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요식업 브랜드의 흥망성쇠

kimswed 2016.07.30 08:49 조회 수 : 333

 

 소비시장의 잠재성이 커도, 베트남 진출 요식업 브랜드는 실적이 기대 이하 -

- 성공 키워드는 맛 또는 가격의 현지화 -

 

 images (29).jpg

 

 

□ 외국계 요식업 브랜드의 베트남 진출 현황

 

  1980년대 베트남의 문호 개방 이후, 베트남에 처음 진출해 큰 성공을 거둔 1세대 외국계 요식업 브랜드는 Jollibee(필리핀), KFC(싱가포르 업체 계약), 롯데리아(한국)임. 이들은 2007년 이후 외국계 동종 브랜드들이 진입하기 전까지 10년가량 베트남에서 막강한 인지도를 쌓았음.

  - 1990년대에 베트남에서 요식사업을 시작한 KFC와 롯데리아의 경우 직영으로 매장을 운영해왔음. 그러나 법적인 제재로 인해 2006~2014년 사이에 진출한 해외에 모기업이 있는 외국계 외식기업들은 현지업체와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어 합작으로 사업을 시작했음.

 

글로벌 외식산업 브랜드의 베트남 진출연도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2007년에 베트남이 세계무역기구(WTO)의 가입국이 된 이래 2015년 7월까지 사업을 허가받은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148개로 집계됐음. 그 중 요식업 프랜차이즈가 43.7%를 차지하며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음(2015년 8월, 베트남 산업통상부(MoIT)와 EU-Mutrap 간의 프랜차이즈 관련 회담 중 발표 자료). 현재 베트남 외식산업 브랜드 중 패스트푸드 분야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2015년 글로벌 외식산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

주: 1) Mon Hue는 베트남 음식 브랜드, Highlands는 카페
      2) 2014년 베트남에 진출한 맥도날드의 시장점유율은 0.9%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호치민 무역관

 

  주목할 만한 것은 2007년 이전의 패스트푸드 브랜드들(롯데리아, KFC, Jollibee)이 맥도날드와 버거킹 등을 포함한 대형 패스트푸드점들의 등장에 주춤하는 듯 보였으나, 현재에도 여전히 두터운 고객층으로 업계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것임.

  - 2015년 Euromonitor 자료에 따르면, 롯데리아가 요식업계 점유율 25.1%로 가장 높았으며 해당 브랜드를 소유한 롯데그룹의 시장점유율 또한 1위였음.

  - 업계 2위인 Yum! Brands Inc이 KFC, 피자헛, 피자헛 Express를 소유해 시장의 20.5%를 점유하는 것에 비하면, 롯데그룹의 요식업계 점유율이 매우 선도적임. 롯데그룹은 외식사업으로 롯데리아(25.1%)와 Angel-in-us(0.2%)를 운영하고 있음.

  - 2016년 현재 롯데리아와 KFC의 점포 수는 각 210개, 140개를 넘어섰음. (각 사 홈페이지 참고)

 

  2012년, 버거킹은 베트남에 4000만 달러 투자를 계획하며 화려하게 등장했음. 버거킹의 프랜차이즈 계약업체인 Imex Pan Pacific(IPP)은 2012년 당시, 5년 내로 베트남에 60개의 매장을 확장할 것을 계획했음. 그러나 4년이 지난 2016년 1월 기준, 버거킹 매장은 전국 16개에 불과하며 남은 매장들마저 하나씩 폐점하는 실정임.

 

  맥도날드 역시 2014년 2월 첫 개점 시 자녀 손을 잡고 나온 부모들과 현지의 젊은이들이 뒤섞인 2만5000명의 인파를 맞았음. 하지만 2년이 지난 2016년 맥도날드에 대한 평은 엇갈리고 있음. 맥도날드는 10년 안에 전국에 100개의 매장을 목표로 했지만, 현재 8개 매장을 열었을 뿐이고 매장들은 호찌민시에 한정돼 있음.

 

 20여 년이 흘러도 점유율 1위 롯데리아, 2년 사이 폐점하는 버거킹. 왜?

 

  베트남 요식업계를 이끌고 있는 롯데리아, KFC, Jollibee의 공통점은 맛과 가격의 현지화임. 이들은 패스트푸드의 본 의미에 충실해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는 메뉴, 적합한 가격, 정형화되고 신속한 서비스로 ‘일반 대중’의 수요를 충족시켰음.

  - 2015년 5월에 DI Marketing이 현지인 18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인지도가 높은 패스트푸드 브랜드는 KFC(94%)와 롯데리아(90%),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는 롯데리아(35%)였음. 소비자들이 롯데리아를 선호하는 이유는 배달서비스와 다수의 점포로 접근성이 용이하고, 가격 프로모션 행사가 만족스러우며, 음식 메뉴가 현지인들의 입맛에 적합하기 때문이었음.

 

  패스트푸드 업계 관련자들은 버거킹의 실적이 저조한 원인으로 ‘햄버거’를 지목한 바 있음. 이들은 햄버거 가격이 타 브랜드보다 비쌀뿐만 아니라 주력상품으로 햄버거만 고집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함. 아직 현지인들 중에서 일상 음식으로 햄버거가 익숙하지 않은 이들이 대부분인데, 외국의 입맛을 그대로 베트남 시장에 맞추려 한 것이 실패 요인임.

  - 현지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종류는 튀긴 치킨(82%), 피자(68%), 햄버거(64%) 순인 것으로 나타났음(2015년 DI Marketing 조사). 롯데리아에서 매출이 높은 메뉴 역시 치킨, 밥, 햄버거 순임.

 

  같은 이유로, 맥도날드 또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음. 현지 언론사인 VietNamNet은 버거킹과 맥도날드가 베트남 첫 개점 당시 상당한 이목을 끌었지만, 베트남 소비자의 수는 처음보다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음. 주메뉴가 햄버거뿐이라 아이들이 선호하는 튀긴 치킨 메뉴는 선택이 한정돼 있고, 주력상품인 햄버거의 가격도 주 경쟁업체인 롯데리아와 KFC보다 높게 책정돼 있다고 강조했음.

  - 베트남의 경우, 중산층 이상만이 맥도날드를 일상적인 끼니 해결의 장소로 선택할 수 있음.

  - 빅맥의 단품 가격은 약 3300원이고, 세트메뉴는 4300원임(감자튀김과 콜라 포함).

  - 2015년 기준, 베트남의 1인당 평균 월소득은 450달러임. 또한, 대도시에서 시간당 아르바이트를 할 경우, 패스트푸드점은 시급이 1만5000동(750원) 근처로 형성돼 있음.

 

베트남 롯데리아의 메뉴 중 일부

자료원: 롯데리아 베트남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KFC와 롯데리아는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해 햄버거 외에도 치킨과 밥을 이용한 메뉴를 주력으로 판매해 왔음. 특히 밥 메뉴는 KFC와 롯데리아가 2010년부터 주도해 판매하기 시작했는데, 해당 메뉴들은 현재 두 브랜드의 베스트셀러가 됐음.

  - 밥 메뉴는 사무 직장인과 학생에게서, 치킨은 어린아이를 포함한 전 연령대에서 수요가 높음.

  - 치킨과 밥을 함께 파는 메뉴는 베트남인들이 끼니로 자주 찾는 현지 음식 Cơm tấm gà*와 비슷함. 해당 메뉴는 쌀과 국수류를 주식으로 하는 현지인에게 친숙함을 줘, 패스트푸드점에 익숙해지게 했음. 무엇보다 프로모션 행사로 인해 현지 음식과 가격 차이가 크지 않음.

   * Cơm tấm gà(껌떰가): 흰 쌀밥에 구운 닭고기를 한 그릇에 담아주는 음식

  - Jollibee와 버거킹도 트렌드에 따라 2014년 말부터 비슷한 메뉴를 도입했음(맥도날드는 2016년 5월 12일부터 도입). 그러나 일부 언론은 현지 소비자들에게 이미 KFC와 롯데리아의 밥 메뉴가 우선적으로 인식돼있기 때문에, 비슷한 메뉴를 도입하기 보다는 차별화된 음식으로 현지인들에게 어필해야 한다고 조언함.

 

  일각에서는 맥도날드와 같은 유명 외국 브랜드가 갖고 있는 상징성과 이미지로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음. 그러나 프랜차이즈 요식업은 의류나 전자기기와는 달리 사회에서의 지위와 관련된 과시적인 소비가 될 수는 없을 것이라는 반박도 존재함. 즉, 빅맥이 고가의 핸드폰과 똑같은 무형의 가치를 가질 수는 없다는 것임.

 

 햄버거에 대항하는 쌀국수. 현지 음식 브랜드의 반격

 

  외국계 외식업체들의 도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현지 음식을 내세운 프랜차이즈의 성장이 눈에 띔.

  - 현지 음식 브랜드인 Mon Hue는 롯데리아, KFC, Jollibee에 이어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시장을 4번째로 크게 점유하고 있음. 해당 브랜드는 2007년도 피자헛과 동일한 해에 등장했는데 성장의 격차는 매우 큼. (Mon Hue의 시장 점유율은 6.8%, 피자헛은 3.6%(2015년 Euromonitor 자료))

  - 현지 음식 프랜차이즈들이 등장한 초기에는 외국인이 주로 관심을 갖는 방문객이었다면, 특히 2010년 이후부터는 현지 소비자들의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했음.

 

현지 음식을 내세운 대표 요식업 프랜차이즈

 

 

베트남 음식 프랜차이즈

설명

1

Phở 24(퍼24)

- 2003년에 첫 매장을 열었음. Pho 24는 베트남에서 쌀국수를 브랜드화 해 성공한 1세대 프랜차이즈임. 해당 브랜드는 베트남의 열대 더위에서 뜨거운 쌀국수를 먹어야 하는 소비자들의 불편함을 캐치하고,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려는 의도에서 탄생했음.

- 2010년도까지 Pho 24는 베트남뿐만 아니라 필리핀, 한국, 캄보디아, 홍콩에까지 진출해 총 73개의 매장을 보유

- 2011년에 Viet Thai International과 Jollibee Foods Corporation이 소유한 the SuperFoods Group에 인수됐음.

2

Wrap & Roll(랩 앤 롤)

- 2006년에 설립된 월남쌈 전문 프랜차이즈. 월남쌈 외에도 라이스페이퍼를 이용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있음.

- 현재 호주와 싱가포르에도 지점을 열었음.

3

Món Huế(먼 훼)

- 2007년에 설립된 베트남 중부 지방(Hue 지역) 쌀국수 Bun Bo Hue 전문점임.

- Mon Hue는 Huy Vietnam사 소유 브랜드인데, 당사는 쌀국수 전문점인 Pho Ong Hung, 밥 메뉴를 판매하는 Com Tho Chay, 베트남식 샌드위치 전문점 Great Banh Mi & cafe를 함께 운영하고 있음.

- Huy Vietnam은 Templeton Asset managemnet, Fortress Capital, AIF Capital 등을 통해 6500만 달러를 투자받았음.

- 현재 Mon Hue는 베트남 전국에 걸쳐 총 60개의 매장이 있음. 특히 2014년 한 해에만 11개의 매장을 새로 열었음.

4

Cơm Tấm Cali(껌떰깔리)

- 2007년에 설립됐음. 밥과 반찬을 한 그릇에 담아주는 기존 현지 음식을 전문으로 판매함.

- 호찌민시에서 총 16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 Cơm Tấm Cali 외에도 동일 메뉴를 전문으로 하는 Cơm Tấm Bụi Saigon이 있음.

5

Bánh Mì 362(반미 362)

- Banh Mi 362는 2015년 초 현재와 같은 모습의 브랜드 매장을 호찌민시에서 처음 열었음.

- 해당 브랜드는 베트남식 바게트 샌드위치(반미)로, 12개의 다른 반미를 판매하고 있음. 소비자들은 기호에 따라 원하는 내용물을 선택할 수 있음.

- 반미는 베트남인들이 주로 아침에 끼니로 찾는 대표 음식 중 하나임. 길거리에서 파는 것이 대부분인데, 해당 브랜드는 반미를 브랜드화, 청결한 환경에서 조리해 판매함.

- 길거리의 반미와 가격은 약 1.5배 차이가 남.

- 호찌민 내에서도 경제 수준이 높은 지역, 외국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 매장을 두고 있음.

 

주1: 위의 표에 언급된 업체는 모두 배달 서비스를 제공함.

주2: 모두 호찌민시에서 사업을 시작함.

자료원: DNA Branding, 각 사 홈페이지

 

  베트남인들이 기존의 일반적인 현지 식당에서 벗어나 프랜차이즈 지점을 찾는 이유는 쾌적한 공간과 서비스 때문임.

  - 베트남에서 일반적인 현지 식당은 개방된 공간이 대부분임(최근 일부 식당이 냉방시설을 설치하는 추세). 그러나 일반 현지 식당과는 달리, 프랜차이즈 지점은 현대식 인테리어와 함께 에어컨과 무선망 인터넷(WIFI)을 구비하고 있음. 지역마다 분포해 있기 때문에 접근성도 높음.

  - 베트남은 오토바이를 이용한 배달 문화가 발달해 있음. 현지 프랜차이즈들은 이를 이용해 소비자들에게 쌀국수까지 배달하는 편의를 제공함.

  - 프랜차이즈 음식점은 통일된 지침에 따라 각 지점들이 정형화된 서비스를 제공함. 또한, 조리 과정과 시설이 길거리의 현지 식당보다 훨씬 청결할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임.

  - 베트남 정부는 2016년을 ‘식품안전의 해’로 지정해 자국민의 식품위생의식을 제고하고, 식당들의 위생 단속과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의 안전에 힘쓸 것을 공표했음. 따라서 식품안전과 위생에 신경쓰는 현지 소비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프랜차이즈가 길거리의 일반 식당보다 평균 1.5~2배가량 가격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현지인들에게 인기를 끄는 것은, 더 나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와 의식 성장을 보여주는 것

 

  더불어 대부분의 현지 음식 브랜드는 현재 베트남에서 패스트푸드로 대표되는 외국계 요식업 브랜드와 가격이 비슷하거나 그보다 저렴함. 이에 더해 현지인들은 고기와 야채가 적절히 들어간 베트남의 전통 음식이 외국의 패스트푸드보다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음.

  - 현지 언론들은 쌀국수 한 그릇보다 3~4배가량 비싸고 칼로리도 높은 외국계 패스트푸드점 메뉴가 인기가 없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고 꼬집었음.

 

 시사점

 

  베트남은 9300만 명에 이르는 인구, 새로운 문화 경험에 보수적이지 않은 청년층, 변화하는 식습관, 성장하는 소비자의 구매력으로 인해 외식산업 투자자들이 잠재성을 높이 평가했음. 그러나 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요식업 브랜드일지라도, 베트남에서는 기대 이하의 실적을 거두고 있음. 반대로 1세대 진출 업체들은 20년 가까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이들의 두드러진 차이는 가격 또는 맛의 현지화로 대중을 사로잡았는지 여부임.

 

  요식업 브랜드 중 베트남 외식산업을 이끌고 있는 분야는 패스트푸드임. 그러나 2010년 이후로 현지 음식을 내세운 브랜드가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음. 이들은 베트남인들이 요식업 프랜차이즈 식당을 찾는 이유를 잘 이해했고, 이를 사업에 반영해 소비자들의 발길을 끌고 있음.

  - 현지인들이 식사를 위해 프랜차이즈 식당을 찾는 이유는 기존의 현지 식당에 비해 시원하고 청결한 공간과 친절한 서비스 때문임. 또한, 현지 음식 브랜드는 일반 식당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가격을 책정했음.

 

  베트남에 현존하는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00개도 채 되지 않음. 현지 인구수와 내수시장 규모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임. 진출 브랜드들이 난항을 겪는 외부적인 요인은 기존 브랜드들의 규모가 아주 크다는 것과, 이들이 너무 단기간에 동시에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는 것임.

  - 베트남인들의 구매력이 커지고, 식습관도 바뀌어 외국음식에 익숙해지고 있는 것은 사실임. 그러나 짧은 시간에 갑자기 등장한 외국 브랜드가 베트남인들의 식생활을 갑자기 바꾸고 트렌드가 되기란 결코 쉽지 않은 일임. 소비자들의 행동패턴을 바꾸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브랜드에 친숙해지는 계기를 반드시 만들어야 함.

 

  다음 편에서는 베트남 외식산업에 대한 위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요식업체들의 베트남 시장 공략 방향을 제시할 것임.

 

 

자료원: 롯데리아 베트남, Pho24, Mon Hue, Com Tam Cali, Banh Mi 362 홈페이지, DNA Branding, DI Marketing, Euromonitor International, 현지 언론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2 베트남 지불 결제시장 file kimswed 345 2016.08.26
431 베트남에 사과·배·딸기 수출 유망 file kimswed 453 2016.08.20
430 베트남‘카카오톡’ kimswed 540 2016.08.16
429 베트남 소비시장을 잡아라 file kimswed 233 2016.08.12
428 베트남유아용 식품 시장 유망 file kimswed 269 2016.08.05
427 베트남홈쇼핑시장 file kimswed 495 2016.08.04
426 베트남 외식산업 제대로 알아보고 진출하자 kimswed 415 2016.08.01
» 베트남 요식업 브랜드의 흥망성쇠 file kimswed 333 2016.07.30
424 베트남 영화 시장 동향 file kimswed 476 2016.07.30
423 베트남기업 인수합병 file kimswed 367 2016.07.29
422 베트남에서의 소규모 투자 진출 file kimswed 297 2016.07.29
421 베트남자동차 특별소비세 file kimswed 302 2016.07.29
420 베트남 통신산업 file kimswed 202 2016.07.28
419 수입 식음료 찾는 베트남인들 file kimswed 243 2016.07.26
418 한국브랜드 상품을 좋아하는 베트남 file kimswed 353 2016.07.26
417 베트남 의료시장매년 10%씩 고속 성장 file kimswed 209 2016.07.26
416 베트남 의료시장ii file kimswed 193 2016.07.26
415 베트남외식업도 한류바람 대박 file kimswed 292 2016.07.25
414 베트남 진출에 참고할 시장환경 file kimswed 212 2016.07.25
413 베트남 외식업 진출 file kimswed 240 2016.07.25
412 수출 대상국으로 부상하는 베트남 file kimswed 225 2016.07.23
411 베트남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file kimswed 284 2016.07.23
410 베트남 수출, 내실은 ‘흐물흐물 file kimswed 186 2016.07.23
409 홍삼, 베트남에서 시장성 높아 file kimswed 308 2016.07.23
408 베트남 하이테크 농업 file kimswed 265 2016.07.22
407 베트남 젊은 소비계층의 변화 file kimswed 1250 2016.07.22
406 베트남 부동시각 file kimswed 288 2016.07.22
405 베트남 상반기 경제동향 file kimswed 224 2016.07.22
404 베트남 패스트푸드시장 file kimswed 235 2016.07.21
403 매력적인 베트남 식품시장 file kimswed 258 2016.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