
357 글로벌관광마이스연구원 kimswed 2023.11.07 37
356 미래 노동력도 시장도 모두 아프리카에 있다 kimswed 2023.11.03 44
355 “고객이 원하는 것은 뭐든지” kimswed 2023.11.01 43
354 신흥국 어딜 가도 'K-편의점'이 있다 kimswed 2023.10.30 31
353 일본, 바야흐로 K-뷰티의 시대 kimswed 2023.10.23 27
352 맞춤 전략으로 대응,불확실성 확대되는 세계시장 kimswed 2023.10.19 28
351 실모(SILMO) 파리, 안·광학 산업 kimswed 2023.10.14 29
350 민경익 엠앤씨커뮤니케이션즈 kimswed 2023.10.11 41
349 글로벌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시장 kimswed 2023.10.04 35
348 베트남, 급부상하는 스포츠·피트니스 산업 kimswed 2023.10.03 31
347 네덜란드는 어떻게 ‘농산물 수출 세계 2위 국가 kimswed 2023.10.0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