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9_028.jpg

 

캄보디아는 다른 나라처럼 원래 자국 통화가 있습니다. 1953년부터 ‘리엘’을 유통시켰습니다. 그러나 1975년부터 크메르루주 말기까지 사회간접시설이 파괴돼 화폐발행 시스템이 없다가 1993년 유엔의 평화유지 활동으로 다량의 미국 달러가 도입되면서 이제는 달러가 광범위하게 통용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리엘은 주로 거스름돈이나 음료수 구입처럼 소액 거래에 사용되고 대부분은 달러를 쓰는 나라가 된 것입니다.


‘달러화’(dollarization)란 한 국가에서 자국의 법정 통화 대신 역외 통화인 달러가 광

범위하게 쓰이는 현상과 그 정도를 말하는데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달러화 비중이 30%를 초과하면 달러화의 진행 정도가 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캄보디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1993년 캄보디아의 달러화 비율은 36%였는데 이 수치가 작년에는 83%까지 치솟았습니다. 2014년 달러의 예금 비중은 95%, 대출 비중은 98%나 됩니다.


캄보디아 경제의 달러화는 이익과 손해를 동반합니다. 일단 해외 투자자들은 달러화 투자를 선호하는데 세계 경제 변화로부터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난 9월 말레이시아 링깃, 태국 바트, 베트남 동은 상당한 평가절하가 이뤄졌지만 캄보디아 리엘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환율을 유지했습니다.


반면 낮은 리엘 사용률은 캄보디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경제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입니다. 최근 들어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주변국 통화가 평가절하되는 것과 달리 캄보디아는 수출 경쟁력 저하와 투자 유치에 애로가 발생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주요 수출품인 의류와 쌀의 가격 경쟁력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 5월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10만 리엘, 약 25달러짜리 지폐를 발행했습니다. 기존의 최고액 지폐가 2만 리엘(약 5달러)짜리였기 때문에 고액을 지불할 때 리엘을 쓰기가 힘들었는데 10만 리엘짜리 지폐의 발행으로 리엘 사용 기회가 늘어난 것입니다.


이런 영향인지 지난 3월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리엘의 통화량과 예금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 20년간 각각 연 17%와 2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은행예금보험 출시를 앞두고 리엘 사용 장려를 위해 리엘 예금만 보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참고로 아세안 국가 중 미얀마, 캄보디아만 은행예금보험이 없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이와 함께 모든 세금 납부와 공무원 월급 지급을 모두 리엘화로 하기로 했고 주요 은행은 달러보다 리엘 예금에 더 높은 이율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통화주권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성급한 ‘탈 달러화’를 경계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리엘 장려 정책을 너무 성급하게 시행하면 자본 도피, 외화 암시장 형성 같은 문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캄보디아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체결과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을 앞두고 ‘탈 달러화’의 속도를 어떻게 조절할지 궁금합니다.

 



주간무역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46 캄보디아법인청산 file kimswed 232 2016.08.11
545 라오스 관광산업 file kimswed 211 2016.08.10
» 캄보디아 경제의 큰 숙제 ‘탈(脫) 달러 file kimswed 228 2016.08.10
543 라오스의 프랜차이즈산업 kimswed 172 2016.08.09
542 라오스 식품시장의 특징과 한국식품 전망 file kimswed 184 2016.08.06
541 벨라루스 화장품시장 file kimswed 156 2016.07.25
540 해외서 신용카드 쓸 때 file kimswed 112 2016.07.25
539 브라질 시장 공략을 위한 ‘4P’ 맞춤전략 kimswed 112 2016.07.23
538 베트남인들이 한국식 결혼식을 올리는 그날까지 file kimswed 182 2016.07.19
537 아프리카 제조업진출의 위험관리 kimswed 90 2016.07.16
536 베트남 주부들의 장바구니 kimswed 65 2016.07.14
535 베트남소매업 시장개방에 따른 기업의 동향 kimswed 163 2016.07.14
534 한국 파트너 찾습니다 kimswed 65 2016.07.09
533 베트남 파산법의 주요 내용과 절차 안내 file kimswed 106 2016.07.05
532 벤치마킹하면 수출해법 file kimswed 91 2016.06.30
531 CJ헬로비전,베트남 유료방송 file kimswed 87 2016.06.28
530 온라인 수출에 도전하라 file kimswed 90 2016.06.24
529 해외지점설치(변경) file kimswed 118 2016.06.15
528 자율준수 무역거래자지정 신청서 file kimswed 172 2016.06.15
527 외화획득용 원료·물품 등 구매(공급)확인(신청)서 file kimswed 533 2016.06.15
526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 수출입확인신청서 file kimswed 222 2016.06.15
525 수출입실적의 확인 및 증명발급(신청)서 file kimswed 241 2016.06.15
524 무역고유번호 file kimswed 336 2016.06.14
523 베트남법인설립 file kimswed 258 2016.06.08
522 베트남제품인허가 file kimswed 173 2016.06.08
521 베/재외국민등록 file kimswed 112 2016.06.01
520 베/항만산업 file kimswed 116 2016.05.31
519 베/무역절차 file kimswed 120 2016.05.27
518 발전기판매A/S센타개장 file kimswed 4261 2008.05.01
517 베/유통및부동산 file kimswed 106 2016.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