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외식 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하노이 중심의 북부지역 진출을 고려 중인 우리 기업이라면 현지 식음료(F&B) 프랜차이즈 업계의 동향을 살피면서 입지 선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KOTRA의 시장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베트남 외식 시장 진출방안을 알아봤다.
◆ 부푸는 외식 시장=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6년 베트남의 외식 사업장 수는 30만713개였다. 유형별로는 노점상·가판대가 전체의 절반에 달했고 나머지 39%는 풀 서비스 레스토랑이었다. 2011년 8만9200여 개에 불과했던 풀 서비스 레스토랑 수는 2016년 11만6500개까지 늘어났다. 지난 5년간 연평균 5400개가 새로 생긴 것.
매장 수 증가와 함께 매출도 상당한 성장세다. 2011~2016년 풀 서비스 레스토랑 시장 매출은 연평균 15.1%의 속도로 늘었으며 작년에는 2016년 대비 7.5% 증가한 1514만4000달러에 달했다.
외식 수요 증가로 베트남 외식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7년 1678달러(도시 거주자 2418달러)로 집계된 베트남 국민의 1인당 연간 가처분소득은 연평균 7%씩 증가해 2020년과 2025년에는 2095달러(2852달러)와 2941달러(3623달러)로 예상된다. 지난해 베트남 소비자의 식비 관련 항목이 896달러로 연간 소비 지출액의 53%를 차지한 상황에서 가처분소득 증대는 식비 지출액도 꾸준히 늘릴 전망이다.
관광산업 호황에 따른 여행자 증가도 현지 외식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중요 동인이다. 2016년 베트남은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와 관광 수익에서 역대 최고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작년에도 역대 최대인 129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최고 호황을 누리고 있다.
◆ 하노이 직장인들의 외식 패턴=KOTRA 하노이 무역관은 하노이 거주자들의 외식 소비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현지 직장인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주말 저녁’에 ‘친구’와의 외식을 가장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식 빈도는 ‘월 1회 이상’이 절반이 넘는 52%를 기록했으며 나머지 48%는 ‘2~3개월에 1회 정도’였다. 외식을 하는 주 시간대로 ‘주말 저녁’을 꼽은 응답자의 비율이 55%로 가장 높았고 선호도가 가장 낮은 때는 ‘주말 점심’이었다.
외식 동행자로는 ‘친구’(66%)가 가장 많았고 10인 이상 또는 5~10인의 다수 인원이 함께 외식을 즐겼는데 이는 미혼자의 비율이 높았던 조사 응답자의 특성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외식비용은 48%가 ‘10만~20만 동(4~9달러)’이라고 답했고 ‘20만~40만 동(9~18달러)’을 선택한 응답자는 35%였다.
관심 메뉴로 ‘한식’이 ‘스시’와 ‘피자’ 제치고 1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베트남 현지식을 제외하고 가장 관심 있는 외식 메뉴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한식’과 ‘일식’을 꼽은 응답자가 43%와 31%를 각각 기록했다.
외식 장소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선택한 곳은 ‘뷔페 레스토랑’(39%)이었으며 ‘독립 레스토랑’(26%)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24%)이 뒤를 이었다. 외식 장소로 뷔페 레스토랑 선호도가 높은 것은 가성비 때문이다.
식사를 주문하면 물과 기본 반찬이 나오는 한국과 달리 현지 음식점들은 자잘한 음식 하나하나에도 값을 매겨 한 끼 외식 부담이 만만치 않다. 그러다 보니 현지 물가 대비 다소 높은 식사비용에도 뷔페 레스토랑을 찾는 사람이 많으며 관련 레스토랑 체인도 크게 성업 중이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곳은 ‘골목식당’ 또는 ‘쇼핑몰 입점 레스토랑’이었다. 골목식당에 대한 높은 선호도는 ①트렌디한 음식점을 소개하는 사이트 및 모바일 앱의 등장 ②사회공유망서비스(SNS)나 블로그를 통한 음식점 홍보와 마케팅 ③현지인의 주요 이동수단인 오토바이의 기동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쇼핑몰도 외식 장소로 각광받았는데 외부 날씨나 시간 구애 없이 쾌적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 현지 외식 시장 트렌드=KOTRA 무역관이 하노이 시내 9개 쇼핑몰에 입점한 205개 레스토랑 매장을 분석한 결과 F&B 체인 매장과 개인 독립 매장 수는 각각 178개(87%)와 27개(13%)로 체인 매장이 압도적이었다.
카페 및 디저트를 제외하고 쇼핑몰에 입점한 외식 매장을 음식 국적별로 분류한 결과 베트남 현지식이 36개, 베트남을 제외한 아시안 레스토랑이 105개로 전체의 17%와 51%를 차지했다. 아시안 레스토랑 매장의 음식 콘셉트별 비중은 일본(16%), 한국(14%), 중국(12%) 순이었다.
쇼핑몰 내 아시아계 레스토랑의 높은 비중은 아시안 음식에 대한 현지 인기를 반영한다. 미디어를 통한 한국, 중국, 일본 문화의 급속한 유입과 아시아 국가들의 투자 진출에 따른 외국인 거주자 증가, 관련 국가 음식문화 접근성 개선, 웰빙 음식으로 각광받는 한식과 일식의 인기 등이 작용했다.
하노이 쇼핑몰 내 외식 시장을 주도하는 로컬 F&B 기업은 골든 게이트와 레드 선이다. 9개 쇼핑몰에 입점한 두 기업 브랜드의 외식 매장 수는 19개와 24개로 전체 체인 매장의 24%를 차지했다.
최근 베트남 외식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콘셉트는 ‘핫팟(Hot pot)’이다. 현지인들에게 핫팟은 매우 친숙하고 대중적인 음식으로 ‘러우’라고 불리는 베트남 전골 요리는 가족 외식은 물론 각종 모임과 직장 회식의 단골 메뉴다.
최근에는 베트남 전통 스타일 핫팟뿐 아니라 태국, 한국, 일본, 홍콩 등 해외 각국의 음식 풍미를 가미한 핫팟 전문점이 성행 중이다. 골든 게이트를 비롯한 현지 F&B 기업들이 국가별 콘셉트에 기반한 핫팟 전문 브랜드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주요 쇼핑몰과 상권을 중심으로 매장 수를 급격히 늘리고 있어 핫팟 전문 레스토랑의 호황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우리 기업 진출방안=베트남 소비시장이 하노이, 호찌민, 다낭 등 소수 대도시에 편중돼 발달하는 특성상 시장은 협소하지만 성장세는 무척 빠르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도 현지 외식 시장에 진출해볼 만한데 시장을 선도하는 현지 F&B 프랜차이즈의 비즈니스 모델을 눈여겨 봐야 한다.
이들은 매년 1~2개의 외식 브랜드를 자체 개발해 내놓고 있는데 신규 매장 개점 시 주안점을 두는 사항은 매장 입지조건이다. 최근에는 현지인들의 주요 외식장소로 쇼핑몰이 각광받으면서 주요 쇼핑몰에 자체 브랜드 매장을 다수 입점시키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지 시장 트렌드와 수요자 니즈 파악이다. 현지 F&B 기업들의 신규 브랜드와 주요 쇼핑몰 입점 브랜드 매장 현황을 감안할 때 해외 음식, 특히 아시아 음식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관심이 높으며 가성비 높은 뷔페 레스토랑, 핫팟, 한국식 고기구이 등이 인기다.
응우엔 콩 아이 베트남 KPMG 부사장은 “외식 사업체의 신규 매장 또는 매장 수 확대는 적당한 점포를 찾는 것으로 끝나는 간단한 일이 아니다”면서 “고객의 기호, 특히 주요 소비자인 젊은 층의 기호 파악이 관건”이라고 조언했다.
한국무역신문 wtrade0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