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중국 소비자에 한국 제품 인식 설문
품질·안전성 중점 두고 사용 후기에 민감
코로나19로 인해 ‘안전’이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을 선택한 이유로 품질과 안전성을 꼽았다.
한국무역협회 청두지부가 중국 소비자들을 상대로 조사해 6일 발표한 ‘중국 소비자의 한국 제품 평가 및 인식’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품질’이라 응답했다.
설문 응답에서는 품질을 꼽은 비율이 43%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격’(27%), ‘디자인’(21%) 순이었다. 또한, 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경우는 6%에 불과해 제품의 품질, 가격, 디자인을 꼼꼼히 따져보는 이성적 구매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은 품질(28%)과 위생 안전(24%)을, 유아용품은 품질(30%)과 안전성(29%)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 품질 못지않게 제품의 안전성에도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소비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경험이 있는 한국 제품으로는 화장품이 36%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식품과 생활용품, 가전이 각각 25%, 19%, 16%를 차지했다. 농림수산물과 생활용품, 잡제품 수출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2019년에 전년 대비 14.1%, 0.2%, 15.3%씩 증가했다.
특히 메이크업 기초화장품, 면류·어류·수산가공품·인삼류 등의 농림수산물, 표면활성제·콘택트렌즈 등의 생활용품, 서적과 반창고 등이 수출 상승세를 보였다.
제품을 구매할 때는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구매 방식을 훨씬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은 온라인 구매 비중이 68%~75%에 달했고 유아용품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가장 낮았음에도 절반 이상인 56%가 온라인 구매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전체적으로는 ‘품질’이 1순위를 차지한 것은 마찬가지였으나 화장품에서는 ‘브랜드인지도’가, 식품·유아용품에서는 ‘안전성’이 품질에 버금갈 정도로 중요한 선택요소로 꼽혔다.
자국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깊은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제품의 '안전성'은 주요 마케팅 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화장품의 경우 브랜드가치 제고가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중국인들은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유아용품 등 제품 구매 시 온라인 방식을 훨씬 선호하고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은 품목별로 달랐다.
기본적으로 타오바오(淘宝)는 대부분의 품목군에서 모두 자주 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나, ▷화장품의 경우 텐먀오(天猫) ▷생활용품/식품의 경우 이하오덴(1号店)이 타오바오(淘宝)보다 더 선호되고 있었다.
오프라인 플랫폼으로는 ▷화장품은 ‘전문매장’ ▷생활용품/식품은 ‘마트’ ▷유아용품은 ‘백화점’이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타 품목과 달리 유아용품 구매 시 오프라인 매장 선호도(44%)가 온라인 플랫폼(56%)과 큰 차이가 나지 않을 만큼 높고, 백화점 등 비교적 고가매장에서의 구매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중국인들의 자녀에 대한 아낌없는 소비, 자녀의 기호 및 품질을 기준으로 한 구매 결정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됐다.
중국인들이 한국산 제품을 구매할 때에는 주로 ‘본인의 사용 경험’을 토대로 재구매하는 경우가 26~28%로 가장 많았다. 다만 화장품이나 식품은 ‘타인의 구매 후기’도 그에 버금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용품의 경우 ‘타인의 구매 후기’(25%)가 ‘본인의 사용 경험’(23%)보다 구매 결정에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
이에 보고서는 “식품이나 생활용품 판매 시에는 소비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마트 시식 등의 체험형 마케팅방식을 활용하고, 화장품과 유아용품 판매 시에는 타인의 구매 후기를 접할 수 있는 샤오홍슈 플랫폼이나 타오바오·징둥 플랫폼에서의 상품평 기능을 활용해 마케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역협회 고범서 청두지부장은 “중국인들은 아직까지 자국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깊다”면서 “한국 제품이 중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품질과 안전성을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야 하며 식품은 소비자 체험식, 화장품과 유아용품은 상품평 후기를 활용한 마케팅이 주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