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 및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베트남의 미국, 일본, EU에 대한 의류 수출 호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이 베트남-EU FTA 누적원산지 조항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세계 섬유무역과 메가 FTA 영향’ 보고서는 TPP 및 베트남-EU FTA 원산지 누적조항이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세계 섬유산업 공급망에 변화를 일으키고 다시 한국의 섬유수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의류수입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과 EU, 일본이 베트남산 의류에 대한 관세 인하·철폐를 단행할 경우 베트남에 원사와 직물을 공급하는 한국에게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

 

문제는 TPP와 EU-베트남 FTA는 까다로운 원산지 기준을 적용해 보통 베트남 내에서 직물을 만드는 제직 및 편직 공정부터 시작되어 완성된 의류에 대해서만 FTA 특혜고나세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산 직물을 수입해 생산한 의류는 EU 및 TPP 회원국으로 수출할 경우 FTA 혜택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EU-베트남 FTA는 매우 이례적으로 원산지 규정에 ‘한국산 직물(Fabrics Originating from Korea)’에 대해 베트남 원산지 자격을 부여하는 누적조항이 삽입되어 있다. 즉 베트남에서 한국산 직물을 사용해 생산한 의류라 하더라도 EU에 수출시 베트남산으로 인정받아 FTA 특혜관세가 적용된다. 이는 아직까지 베트남이 원사 및 직물 자체 공급이 부족한 생산여건을 충분히 고려해 규정된 것으로 한국이 이 조항을 활용할 경우 베트남에 대한 섬유 수출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TPP의 경우에는 비회원국인 한국산 직물을 활용해 베트남에서 생산된 의류는 미국, 일본 등 TPP 회원국에 수출시 FTA 특혜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TPP 역내 공급 네트워크에서 배제되지 않기 위해서는 한국이 TPP를 가입하거나 베트남 내에 섬유사 및 일본 생산을 위한 투자를 확대시켜야 한다.

 

제현정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이 섬유 강국으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TPP 가입과 함께 베트남이 체결한 FTA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EU-베트남 FTA는 2018년 발효가 예상되기 때문에 우리 업계는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13.jp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8 김석운/ 베트남 기초화장품 file kimswed 363 2016.07.02
347 베트남온라인쇼핑몰 file kimswed 544 2016.07.01
346 베트남오토바이시장 kimswed 307 2016.07.01
345 베트남 식품 수출 절차는 file kimswed 111 2016.06.30
344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글로벌 경제 침체 file kimswed 126 2016.06.30
343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 가뭄으로 커피 가격 인상 전망 file kimswed 249 2016.06.29
342 베트남 인건비 상승…진출 기업 전략 바꿔야 file kimswed 100 2016.06.29
341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정부지원 받는 자동차 부품산업 file kimswed 151 2016.06.28
340 베트남 인터넷쇼핑 시장 file kimswed 245 2016.06.28
339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청년 일자리 file kimswed 156 2016.06.27
338 광림기업: 트럭크레인 베트남 수출 첫 단추는 무역협회에서 kimswed 291 2016.06.27
337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소비재 산업의 변화 file kimswed 136 2016.06.25
336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3) 한국식품 K-food 인기 file kimswed 145 2016.06.24
335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4) 선진 교육시스템 수요 기대 file kimswed 120 2016.06.24
334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5) 소형가전제품 시장 유망 file kimswed 121 2016.06.22
333 베트남 인건비 상승…진출 기업 전략 바꿔야 file kimswed 68 2016.06.22
332 명신, 베트남서 홈쇼핑 사업…중기 진출 지원도 file kimswed 91 2016.06.21
331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6) 급속하게 늘어나는 편의점 file kimswed 128 2016.06.20
» 섬유업계, 베트남 FTA 특수 적극 활용해야 file kimswed 73 2016.06.18
329 베트남의 개방은 현재 진행형 kimswed 73 2016.06.17
328 베트남저렴한藥價 kimswed 156 2016.06.17
327 베트남의 전기자전거, 정착할 수 있을까? kimswed 126 2016.06.17
326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선진 교육시스템 수요 기대 file kimswed 96 2016.06.16
325 상해 교민사회, 베트남 부동산에 눈 돌린다 file kimswed 140 2016.06.16
324 베트남 사회, 여성 리더 두각 kimswed 114 2016.06.16
323 우즈벡화잘품시장 file kimswed 128 2016.06.08
322 오바마베트남방문 file kimswed 193 2016.06.01
321 무역피해사례9 file kimswed 92 2016.05.27
320 무역피해사례8 file kimswed 129 2016.05.27
319 무역피해사례6 file kimswed 113 2016.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