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오늘

kimswed 2017.09.21 08:26 조회 수 : 54

해외기업들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과 점점 높아지는 중국의 인건비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로 하여금 베트남을 주목하게 만들었다. 특히 우리나라에게 베트남은 경제적으로 점점 가까운 이웃이 되고 있다.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제4위 수출 대상국으로 떠올랐다. 홍콩이 중국에 포함된다고 보면 베트남은 중국, 미국에 이어 사실상 제3위 수출 대상국이다.


현재 베트남은 ‘제2의 도이머이(Doi Moi, 개혁개방)’를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법인세를 인하했고 외국인 주식투자 한도를 철폐하였으며, 외국인 주택소유도 허용했다. 대외적으로는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과 EU와의 FTA 타결 등 다양한 형태의 주요경제권과의 경제통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베트남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역사적 배경, 인구, 소득 등을 고려했을 때, 베트남에서 가장 현대적인 소비문화와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은 호치민과 하노이를 포함한 대도시들이다. 그 중 내가 파견되어 있던 호치민은 베트남에서 사실상 소비를 이끌고 있는 최대 경제도시이다. 베트남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도시이자(2015년 기준 5538달러) 외국인투자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해 있고 최대 소비시장을 보유한 도시이다.


베트남 소비시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할 정도로 잠재력이 높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베트남으로 갈 수는 없다. 베트남 소비시장 진출 때 다음과 같은 현지 소비자들의 소비 트렌드 및 소비의식 변화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프랜차이즈와 외식산업 = 베트남은 맞벌이 문화다. 베트남 여성들은 직업관이 뚜렷하며 전체 근로자 중 여성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각 분야에서 여성들의 활약이 크다. 그러다보니 집밥 문화보다는 외식 문화가 더 발달한 나라다. 베트남은 소비성향이 강해 저축하기보다는 돈이 생기면 쓰는 스타일이다. 한국과의 다른 점이라고 하면, 냉장고가 우선순위에서 배제된다는 점이다. 집에서 밥을 많이 안 해 먹기 때문이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국인 베트남은 2015년 1월부터 해외 소매기업이 100% 자기 자본으로 법인을 설립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프랜차이즈 매장 또는 신설호텔의 부대시설로만 외식업이 가능했지만 이제 레스토랑과 카페 등 외식사업의 독자적 운영이 가능해졌다. 한국 프랜차이즈의 경우 직영점 형태로 롯데리아가 200여 개 매장, 뚜레주르가 40여 개 이상 영업 중이다. SPC 역시 베트남에 파리바게뜨 매장을 개점하여 인기를 끌고 있다. 베트남에도 치맥 열풍이 불고 있다. BBQ 베트남 법인은 현지인을 대상으로 인기리에 가맹점을 운영 중이다.

 

호치민 시내에는 한국 업체가 많이 입주한 빌딩을 중심으로 상당수 한국 음식점이 성업 중이다. 생각 외로 식당마다 베트남 현지인이 많이 관찰된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한국 음식을 맛보고자 하는 현지인들이 많다.

 

 

 

●스타벅스 사이에서 당당히 자리 잡은 현지 빈티지(Vintage) 카페 = 몇 년 전부터 급속한 현대화에 지친 베트남 소비자들 사이에서 옛날 감성을 찾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는 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네 등의 외국계 대형 카페들 사이에서 ‘옛날 베트남’이나 ‘빈티지’ 컨셉을 강조한 현지 카페들이 당당히 자리를 잡게 된 배경이 됐다.

 

이들은 현대적인 인테리어보다는 1980년~1990년대의 분위기를 살려 주요 소비층인 80~90년대 생들의 추억을 자극하고 있다. 2016년 7월 글로벌 프랜차이즈인 NYDC가 베트남에서 최종 철수한 것과는 달리, 대도시 골목에 자리 잡은 ‘허름하지만 세련된’ 옛날 카페들은 현지 소셜 네트워크에서 꾸준히 공유되며 유명세를 타고 있다.

 

그 중 하나인 Cong Caphe(꽁카페)는 하노이를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 전역에 총 20여 개의 지점을 둔 대표적인 현지 카페 중 하나이다. 이 카페는 1980년대 문호 개방 이전 베트남 사회주의 시절의 분위기를 구현하고, 그 당시의 향수를 자극하는 종업원 유니폼, 골동품 등의 소품 및 인테리어로 인기를 끌고 있다.

 

 

 

●쑥쑥 크는 장난감 시장 = 베트남의 0~12세 어린이는 약 208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전체 인구의 25%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이처럼 높은 어린이 인구 비율과 국민 평균소득 증가로 유아용품 소비 지출액이 늘어나고 있다. 베트남 장난감 시장의 성장잠재력은 매우 크다.

 

베트남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의 장난감 수입 대상국은 중국이 압도적인 1위로 시장점유율 63%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대만이 8%, 호주가 7%, 한국은 5%를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장난감 소비 트렌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더라도 안전하고 품질이 좋은 제품이다. 이런 제품은 중국산을 대체하고 있는데 최근 인지도가 상승한 수입 브랜드에는 FisherPrice(미국), LeapFrog(미국), Eftech(독일), Fischertechnik(독일), Oxford(한국) 가 있다.


단순 놀이 목적의 장난감보다는 교육기능이 부가된 장난감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못지않은 베트남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겠다.

 

 

최대봉 호치민 FI Logistics Co., Ltd. 근무

 

* 이 글은 제16기 글로벌무역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법인에 근무한 인턴들의 보고서를 취합해 정리한 것임을 밝힙니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제공.

▲무역협회 호치민지부가 위치한 베트남 백화점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베트남인들.

 

베트남에서 인턴생활을 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베트남인들이 누구든지, 언제나, 그리고 어디서나 SNS를 한다는 점이다. 베트남에서 가장 대중적인 SNS 어플리케이션은 페이스북과 잘로다.

 

SNS의 연령층이 낮은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베트남에서는 SNS 사용연령층의 폭이 넓다. 내가 살던 집의 주인 할머니도 페이스북을 하며, 택시기사를 부를 때도 SNS를 통해 연락한다.

 

장소 또한 가리지 않는다. 백화점 화장실 내에서도 셀카를 찍고 이를 SNS에 업로드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놀랐던 적이 있다. 지난해 연말 백화점이나 은행 앞에는 크리스마스 장식물이 설치되었는데 이 곳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 줄을 서 기다리는 베트남인들이 많았다. SNS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베트남 전체 인구 약 9000만 명 중 4000만 명이 인터넷을 이용 중이고 지난해 SNS 이용자는 20% 증가했다.


이렇게 베트남인들이 셀카에 열광하고 SNS 이용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소득수준에 적합한 오락거리의 부재 때문이라고 나름 분석해 본다. 베트남인들의 평균 월급은 미화 250달러 수준이고, 대학을 졸업한 직장인들의 평균 월급 또한 300달러~400달러 사이다. 아직까지 영화와 같은 문화생활이나 스포츠를 즐기기에는 부담이 되지 않나 싶다.

 

영화를 예로 들어보면, 현재 베트남 영화관 시장에서 66%를 CGV와 Lotte Cinema가 차지하고 있고 이 두 영화관의 관람료는 한국 돈으로 4000~6000원 사이인데 이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직장인들에게도 부담이 되는 가격이다.

 

그러다보니 베트남인들은 길거리에 나와 여럿이 놀며 사진을 찍거나 위에 언급했던 장식물에서 사진을 찍고 이를 SNS로 소통하며 지내는 것이다.


이러한 베트남의 높은 SNS 이용률은 시민들이 온라인 언론의 자유를 일정 부분 확보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베트남은 공산당 1당 체제로서 완전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는 국가가 아니다. 페이스북과 구글과 같은 인터넷 기업은 공산당이 원하지 않는 콘텐츠를 삭제해야 하며 선동자와 관련된 정보를 당국에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SNS 이용 확산으로 당국의 시선도 변화 하고 있다. 일례로, 하노이 당국이 여론수렴 절차 없이 아름드리나무 500 그루를 베어내고 묘목으로 대체하려하자 네티즌들의 비난이 빗발쳤고 하노이 인민위원회위원장이 벌목을 중단한 적이 있다.


경제적으로 주목할 것은 SNS를 통한 광고 및 유통활동 또한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동남아국가와 같이 베트남에서도 한류열풍이 계속되고 있다. 이를 겨냥하여 베트남인들은 SNS에 한류 연예인 굿즈(상품)뿐만 아니라 한국 식품 등을 홍보하고 이를 직거래하는 형태로 한류상품을 유통하고 있다.

 

 > 열린무역정보 > 지구촌

크게보기작게보기프린트메일보내기스크랩

[글로벌무역인턴이 본 지구촌] 최신 트렌드로 본 베트남의 속살
트위터링크나우페이스북
 
2017.04.09 19:18 입력

 

▲불닭볶음면 먹기에 도전하는 베트남 유투버.

 

 

●한국식 매운 라면 인기 = 한류가 시작된 지 몇 년이나 지났고 한류 열풍에 대한 언급도 많이 되다 보니 조금 식상한 면이 없지 않지만 한국식 매운 라면의 인기를 빼놓을 수 없다. 베트남에서는 외국계 편의점 점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취급되는 한국 컵라면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불닭볶음면의 인기가 대단하다. 인기이유는 베트남 음식 중 한국 라면처럼 ‘중독성 있게 매운’ 음식들이 많이 없기 때문인 것 같다. 베트남의 주식이라고 할 수 있는 쌀국수, 분 팃 느엉, 분 짜 등의 면요리는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우려낸 국물에 넣어 먹거나, 혹은 느억맘이라는 소스에 삶은 면과 함께 먹는데 매운 요리가 많지 않다. 고추를 추가해서 먹기는 하지만 매운 정도가 한국의 라면과 비교할 정도는 되지 않는다. 또한 인기 있는 유투버들의 홍보 또한 불닭볶음면이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최근에는 한국식 매운 라면을 전문으로 파는 Mi cay라는 음식점이 현지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유명하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갔던 적이 있었는데 라면 가게가 30분이나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부대찌개와 유사한 점이 많은 이 라면의 포인트는 한국식이라는 것과 7단계의 매운맛이 있다는 점이다. 부대찌개와 비슷하게 김치, 햄, 해산물을 넣어 한국식으로 조리하고 있다. 초기 이 식당은 단계별 매운 맛에 도전하는 대회를 개최하였는데 이것이 베트남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 그릇에 우리 돈 1,500~2,000원 사이의 부담 없는 가격 또한 인기 요인 중 하나이다.


●과거와 현재를 함께 보는 카페 = 베트남, 특히 호치민은 도시의 성장세를 매일 체험할 수 있을 만큼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한 도시 안에서 과거와 현대가 공존한다는 것이 호치민의 매력인 것 같다. 이런 매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 Nguyen Hue에 위치한 까페 밀집 상가다. Nguyen Hue는 우리나라의 광화문 광장과 유사한 거리이며 젊은이들 사이에서 가장 ‘핫한’ 플레이스다.

 

주변이 상권이 발전함에 따라 이 곳에 위치한 20~30년 된 아파트들은 리모델링을 필요로 하는 골칫덩어리였지만 2015년부터 소규모 카페가 입점하여 특색 있는 상가로 재탄생하였다. 구식 아파트의 발코니를 아기자기하게 개조한 카페에서 번화한 Nguyen Hue의 거리를 본다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이유였다. 최근에는 Nguyen Hue에 이외에도 Pasteur Street, Ton That Dam Road, Nguyen Hue Street 등에 구식 아파트를 개조하여 카페로 리모델링한 건물들이 많다고 한다.


●베트남의 길거리 문화 = 베트남의 강남으로 불리는 호치민에도 늦게까지 하는 술집은 많지 않다. 가격 또한 부담이 되는 수준이어서 학생들은 주변 공원이나 번화한 길거리에 둘러 앉아 밤을 새며 논다. 워낙 노상에서 모여 노는 학생들이 많다보니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길거리 공연이나 간식거리, 오락거리들 또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길거리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반짱’은 얇고 둥근 모양의 라이스페이퍼(rice paper)를 물에 적셔서 그 위에 야채와 익힌 고기 종류를 넣어 구워먹는다. 먹기도 쉽고 토핑에 따라 다양한 맛이 나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


‘반미느엉(Banh mi nuongmuoi)’은 베트남식 바게트인 반미(banh mi)에 느억맘소스, 고추, 후추, 소금 등을 혼합한 소스를 발라 숯불에 납작하게 구워낸 빵이다. 바삭한 식감과 저렴한 가격으로 최근 호치민시에서 젊은이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반 바오(Banh bao)’는 찐빵처럼 생겼으며 큼직한 크기만큼 속 재료도 다양하다. 보통의 만두처럼 고기, 야채 다진 것이 주 재료이며 메추리알 한두 개와 소스도 들어가 있다.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든든한 간식거리가 되어준다.


길거리 놀이문화도 특색이 있다. 먼저 제기차기. 공원에 가면 남녀노소 불문하고 제기를 차고 논다. 젊은 남자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부터 아줌마들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좋아하는 놀이다. 제기가 스프링처럼 생겨 잘 튀어오를 것 같지만 제대로 맞지 않으면 높게 날아가지 못한다. 생각보다 난이도가 높지만 한번 익혀두면 베트남 친구를 사귀기에 적합한 운동이다.


‘두발전동휠’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최근 두발 전동휠 대여 사업이 대박을 내고 있다고 한다. 도입된 지 얼마 안 됐지만 SNS에 이를 타고 찍은 사진을 업로드 하는 젊은이들이 많다. 시간당 대여비는 우리 돈 2500원 정도로 베트남 학생들에게도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 가격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1 CGV 베트남 kimswed 2018.04.19 37
570 베트남소비자금융이용 kimswed 2018.04.17 68
569 베트남 증권법 개정 동향 kimswed 2018.04.14 49
568 vietnam 동하산업공단 kimswed 2018.04.09 121
567 베트남 관광산업 육성 kimswed 2018.03.30 64
566 베트남넥센테크 kimswed 2018.03.25 51
565 미레에셋베트남 kimswed 2018.03.01 130
564 베트남 효성 kimswed 2018.02.13 116
563 베트남전력시장 kimswed 2018.02.06 96
562 롯데베트남 kimswed 2018.01.31 79
561 베트남 생산성향상 kimswed 2018.01.26 80
560 베트남 스타트업 kimswed 2018.01.22 53
559 베트남프렌차이즈 kimswed 2018.01.19 149
558 베트남발전소 project kimswed 2018.01.13 54
557 (주)키카 kimswed 2018.01.09 48
556 베트남금고수요 kimswed 2018.01.09 51
555 베트남2018경제전망 kimswed 2017.12.25 75
554 한베무역100배증가 kimswed 2017.11.25 62
553 베트남과일소비 file kimswed 2017.11.14 97
552 생산기지 캄보디아의 매력과 흠 file kimswed 2017.09.26 38
551 아프리카 무역사기 kimswed 2017.09.23 56
» 베트남의 오늘 kimswed 2017.09.21 54
549 변화하는 하노이...몰려드는 기업들 kimswed 2017.09.15 151
548 베트남국영기업 민영화 일정 file kimswed 2017.09.08 75
547 베트남 마케팅 도구 file kimswed 2017.08.23 79
546 베트남 온라인쇼핑의 정책 변화 file kimswed 2017.08.07 116
545 베트남소매유통 file kimswed 2017.07.05 109
544 베트남무역의밝은전망 file kimswed 2017.05.30 120
543 온라인쇼핑 이용 성향 변화 file kimswed 2017.05.15 133
542 베트남전력현황 file kimswed 2017.04.17 239
541 뷰티콜라겐 kimswed 2016.11.18 261
540 태영코퍼레이션(주) kimswed 2016.11.03 258
539 (농)그린합명회사 kimswed 2016.11.03 228
538 10가지 키워드로 본 오늘의 중국 kimswed 2016.10.06 244
537 중국 소비 트렌드 ‘고급화’ 바람 kimswed 2016.09.20 194
536 미래 마이스 산업, ‘ICT’가 핵심 file kimswed 2016.08.22 236
535 한류소주열풍 file kimswed 2016.08.15 162
534 캄보디아 기술전문 인력난 file kimswed 2016.08.08 113
533 충북기업/ 태웅식품 kimswed 2016.08.06 370
532 베트남 여자를 보면 베트남 시장이 보인다 file kimswed 2016.08.02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