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부진은 구조적 원인

kimswed 2023.04.27 07:09 조회 수 : 65

반도체 제외 품목들 수년간 2%대 증가 그쳐
산업기반·생산성·경쟁력 약화 등이 복합 작용

 
올해 1분기 우리 수출 성적표가 암울하다. 최대시장인 대중국 성장률은 –29.8%, 최대 품목인 반도체 성장률은 –40%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는 4월 25일 열린 무역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이러한 최근 수출부진에 대해 수출산업기반과 생산성·경쟁력 등이 약화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우리 수출은 올 1분기 1515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6%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수입은 1740억 달러(-2.2%)로 225억 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했다. 나아가 4월 20일까지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3% 감소한 1839억 달러였다. 수입은 –4.0% 감소한 2105억 달러, 무역적자는 266억 달러에 달한다.
 
우리 수출증감률은 1월 –16.4%, 2월 –7.6%, 3월 –13.6%, 4.1~20일까지-11.0%로 2월을 제외하면 다소 감소세가 완화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감소세가 두 자릿수에 육박하고 있다.
 
반면 수입은 1월 –2.8%, 2월 3.5%, 3월 –6.4%, 4월 20일까지 –11.8%로 감소세가 확대되는 추세다. 통관기준 무역적자도 1월 125억 달러, 2월 52억 달러, 3월 46억 달러, 4월 20일까지 41억 달러로 다소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교역액 대비 무역적자 비중은 1월까지 11.9%, 2월 누적 8.5%, 1분기 누적 6.9%, 4월 20일까지 누적 6.7%의 추세로 줄어들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국제수지 통계상 상품수지는 작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적자를 나타냈다.
 
▲부산항 감만부두[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도체 제외한 품목, 지난 몇 년간 수출 성장 2%대 그쳐 = 올 1분기에는 대중국 수출(–29.8%)과 반도체 수출(-40%)이 부진한 반면, 승용차 수출성장률이 44.0%에 달했다. 이에 따라 작년 중간재 수출은 9% 증가했으나 올 1분기엔 –19.5%로 감소했고, 소비재 수출은 작년 3.6% 증가했으나 올해에는 환율상승 등에 힘입어 27.1% 증가세를 시현했다.
 
국가별 중간재 수출은 중국(-29.6%), 베트남(-27.5%), 홍콩(-44.7%), 대만(-37.9%) 모두 감소했는데, 이들 한자문화권 국가로의 반도체 등 수출 부진이 우리의 중간재 수출 부진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반면, 소비재 수출은 환율상승과 자동차 등 수출신장세로 미국(39.4%), 캐나다(46.3%), 독일(70.9%) 등의 급증세를 보였다. 이런 영향으로 인해 중간재 수출 비중(69.5%)은 2017년 이후 6년 만에 70% 이하로 떨어지고 소비재 수출 비중은 작년 11.8%에서 올 1분기 15.6%로 확대됐다.
 
 
“최근 수출 부진은 세계경기 위축 등에도 원인이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우리의 누적된 수출산업기반 약화의 결과”라며 “최근 몇 년간 수출증가는 반도체가 주도해 온 반면 반도체 외 품목의 수출증가율은 2%대에서 정체됐다”고 지적했다.
 
지난 7년간 반도체 부문의 수출 증가분이 전체 수출 증가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3%에 달했다. 특히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등 장치산업 수출이 연평균 6.1% 증가할 동안 선박, 자동차, 전자기기 등 비장치산업 수출이 2.3% 감소하면서 장치산업 이외의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수출부진이 더욱 두드러졌다.
 
동시에 반도체 수출 급증과 그 외 품목의 성장세 둔화로 수출구조의 편중성은 세계 주요 수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심화했다. 
 
HS 4단위 기준 최대 수출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의 경우 16.5%인데, 이는 주요 수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상위 10대 품목 비중도 48.1%에 달하며 다른 국가들이 20~30%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난 몇 년간 반도체 경기 호황으로 수출이 급증하면서 전체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면서 다른 산업들의 수출기반 약화는 드러나지 않았다. 우리 수출 중 반도체 비중은 2016년까지는 최대 12.6%에 불과했으나 우리 상품의 세계수출시장점유율은 3.1%대에 이르렀다. 
 
이후 이 비중이 2017년 이후엔 20% 수준으로 급증했으나, 다른 수출 산업기반의 약화로 우리 상품의 세계수출시장점유율은 2.9% 부근으로 하락하였고 최근 반도체 수출마저 급감하자 우리의 세계수출시장점유율은 2.7%대로 14년 만에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역협회는 우리 수출부진의 구조적 원인으로 산업기반 약화에 이어 ▷생산유연성 및 가격경쟁력 약화 ▷수출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확대 ▷미흡한 R&D생산성 등의 원인을 꼽았다. 아울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세금부담 완화 ▷노동유연화 ▷대규모 경제사절단 파견 지속 ▷경쟁국과 동등한 사업환경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김영채  weeklyctrade@kita.ne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수출부진은 구조적 원인 kimswed 2023.04.27 65
731 러시아, 인기 끄는 K-푸드 kimswed 2023.04.10 75
730 북미에서 K-푸드 인기는 현재진행형. kimswed 2023.04.01 293
729 스웨덴, 현장에서 확인되는 제조업 강국 kimswed 2023.03.28 772
728 독일, 한국 화장품 매출 급증 kimswed 2023.03.27 802
727 신생 골프화 브랜드 핏터레스트 kimswed 2023.03.15 2086
726 일본, 식품업계의 히트 키워드 kimswed 2023.02.15 4672
725 대만, 한식과 사랑에 빠지다 kimswed 2023.02.07 5255
724 이라크, 미용필러 제품 진출 유망 kimswed 2023.02.04 5446
723 FTA 활용 성공 사례] X사-생수 kimswed 2023.01.31 5683
722 중국, 다시 부는 자전거 열풍 kimswed 2023.01.25 5964
721 미국인들은 왜 ‘고급 슈퍼마켓’에 열광할까? kimswed 2023.01.16 6091
720 미국, 아마존도 탐내는 홈케어 시장 kimswed 2022.12.21 8185
719 스페인, 확산하는 ‘K-뷰티’ 열풍 kimswed 2022.12.12 8975
718 미국, 스포츠용품 시장의 공략 키워드는? kimswed 2022.11.29 9935
717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8) kimswed 2022.11.12 11157
716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7) kimswed 2022.11.05 11184
715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6) kimswed 2022.10.28 10834
714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5) kimswed 2022.10.21 10804
713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4) kimswed 2022.10.15 10628
712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3) kimswed 2022.10.08 10312
711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2) kimswed 2022.10.01 10185
710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1) kimswed 2022.09.24 10170
709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30) kimswed 2022.09.16 10139
708 글로벌 공급망 대란, 라오스 kimswed 2022.09.15 10089
707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9) kimswed 2022.09.02 10110
706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8) kimswed 2022.08.28 10052
705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7) kimswed 2022.08.20 10078
704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6) kimswed 2022.08.15 10000
703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5) kimswed 2022.08.06 10013
702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4) kimswed 2022.07.26 9949
701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3) kimswed 2022.07.21 10008
700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2) kimswed 2022.07.09 9984
699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1) kimswed 2022.07.04 9942
698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20) kimswed 2022.06.25 9914
697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9) kimswed 2022.06.17 9850
696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8) kimswed 2022.06.11 9882
695 중국, Z세대 안티에이징 수요에 주목 kimswed 2022.06.10 9802
694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17) kimswed 2022.06.06 9842
693 차이나 비즈니스 세미나’를 100회나 개최한 박승찬 kimswed 2022.06.04 9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