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우리나라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중국의 20대 수입국 중 미국·일본·독일·프랑스·영국 등 주요 5개국(G5), 대만, 아세안 6개국(말레이시아·태국·인도네시아·싱가포르·베트남·필리핀)과 우리나라의 중국 수입 시장 점유율을 2012∼2016년과 2017∼2021년으로 나눠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국의 수입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2012∼2016년 9.8%에서 2017∼2021년 8.8%로 1.0%포인트(p)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6개국과 대만의 점유율은 각각 2.5%p와 0.8%p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경련은 우리나라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 연속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지만, 중국의 대만산 반도체 수입 증가와 아세안 6개국의 약진, 중국의 부품·소재 자급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재작년과 작년에는 점유율이 2위에 머물렀다고 전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과 장비 수출을 제한한 이후 대만산 반도체 수입이 증가하면서 중국 수입 시장에서 대만의 점유율이 늘어났다.
전경련은 또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8.8%에서 2017∼2021년 6.8%로 2.0%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6개국의 점유율은 2.8%p 높아졌다.
아울러 중국 정부가 ‘중국제조 2025’을 앞세워 부품·소재 자급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최근 5년간 우리나라의 대중 부품·소재 수출 금액도 직전 5년에 비해 6.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부품·소재의 중국 수입 시장 점유율 역시 16.9%에서 11.9%로 5.0%p 줄었다.
이 밖에 의약품, 화장품, 유아용 식료품, 플라스틱 제품 등 중국의 10대 소비재 수입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5.4%에서 2017∼2021년 4.2%로 1.2%p 낮아졌다.
이 기간 주요 국가 중 중국의 10대 소비재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상승한 국가는 프랑스가 유일했다. 이는 최근 5년간 중국의 프랑스 화장품 수입액이 직전 5년과 비교해 약 4배로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중국의 산업고도화와 내수 중심의 성장 정책으로 인해 2016년 이후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수입 구조가 고부가가치의 중간재와 소비재 제품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은 반도체 외에도 철강재·정밀화학제품 등 고부가가치 전략 수출 품목을 발굴하고, 정부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상품양허 개정 등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채 weeklyctrade@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