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4회 칼럼인 'K뷰티의 토사구팽형 실패 현장을 가다' 얘기를 마무리해 보자.


심각한 것은 중국 자본들이 단순히 K-뷰티를 통해 돈을 벌어가는 것뿐만 아니라 한국 화장품의 제조 노하우, 디자인, 숙련된 인적자원 등도 함께 중국투자기업으로 흘러 들어가면서 중국 화장품 제조역량도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현지 기업들은 변화되는 중국 젊은이들의 트렌드를 실시간 반영한 뷰티제품들을 생산해내며 기존 K-뷰티 중국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바로 2017년 중국 광저우에서 설립된 ‘퍼팩트 다이어리(完美日记)’다. 설립된 지 3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그 성장세가 무섭다.


2019년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 점유율 3위 업체는 프랑스 크리스챤 디올과 로레알 다음으로 5%의 점유율을 차지한 퍼펙트 다이어리였다. 이 업체는 2020년 성장세도 매우 가파른 추세로, 그 기세를 몰아 미국 증시상장을 준비 중이다.


[그림1] 차코스메틱의 다른 사례(좌)와 중국 퍼펙트 다이어리의 색조화장품(우)

*출처: 네이버와 바이두

 


퍼펙트 다이어리는 중국의 Z세대(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자)를 주요 타깃으로 그들이 즐겨 찾는 샤오홍슈, 더우인, 비리비리 등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집중공략 하면서 중국 색조시장을 장악해 나가고 있다.


특히 샤오홍슈 플랫폼 팔로워는 220만 명으로, 이는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브랜드 팔로워인 20만 명보다 10배 이상 많은 수치다.


이 업체 역시 최신 트렌드와 데이터를 활용한 신제품을 재빠르게 출시하면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를테면 최근에는 지오그래픽 중국판과 협업을 통해 중국지형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중국향 16색의 아이섀도우 제품을 출시하면서 중국 Z세대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에서 실패하는 두 번째 유형은 ‘원조가 짝퉁이 되는 모델’이다. 중국의 틈새시장을 뚫고 성공한 우리 중소기업 브랜드가 성장을 지속하지 못하고 중국 현지 브랜드에 의해 시장 점유율이 뒤바뀌는 상황이다.


제품의 원조로서 중국 소비시장에서 대우를 받다가 찬밥 신세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원조가 짝퉁이 되고, 짝퉁이 원조가 되는 유형은 여러 업종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유자차’와 ‘조미김’이다.


이들 품목은 우리 기업의 노력으로 중국시장에서 성공시켜 한국 가공식품 대중국 수출에 효자 역할을 했다.


유자의 감기 및 변비 예방 효과와 달콤하고 몸에 좋은 벌꿀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진 유자차는 중국 틈새시장을 파고들었다.


그러나 이제 중국인이 만든 유자차와 조미김이 중국 유통시장을 장악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시장 내 한국 유자차 인기가 높아지자 중국 로컬기업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었다.


유자차 시장이 커지면서 많은 중국 식음료 기업들이 유자차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예컨대 중국 내 대표적인 식음료 기업인 와하하 그룹도 유자차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막대한 자금력과 유통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산 유자차가 점차 한국 유자차 점유시장을 빼앗아 가고 있는 것이다.


[그림2] 와하하의 유자차(좌)와 중국기업의 스낵김(우)


*출처: 바이두

 


현재 중국 대형마트에 가보면 한국 및 중국 유자차 브랜드가 수없이 많이 진열된 상태다.


그러나 우리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중국 내 마케팅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당연히 중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노출이 많이 되는 중국산 유자차를 찾기 마련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중국기업이 만든 유자차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홍보문구를 겉 포장에 표시하는 수법이다.


이처럼 중국 소비자로 하여금 한국산으로 혼동하게 하는 경우도 허다하게 나타나고 있다.


혹은 중국기업이 아예 국내 식음료 기업에 지분을 투자하거나 회사를 설립해 유자차를 중국으로 정식 수출하는 형태인 토사구팽형 유형도 식음료 업종에서도 빈번히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조미김의 경우도 최근 들어 상황이 심상치 않다. 김은 전 세계적으로 한·중·일 3곳에서 90% 이상 생산된다.


일본과 중국이 마른김 경쟁력이 뛰어나다면 한국은 조미김 제조 능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조미김의 경우는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높은 상태로, 현재 전 세계 109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효자 식품 중 하나다.


2019년 기준 김 수출액이 약 6억 달러로 대상과 동원F&B, CJ제일제당, 삼해상사 등 국내 많은 식품기업에서 조미김을 생산·수출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일본 시장에 이은 우리나라의 세 번째 조미김 수출대상국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 로컬기업들이 만든 조미김이 조금씩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다.


특이한 것은 한국에서 조미김은 밥에 싸서 먹는 반찬 대용이라면 미국·일본·중국에서는 스낵처럼 간식용으로 먹는 개념이다 보니 소금이 적게 들어간 형태로 수출된다는 점이다.


특히, 어린이 대상 식품 시장을 겨냥한 변형된 김 스낵제품의 대중국 수출이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현지 시장 이해도가 높고, 자체 유통망을 가지고 있는 중국 로컬기업들의 공세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매운맛, 바비큐 맛, 마라 맛 등 다양한 김 스낵제품과 김 빵 및 김 아몬드 등 색다른 형태의 김 관련 스낵제품들이 쏟아지면서 중국기업들이 만든 김 스낵제품과 한국산 제품 간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원조가 짝퉁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결국 확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과 맛의 차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부 기업 차원의 해조류 검사센터, 김 R&D센터 등이 운영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정부가 나서야 한다. 몇 년째 탁상공론만 하고 있는 ‘국립 김 산업연구소’가 빨리 설립되어 흩어져 있는 김 R&D 역량을 통합시키고 글로벌 시장에 맞는 조미김·스낵김을 개발해야 한다.

 
한참 수출이 성장할 무렵에는 국내 약 400여 개의 김 회사가 있었지만, 지금은 약 270여 곳으로 줄어든 상태로 몇몇 규모 있는 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영세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결국, 중국의 자본력에 의해 춤은 김서방이 추고 돈은 왕서방이 버는 구조로 전락할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다음 호에 계속 이어집니다)
  

박승찬
중국 칭화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고, 대한민국 주중국대사관에 중소벤처기업지원센터 소장을 5년간 역임하며, 3,000여 개가 넘는 기업을 지원했다. 미국 듀크대학교 경영대학원 교환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사단법인 중국경영연구소 소장과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1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5) kimswed 2022.05.20 9646
690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4) kimswed 2022.05.14 8683
689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3) kimswed 2022.05.06 7795
688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2) kimswed 2022.05.01 6876
687 FTA 활용 성공 사례 화장기기 kimswed 2022.04.30 5086
686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1) africa kimswed 2022.04.23 3250
685 FTA 활용 성공 사례 시스템 비계 kimswed 2022.04.05 2729
684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0) kimswed 2022.03.25 2809
683 초보기업의 FTA 활용 ‘홍삼캔디’ 수출기 kimswed 2022.03.19 3007
682 중국 시장에서 밀려나는 한국제품 kimswed 2022.03.18 2571
681 인도, 금년부터 디지털 자산 합법화 kimswed 2022.02.14 2053
680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 커피 kimswed 2022.02.02 1179
679 남성화장품 ‘티에소’는 어떻게 선진국 시장 진입에 성공 kimswed 2021.07.22 232
678 초보 수출기업 찾아가 애로 해결해주는 ‘이동 KOTRA’ kimswed 2021.06.22 207
677 중국사업, 브랜드 디자인을 사수하라 kimswed 2021.03.14 187
676 한-캄보디아 FTA 최종타결… 섬유·의류 진출기업 수혜 kimswed 2021.02.05 215
675 스킨케어 수출 호조… 중화권 시장 유망 kimswed 2021.01.29 184
674 해외시장전략①] RVC의 시대 kimswed 2021.01.23 158
673 방글라데시에서 떠오르는 한국 화장품 kimswed 2021.01.17 124
672 중국 상표권 등록 안 했다간 큰코다쳐 kimswed 2021.01.01 153
671 충북기업, 바이오폴리텍 kimswed 2020.12.28 107
» 차이나 비즈니스 원조가 짝퉁이 되는 유형에 조심 kimswed 2020.12.18 107
669 화장품 업계, 이제 ‘클린뷰티’에 주목 kimswed 2020.12.14 93
668 내년부터 RCEP 활용해 수출하면 유리 kimswed 2020.11.28 98
667 중국에서 실패하는 5가지 사업유형(1) kimswed 2020.11.07 165
666 인도에 한류 바람 kimswed 2020.11.06 103
665 한국 등 아시아 국가 쫓는 일본 화장품 업계 kimswed 2020.10.17 122
664 중국시장, ‘안전한 한국산’ 마케팅이 먹힌다 kimswed 2020.10.08 106
663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농업회사법인 화양 kimswed 2020.09.18 157
662 FTA 활용 성공사례 인산비료 kimswed 2020.09.12 176
661 K-팝·K-푸드·K-방역 뒤잇는 ‘K-통상’ 온다 kimswed 2020.08.06 146
660 당신의 중국 직원관리는 안녕하십니까? kimswed 2020.08.01 104
659 국산 제품이 곧 트렌드”… 중국 젊은이들이 바뀌었다 kimswed 2020.07.24 110
658 차이나 비즈니스(46)] ‘차이벌라이제이션’으로 승부하라 kimswed 2020.07.16 94
657 한·중 신속통로 문의 창구 운영 안내 (PCR신청절차 변경) kimswed 2020.07.03 169
656 FTA 활용 성공 사례] 플라스틱 풍선 kimswed 2020.06.30 121
655 마케팅은 왜 죽었을까’ 전문가들이 묻다 kimswed 2020.06.18 89
654 인도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를 위한 조건들 kimswed 2020.06.13 79
653 현대 중국을 파악하는 키워드 ‘신4대발명 kimswed 2020.06.06 88
652 우리 회사와 궁합 맞출 중국 도시 kimswed 2020.05.23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