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지원기관의 활용

kimswed 2024.06.12 06:17 조회 수 : 3

세계 최고 수준의 수출지원 서비스 제공… 이용자의 몫
 
 
제법 괜찮은 수출 아이템이나 수출시장을 발견해도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 수출자에게 해외거래는 어렵다. L/C, B/L, 관세환급, FOB 등 무역용어가 낯설고, 잘 모르는 외국인과의 외상 거래는 두려울 것이다. 
 
이럴 때는 한국무역협회, KOTRA,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수출지원기관을 활용하면 제법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직접 수출하기가 부담스러우면 수출전문기업이 수출을 대행해주는 전문무역상사 제도를 활용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고 내수시장이 작아서 수출 없이는 먹고 살기 힘든 상황이라 정부의 수출지원제도가 어느 나라보다 잘 갖추어져 있다.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초보수출기업에게 유용할 수 있는 주요 수출지원기관의 지원 제도를 소개한다. 주요 내용은 각 기관별 홈페이지 등에서 인용했다.
 

 
#1. 무역투자의 대표 플랫폼 KOTRA
 
KOTRA는 수출입을 통한 경제발전을 목적으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법에 따라 1962년에 설립되었다. 해외 시장 및 바이어 조사, 무역파트너 발굴 지원, 온오프라인 해외마케팅 지원, 글로벌역량강화와 현지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초보수출기업이 가장 먼저 찾아야 할 수출지원기관이다.
 
●해외시장 조사 및 바이어 발굴 지원 = KOTRA의 무역투자 빅데이터 사이트인 트라이빅(www.kotra.or.kr/bigdata)에서 무역투자통계, 국가별 시장정보, 품목별 유망시장 및 해외바이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들 정보를 토대로 품목별 수출유망시장 정보 및 해외시장 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KOTRA 해외무역관에서 발로 뛰면서 수요동향 등 항목별 시장조사, 현지 매장 조사, 바이어 구매 성향 조사, 수출 바이어 실태조사 등의 조사를 해주고 있다. 
 
●온라인 무역플랫폼의 활용 = KOTRA가 운영하는 B2B 온라인 플랫폼인 바이코리아(www.buykorea.org)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바이어에게 자신의 상품을 홍보하거나 온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해외파트너 연결지원 = KOTRA의 ‘해외파트너 연결지원 서비스’를 신청하고 바이코리아 검색 등에서 발굴한 바이어명을 기재하면 KOTRA에서는 이들 바이어 포함 10여 개의 바이어를 조사한 후 2~3개의 바이어를 추천하고 이들 바이어와의 교신 지원도 해준다.
 
●수출상담회, 전시회, 무역 사절단 참가 지원 = KOTRA에서 한국 상품 수입을 희망하는 구매단을 유치해서 상담 기회를 제공하거나,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 무역 사절단 모집 및 현지 바이어 면담 기회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사화 사업 = 해외지사를 설치할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위해서 KOTRA 해외무역관이 신청기업의 지사가 되어 무역 파트너 발굴 등의 업무를 대행해 준다.
 
●내수기업 수출기업화 사업 =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전년도 수출실적 10만 달러 이하의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서는 수출전문위원 1:1 수출멘토링부터 영문 카탈로그 제작, B2B 플랫폼 활용 마케팅 지원, 인콰이어리 발굴 및 매칭, 유관기관 연계 지원 등 수출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초보수출기업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다.
 
●수출바우처 사업 = 중소중견기업이 자사의 수출역량에 맞는 수출지원 사업(수출 준비, 수출 이행, 수출 후속관리 등 14개 분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수출 바우처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KOTRA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정부를 대행해서 운영하고 있고, 무역협회도 소규모로 자체적으로 시행 중이다. 
 
●상담 및 컨설팅 = KOTRA의 지역별, 분야별 수출 전문위원 및 관세 등 무역전문가가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상담 및 컨설팅을 제공한다. 
 
▲한국무역협회는 무역기업을 회원사로 두고 있는 무역지원 전문 기관이다. 사진은 무역협회의 서비스 중 하나인 트레이드프로(TradePRO) 홍보물. [한국무역신문 DB]
#2. 전문가 상담부터 바이어 알선까지 다양한 지원,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협회(KITA)는 무역진흥을 통한 국가발전을 위해 1946년에 설립되었으며, 우리나라 무역업계를 대표하는 민간경제단체이다. 
 
회원 가입 시 가입비는 20만 원이며, 매년 납부해야 하는 연회비는 15만 원이다. 회원에게는 무역진흥자금 융자, 무역보험료 지원, 수출 바우처 제공, 무역상담, 무역아카데미 수강료 할인, 무역통계 제공, 바이어 알선, 무역정보 제공 등의 혜택이 부여된다.
 
●무역진흥자금의 융자 = 전년도 수출실적 2000만 달러 이하인 수출기업이 수혜 대상이며, 2024년 기준으로 대출금리 2.5~3.0%, 융자한도 2억~3억 원으로, 현재의 고금리 시장상황에서는 최고의 수출지원 상품 중 하나다. 
 
●글로벌 유망바이어 거래알선 서비스 = 글로벌 유망바이어를 온라인으로 초정하여 국내업체와 상시적으로 거래 알선을 지원하는 무역협회의 온라인 거래알선 서비스이다. 무역협회의 B2B 플랫폼인 tradeKorea(www.tradekorea.com)에서 Seller 회원은 소싱 진행 중인 글로벌 유망바이어의 지역, 회사 소개, 품목 등 정보를 확인 후 참가 신청하면 된다. 이후 무역협회에서 매칭 결과를 통보해준다. 
 
●무역상담 및 컨설팅 = 무역협회 TradePro에서는 무역거래/결제, 관세/통관, 계약/클레임,외환/환리스크, 온라인마케팅, 창업컨설팅 등으로 분야별 전문가가 상담해 주고 있다. 무역현장컨설팅, 기술컨설팅, FTA컨설팅 등 분야별로 특화해서 컨설팅을 해주고 있다. 또한 수출경력 30년 이상의 자문위원이 기업을 방문하여 현장 컨설팅을 제공해주고 있다.
 
●무역통계, 관세/규제 정보의 제공 = 무역협회의 트레이드 네비(tradenavi.or.kr)에서는 각국무역통계, 관세/규제, 수출지원사업, 자문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무역통계에서는 국내통계, 해외무역통계, IMF 세계통계, 맞춤통계 등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통계에서는 수출입총괄, 품목별 수출입, 국가별 수출입, 항구/공항별 수출입, FTA체결국 수출입, 간접수출 등의 통계를 제공하고 있다. 트레이드 네비의 ‘무역규제’에서 수입국별 인증제도를 조회할 수 있다.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 관련해서는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센터(www.smes.go.kr)를 활용하면 된다. 
 
무역협회의 FTA 종합지원센터 OK FTA(okfta.kita.net/main)에서는 FTA 관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FTA 정보는 관세청의 YES FTA 포털(www.customs.go.kr/ftapotalkor/main.do)에서도 조회할 수 있다. 
 
●수출실적증명서의 발급 = 수출기업은 무역협회에서 수출실적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무역아카데미 = 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에서는 무역실무 과정과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무역아카데미는 국내 최고의 무역 실무교육기관이다. 
 

 
#3. 무역금융 조달과 수출입 리스크 관리를 지원하는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는 우리나라 무역보험제도를 전담 운영하는 정부출연기관으로 1992년에 설립(이전에는 수은에서 업무 대행)되었다. 
 
보험 및 보증제도를 통해서 무역금융의 조달과 수출 및 수입 리스크 관리, 환리스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서비스 상품으로는 바이어 신용조사(본 연재 3회 참조), 수출 이행자금의 조달 지원(수출신용보증(선적전)), 수출채권 유동화 지원(수출신용보증(포괄매입) 등), 외상수출거래 대금미회수위험 담보(단기수출보험), 환리스크 관리(환변동보험), 플랜트 수출 및 해외사업 금융지원, 해외미회수채권 회수대행 등이 있다. 세부적인 내용은 후에 상세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4.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의 디딤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KOSME)은 중소기업진흥법 제정(1978년)으로 1979년에 설립되었다. 수출 지원 관련해서는 수출정책자금 융자와 수출마케팅 지원을 통해서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도모하고 있다.
 
KOSME의 수출지원자금으로는 ‘신시장진출지원자금’이 있고,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자금과 ‘수출기업의 글로벌기업화’ 자금으로 구분된다. KOTRA와 마찬가지로 수출바우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B2B 거래알선 사이트인 고비즈코리아(kr.gobizkorea.com)를 운영하고 있다. KOSME는 고비즈코리아(GobizKorea)를 기반으로 상품페이지 제작, 검색엔진마케팅, 소셜마케팅, 제품홍보 동영상 콘텐츠 제작 등 기업특성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해외바이어의 구매오퍼에 원활하게 대응하고 수출계약이 성사될 수 있도록 구매오퍼 유효성 검증, 수출계약서 검토 및 작성 등의 무역실무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바이어 발굴이 어려운 수출초보기업을 위해 특정상품을 원하는 해외바이어를 발굴하여 중소기업에 매칭하고, 수출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5. 신보/기보, 수출입은행의 수출금융 지원제도​
 
초보수출기업이 수출을 위한 물품을 구매하거나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신보와 기보(기술기업인 경우)의 보증서를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로 조달하거나, 무보의 수출보증서(선적전)를 담보로 활용하면 된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수출입은행의 수출자금으로는  수출이행자금(수출물품 조달 등), 수출촉진자금(시설투자 등), 수출성장자금(수출기업의 운영자금)이 있다. 
 
#6. 전문무역상사의 활용
 
초보수출기업은 수출 경험이 없거나 적기 때문에 수출 한 건 추진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비용과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또 많은  리스크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 때 초보수출기업은 수출을 대행해주는 전문무역상사를 활용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정부는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수기업 또는 초보수출기업 등의 수출 지원을 위해서 전문무역상사 제도를 도입(2014년부터)해서 수출대행을 하도록 하였다. 
 
내수기업·수출초보기업은 무역협회의 전문무역상사 관련 사이트(http://ctc.kita.net)에서 관련 업종의 전문무역상사를 선택한 후 매칭 신청을 할 수 있다.  
 
오주현
한국무역보험공사 전문위원
happyojh@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일본문구시장 kimswed 2024.06.15 5
» 수출지원기관의 활용 kimswed 2024.06.12 3
205 수출계약 체결 및 무역클레임 처리 kimswed 2024.06.02 6
204 바이어를 찾는 7가지 방법 kimswed 2024.05.27 3
203 신용장거래에서 개설은행이 지급거절한 사례 kimswed 2024.05.19 10
202 초보 수출기업을 위한 안전수출 가이드(10)] 신용장 kimswed 2024.05.12 14
201 초보 수출기업을 위한 안전수출 가이드(9)] 수출 거래조건 kimswed 2024.05.06 7
200 안전수출 가이드(7)] 수출의 유형과 수출절차 kimswed 2024.04.21 7
199 수출 가이드(5)] 무역사기 예방하기 kimswed 2024.04.09 10
198 수입국 신용도와 수입국별 바이어의 결제 kimswed 2024.04.01 5
197 안전수출 가이드(3)] 해외바이어 신용조사 kimswed 2024.03.26 10
196 국내생산 수출물품, 수출기업이 포장해도 관세환급 kimswed 2024.03.02 15
195 KOTRA·buyKOREA 사칭 메일에 주의해주세요 kimswed 2023.11.08 54
194 원산지증명서 발급 유의사항 kimswed 2023.09.09 30
193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3.09.06 21
192 품목별 원산지 결정기준의 선택 kimswed 2023.09.04 20
191 어려운 FTA 원산지판정, kimswed 2023.08.28 19
190 글로벌 시장 변화 속에서 찾은 유망 틈새 품목 kimswed 2023.08.25 21
189 왕초보무역 관세환급이 뭐예요? kimswed 2023.08.19 24
188 바이어 새 계좌번호로 수출대금 송금했는데, '스피어피싱 kimswed 2023.03.28 405
187 기업이 자사 수출실적 정보 조회·관리·전송 kimswed 2023.03.11 1292
186 무역사기 주요 패턴으로 알아보는 피해방지법 kimswed 2023.03.07 1823
185 이메일․금품수수 등 무역사기 수법 kimswed 2023.02.28 1815
184 과도한 규제와 인허가 절차, 글로벌 기준으로 개선 kimswed 2023.01.21 3492
183 B/L 등 무역서류 실시간 공유 kimswed 2022.12.22 4983
182 관세와 관련해 초보무역인이 알아야 할 것 kimswed 2022.05.14 7022
181 왕초보 무역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2.04.18 7127
180 신용장 거래 시 발생한 하자 및 지급거절(unpaid) kimswed 2022.02.21 7586
179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인증 UKCA kimswed 2022.02.15 7401
178 의료기기를 러시아에 수출할 때 kimswed 2022.02.07 6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