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에 농기계를 수출

kimswed 2016.11.17 08:17 조회 수 : 185

국내 무역업체 A사는 터키에 예초기와 같은 농기계를 수출하려고 했다. 하지만 현지 바이어는 해당 기계를 두고 CE(Communaut European Mark) 인증이 필요하다며 이를 요구했다. 터키가 아직 유럽연합(EU)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고 CE 마크가 필요 없다고 생각했던 A사는 이같은 사실이 맞는지 한국무역협회 Trade SOS에 문의했다.


CE 인증은 불어에서 유래된 ‘Confor-mite Europeene’의 뜻으로 유럽연합의 통합규격 강제인증제도다. 지난 1993년 7월 EU이사회에 의해 CE Marking으로 최종 확정된 CE 인증은 유럽 내에서 유통되는 상품 중 소비자의 건강, 안전, 위생 및 환경보호차원에서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모두 적용된다. 대상 품목의 경우 CE 마크 부착은 법적인 요구사항이며 이를 어기면, 유럽 내에서 유통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CE 인증을 받은 제품은 EU 27개국 및 유럽자유무역지대(EFTA) 4개국 및 주변 전 유럽국가에 별도의 절차 없이 자유롭게 판매될 수 있다. 이중 터키는 유럽 인근국가로 알바니아, 스위스 등과 함께 EU 준회원국에 속한다. 터키는 2004년부터는 터키로 수입되는 모든 공산품에 대해 CE 인증을 의무화했으며 이전까지는 자국의 인증인 TSE(Turk Standardlari Enstitusu) 인증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 조치의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EU 가입을 희망하는 터키가 모든 무역시스템을 EU 국가와 동일한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이 조치를 시행했고 둘째는 중국 등 아시아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낮은 품질의 저가 제품들을 규제하고자 했다. 이러다 보니 EU 국가들이 시행하는 규제보다 더욱 철저한 검증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제품의 경우 기술 발전에 따라 규격이 자주 바뀌지만, CE 인증이 이전 규격으로 사용되면 이를 인정하지 않고 반드시 새 규격으로 평가된 인증서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터키에 수출되는 상품은 철저히 CE 인증 절차에 따라 CE 마크를 획득한 후 수출돼야 한다. 이 업체가 수출하려는 농기계도 기계류에 속하므로 Machinery Directive 98/37/EC 지침에 따라 CE 인증을 받아야 한다. 단, 터키는 기존의 자국 인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선택에 따라 필요 인증을 더 요구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업체는 수출 전 충분한 정보를 기반으로 준비해야 한다. 또 최종적으로 바이어와 필요한 인증에 대해 충분히 협의해 선적 후 인증이 없어 통관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미리 막는 것도 중요하다.


이명호 전문위원
<주간무역>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무역사기 kimswed 2018.02.15 181
» 터키에 농기계를 수출 kimswed 2016.11.17 185
68 BWT 조건 방식으로 수출 kimswed 2016.11.17 1409
67 신용장 상품명세란과 포장명세서 kimswed 2016.11.10 202
66 위탁판매방식으로 화장품을 수출 kimswed 2016.11.10 11944
65 관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지 kimswed 2016.11.10 497
64 재화 수입할 때 부가가치세 납부유예제도 kimswed 2016.11.09 400
63 현지 해외 업체와 클레임 금액을 상계처리 kimswed 2016.11.09 924
62 선적기한 연장 신청 후 유효기간 이내에 서류를 제출 kimswed 2016.11.09 577
61 해외에서 원재료를 무상으로 받고 국내서 제조해 외국에 수출 kimswed 2016.11.09 459
60 수출클레임 kimswed 2016.11.05 186
59 OB/L 재발행 되지 않는다는데 file kimswed 2016.07.25 530
58 바이어가 제조물책임보험을 요구 file kimswed 2016.07.18 195
57 선적 된 후에도 신용장 개설 가능 file kimswed 2016.07.16 647
56 바이어의 수출대금 송금 확인 file kimswed 2016.07.16 264
55 농산물에 대한 원산지확인서 발급 file kimswed 2016.07.16 393
54 환변동보험 청약 kimswed 2016.07.16 125
53 베트남에서의 법인 설립 절차 kimswed 2016.07.15 581
52 컨테이너 체화료 문제해결은 kimswed 2016.07.15 253
51 무역 생초보가 수출을 완료한 비결 kimswed 2016.07.15 173
50 중국에 회사를 설립할때 kimswed 2016.07.15 148
49 영사관의 계약서 확인이 필요한 이유 file kimswed 2016.07.13 291
48 하자로 인한 반품 시 상계처리는 kimswed 2016.07.13 4898
47 초보기업을 위한 수출절차는? kimswed 2016.07.13 389
46 중재를 통한 성공적인 무역분쟁 해결사례 kimswed 2016.07.12 1854
45 VMI거래가 무엇인가요? kimswed 2016.07.12 918
44 신용장 결제조건시 유의사항은? kimswed 2016.07.12 605
43 선하증권발행시 세금계산서발행? kimswed 2016.07.12 314
42 운송업체가 OBL 분실? kimswed 2016.07.12 1311
41 품목분류가 상이한 경우에도 원산지증명서 file kimswed 2016.07.11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