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기업들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과 점점 높아지는 중국의 인건비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로 하여금 베트남을 주목하게 만들었다. 특히 우리나라에게 베트남은 경제적으로 점점 가까운 이웃이 되고 있다.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제4위 수출 대상국으로 떠올랐다. 홍콩이 중국에 포함된다고 보면 베트남은 중국, 미국에 이어 사실상 제3위 수출 대상국이다.


현재 베트남은 ‘제2의 도이머이(Doi Moi, 개혁개방)’를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법인세를 인하했고 외국인 주식투자 한도를 철폐하였으며, 외국인 주택소유도 허용했다. 대외적으로는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과 EU와의 FTA 타결 등 다양한 형태의 주요경제권과의 경제통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베트남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역사적 배경, 인구, 소득 등을 고려했을 때, 베트남에서 가장 현대적인 소비문화와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은 호치민과 하노이를 포함한 대도시들이다. 그 중 내가 파견되어 있던 호치민은 베트남에서 사실상 소비를 이끌고 있는 최대 경제도시이다. 베트남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도시이자(2015년 기준 5538달러) 외국인투자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해 있고 최대 소비시장을 보유한 도시이다.


베트남 소비시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할 정도로 잠재력이 높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베트남으로 갈 수는 없다. 베트남 소비시장 진출 때 다음과 같은 현지 소비자들의 소비 트렌드 및 소비의식 변화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프랜차이즈와 외식산업 = 베트남은 맞벌이 문화다. 베트남 여성들은 직업관이 뚜렷하며 전체 근로자 중 여성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각 분야에서 여성들의 활약이 크다. 그러다보니 집밥 문화보다는 외식 문화가 더 발달한 나라다. 베트남은 소비성향이 강해 저축하기보다는 돈이 생기면 쓰는 스타일이다. 한국과의 다른 점이라고 하면, 냉장고가 우선순위에서 배제된다는 점이다. 집에서 밥을 많이 안 해 먹기 때문이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국인 베트남은 2015년 1월부터 해외 소매기업이 100% 자기 자본으로 법인을 설립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프랜차이즈 매장 또는 신설호텔의 부대시설로만 외식업이 가능했지만 이제 레스토랑과 카페 등 외식사업의 독자적 운영이 가능해졌다. 한국 프랜차이즈의 경우 직영점 형태로 롯데리아가 200여 개 매장, 뚜레주르가 40여 개 이상 영업 중이다. SPC 역시 베트남에 파리바게뜨 매장을 개점하여 인기를 끌고 있다. 베트남에도 치맥 열풍이 불고 있다. BBQ 베트남법인은 현지인을 대상으로 인기리에 가맹점을 운영 중이다.

 

호치민 시내에는 한국 업체가 많이 입주한 빌딩을 중심으로 상당수 한국 음식점이 성업 중이다. 생각 외로 식당마다 베트남 현지인이 많이 관찰된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한국 음식을 맛보고자 하는 현지인들이 많다.

 

 

 

●스타벅스 사이에서 당당히 자리 잡은 현지 빈티지(Vintage) 카페 = 몇 년 전부터 급속한 현대화에 지친 베트남 소비자들 사이에서 옛날 감성을 찾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는 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네 등의 외국계 대형 카페들 사이에서 ‘옛날 베트남’이나 ‘빈티지’ 컨셉을 강조한 현지 카페들이 당당히 자리를 잡게 된 배경이 됐다.

 

이들은 현대적인 인테리어보다는 1980년~1990년대의 분위기를 살려 주요 소비층인 80~90년대 생들의 추억을 자극하고 있다. 2016년 7월 글로벌 프랜차이즈인 NYDC가 베트남에서 최종 철수한 것과는 달리, 대도시 골목에 자리 잡은 ‘허름하지만 세련된’ 옛날 카페들은 현지 소셜 네트워크에서 꾸준히 공유되며 유명세를 타고 있다.

 

그 중 하나인 Cong Caphe(꽁카페)는 하노이를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 전역에 총 20여 개의 지점을 둔 대표적인 현지 카페 중 하나이다. 이 카페는 1980년대 문호 개방 이전 베트남 사회주의 시절의 분위기를 구현하고, 그 당시의 향수를 자극하는 종업원 유니폼, 골동품 등의 소품 및 인테리어로 인기를 끌고 있다.

 

 

 

●쑥쑥 크는 장난감 시장 = 베트남의 0~12세 어린이는 약 208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전체 인구의 25%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이처럼 높은 어린이 인구 비율과 국민 평균소득 증가로 유아용품 소비 지출액이 늘어나고 있다. 베트남 장난감 시장의 성장잠재력은 매우 크다.

 

베트남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의 장난감 수입 대상국은 중국이 압도적인 1위로 시장점유율 63%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대만이 8%, 호주가 7%, 한국은 5%를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장난감 소비 트렌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더라도 안전하고 품질이 좋은 제품이다. 이런 제품은 중국산을 대체하고 있는데 최근 인지도가 상승한 수입 브랜드에는 FisherPrice(미국), LeapFrog(미국), Eftech(독일), Fischertechnik(독일), Oxford(한국) 가 있다.


단순 놀이 목적의 장난감보다는 교육기능이 부가된 장난감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못지않은 베트남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겠다.

 

 

최대봉 호치민 FI Logistics Co., Ltd. 근무

 

* 이 글은 제16기 글로벌무역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법인에 근무한 인턴들의 보고서를 취합해 정리한 것임을 밝힙니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22 유통 중국 다음은 베트남 kimswed 21 2019.01.21
521 신남방정책, 베트남 수산·가공 kimswed 25 2019.01.20
520 베트남 온라인쇼핑 활성화 kimswed 20 2019.01.17
519 베트남 내수시장의 확대 kimswed 20 2019.01.02
518 베트남 중산층의 증가 kimswed 38 2018.12.20
517 베트남 쇼핑객의 구매향 변화 kimswed 42 2018.11.21
516 베트남, 절대 만만한 시장이 아니다 kimswed 38 2018.11.15
515 베트남 디지털 경제 kimswed 29 2018.11.08
514 베트남 플랫폼 활용 kimswed 41 2018.10.25
513 베트남 식품의 현지화 kimswed 70 2018.10.12
512 베트남 외식 시장 kimswed 961 2018.10.05
511 베트남 스타트업 성장 kimswed 61 2018.09.28
510 베트남 편의점 증가 kimswed 67 2018.09.14
509 베트남)브랜드 마케팅 file kimswed 77 2018.08.30
508 베트남 안전한 식품 file kimswed 75 2018.08.29
507 베트남 주택 수요 kimswed 103 2018.08.20
506 베트남 쇼핑 패턴의 변화 kimswed 93 2018.08.04
505 모바일 앱 시장 열리는 베트남 file kimswed 99 2018.07.07
504 베트남 온라인쇼핑 경쟁 file kimswed 144 2018.06.22
503 베트남 유통시장 인프라 file kimswed 122 2018.05.23
» 베트남은 ‘제2의 도이머이(Doi Moi, 개혁개방) kimswed 127 2018.05.19
501 베트남 사업규제 완화 kimswed 88 2018.05.12
500 아세안 화장품 시장 공략하려면 kimswed 57 2018.05.06
499 베트남의 영유아용품 시장 kimswed 122 2018.05.04
498 베트남인 상대로 외국인이 장사하려면 kimswed 442 2018.04.20
497 한-베트남 비즈니스 파트너십 kimswed 59 2018.04.19
496 SK 베트남 화물차휴게소진출 kimswed 47 2018.04.19
495 베트남 사업 환경 kimswed 72 2018.04.15
494 베트남신용카드 kimswed 154 2018.04.13
493 호찌민에 화장품 상설판매장 '클루앤코(CLEWNCO) kimswed 233 2018.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