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부동산 시장과 한국기업진출

kimswed 2016.07.15 08:29 조회 수 : 248

 

 0c26236dcf6c9379691b03cd078aaaf7.jpg

 

변화하는 베트남의 경제정책 때문이다. 최근 베트남 국회를 통과한 법률 중에서 주택법, 투자법, 기업법 등의 새로운 법률이 2015년 7월 1일 시행될 예정이며 WTO 양허안에 따라 2015년부터 외식업 등 서비스업의 시장이 개방된다.

 

 

이러한 법률을 살펴보면 외국기업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비자가 있으면 누구나 주택을 매입할 수 있고 임대도 할 수 있으며 외식업의 진출도 용이해 진다. 종전의 투자법에 의하면 외국인의 지분이 3%를 초과하면 외국기업으로 규정하였으나 51%미만의 외국인 지분 기업은 외국기업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응웬쩐남 베트남 건설부 차관은 외국인이 베트남에서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도 수출의 일환이라는 표현을 하면서 주택법 개정을 추진했다.

 

이러한 경제정책의 변화로 베트남의 거리 곳곳에서는 건축열기로 뜨겁다. 이미 소형 주택은 재고가 소진되고 좀 더 큰 면적의 주택들을 짓는 아파트 공사가 한창이며 기존의 재래식 점포도 현대식으로 개조하는 작업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베트남의 임대료는 다른 동남아 국가에 비하여 무척 높은 편이다. 호치민 시의 1군 중심가 상가밀집지역의 빈컴센터 등에서는 상가의 임대료가 ㎡당 월간 50달러를 넘어서고 있으며 오피스텔의 임대료도 최고 ㎡당 월간 32달러에 달한다.

 

2008년부터 시작된 경기침체 및 고물가로 인하여 매년 10%씩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다. 부동산 가격은 2012년까지 40% 가량 하락했고 오피스텔의 공실률이50%에 이름에도 임대료는 내려가지 않는 이상 현상이 지속되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통화팽창 정책을 회수한 사항과 대체적으로 베트남의 경기 부진은 일시적이며 다시 활성화 될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13년부터 경기지표가 살아나면서 다시 건축경기도 기지개를 펴고 재래식 상가를 현대식으로 바꾸고 중단되었던 건축 현장도 다시 가동되며 새로운 건축현장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부동산 가격은 안정되어 2000년대 초와 같은 부동산 가격 폭등은 없을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이다.

 

신세계 그룹은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오르는 부동산 임대료 때문에 이마트의점포수를 줄이면서 적자를 해소해 간 경험이 있다. 따라서 베트남에 진출한 이마트는 우선 토지를 매입하고 점포를 건축하고 있다.

 

베트남 호치민의 거주용 주택은 ㎡당 1000달러 내외에 거래되고 있다. 상가겸용 주택은 1층은 상가, 2층은 창고, 3~4층은 사무실 또는 거주 겸용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면은 4m 측면은 8m, 12m, 16m 등으로 건축되어 있다. 새로이 건축되는 아파트는 대부분 신도시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최근 집을 사서 이사를 간 베트남 사람의 집들이를 가본 적이 있다. 위치는호치민 시의 주택밀집지역인 고밥이다. 이마트가 들어서는 지역으로 중심가에서는 다소 떨어져 있는 서민들이 사는 지역이다. 전면 4m, 측면 8m로 2층이니 건축면적은 64㎡이다. 구매가격은 18억동(9000만원)이다. 부부가 맞벌이하며 부지런하고 살림꾼인 부인의 말로는 아파트를 사지 않고 일반주택을 구입한 이유는 아이가 2명인데 크면 3, 4층을 올려서 아이들 방을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부 대출을 받았는데 은행금리가 안정되어서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1층에 들어서니 대형 타일로 깨끗하게 거실 바닥을 꾸몄고 거실 뒤편의 주방에는 신형 싱크대가 놓여있고 LG 냉장고 등이 눈에 띄었다. 거실에도 42인치 TV가 있었는데 삼성전자 제품이었다. 거실에서 10여명이 둘러 앉아 요리를 해서 먹었는데 프라이팬은 코팅이 된 신형이다. 냉장고에서 꺼내오는 새로 산 밀폐용기도 한국산이다. 2층의 침대와 소파도 새로 장만했다고 한다. 조금 여유가 생기면 인테리어 생활소품을 사려고 한단다. 행복지수가 무척 높은 베트남 사람들이 더욱 행복해지는 것 같다. 우리나라나 베트남 사람이나 집을 사면 다음 후속 조치는 아주 비슷한 면이 있다.

 

베트남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한국산 제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부동산 시장이 개방되며 FTA 체결로 무역이 늘어나고 WTO 시장으로 서비스 시장까지 열려서 고용창출이 증대되고 수요가 더욱 늘어나는 2015년의 베트남은 더욱 뜨거워 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 동안 베트남에서 부동산을 살 수 없었던 13만명의 한국 주재원이나 외국인 들이 주택을 구입하고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이나 외식업체가 베트남으로 들어오는 2015년에 한국기업들이 9000만명의 베트남 내수 소비시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생각해 본다.

 

 

김석운 한국-베트남문화교류협회 기획위원장

(kswkso@hanmail.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0 한국브랜드 상품을 좋아하는 베트남 kimswed 350 2016.07.15
» 베트남 부동산 시장과 한국기업진출 kimswed 248 2016.07.15
378 생산기지에서 유망시장으로 변모하는 베트남 kimswed 187 2016.07.15
377 변화하는 베트남 웨딩 서비스시장 kimswed 331 2016.07.14
376 베트남의 최근 유통시장 변화와 무역환경 kimswed 169 2016.07.14
375 베트남의 투자·기업법 개정 및 투자환경 kimswed 185 2016.07.14
374 베트남 진출에 참고할 시장환경 kimswed 163 2016.07.14
373 베트남의 국가선호도 및 마케팅 kimswed 252 2016.07.13
372 온라인으로 베트남에 침투하라 kimswed 182 2016.07.13
371 베트남 전자제품 시장 동향 kimswed 233 2016.07.13
370 베트남 진출 기업들의 ‘노동 고민 kimswed 215 2016.07.13
369 애 먹이는 베트남 세관 kimswed 225 2016.07.13
368 베트남에서 뜨는 ‘스파용 화장품 kimswed 299 2016.07.13
367 베트남 여성들의 하얀 피부에 대한 문화코드 kimswed 439 2016.07.12
366 빠르게 변화하는 베트남 kimswed 166 2016.07.12
365 점차 커지는 베트남 소비재 시장 kimswed 159 2016.07.12
364 베트남  최근 소매유통 변화 kimswed 206 2016.07.12
363 김석운/ 베트남 커피 전문점 프랜차이즈 성공사례 kimswed 752 2016.07.12
362 베트남의 투자 매력 kimswed 180 2016.07.11
361 베트남 부동산 시장 kimswed 315 2016.07.11
360 한류 타고 베트남으로 kimswed 154 2016.07.11
359 베트남 오토바이 문화 file kimswed 2833 2016.07.11
358 김석운/베트남 소비성향도 점차 고급화 file kimswed 236 2016.07.09
357 베트남 맥주시장, file kimswed 242 2016.07.09
356 베트남에서 잘 팔리는 가전제품 file kimswed 846 2016.07.09
355 베트남 건강식품시장 급성장 file kimswed 287 2016.07.09
354 베트남 패스트푸드시장 file kimswed 305 2016.07.09
353 베트남, 7월부터 중고기계 수입에 ‘사유서’ 필요 file kimswed 289 2016.07.09
352 김석운/ 베트남온라인 유통시장 file kimswed 311 2016.07.07
351 베트남인터넷 환경 file kimswed 460 2016.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