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기술이전

kimswed 2018.04.14 07:18 조회 수 : 71

◇ 베트남 기술이전, 100점짜리 아니어도 된다 베트남 경제동향 및 투자관련 주요이슈 ◇ Nghe An성 외국인직접투자 1억 달러 유치 목표 ◇ WTO 규정에 따라 해결해야 할 무역 문제 ◇ 태국산 수입차량, 전월 대비 증가 ◇ 2018년 CPI 유지 : 목표 도달 위해 총력 동원 ◇ 하이퐁, 외국인직접투자 916백만 달러 유치 2018. 4. 9.(월) No. 596 - 2 - 베트남 기술이전, 100점짜리 아니어도 된다 - 무조건 최신기술보다, 현지 기업이 소비 가능한 수준의 기술 찾아 수출해야 - - 현지 중소기업의 난점을 우선 이해하고 투자효과 설득하려는 노력 필요 - □ 베트남 기술정책 관련 법령 ㅇ 베트남 과학·기술 관련 법의 가장 큰 토대는 ∆과학 기술법(2013년) ∆베트남 기술 이 전법(2006년)임. - 베트남은 상기 두 법률을 토대로 명령과 시행령을 제정함. 과학·기술 발전 프로그램 역시 대부분 두 법률 하 공포됨. - 2006년 제정된 기술 이전법은 2017년에 개정돼 2018년 7월 1일부터 발효 중 베트남 과학·기술 시장 관련 국가 발전 프로그램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취합 □ 시장 현황 ㅇ 베트남 과학기술부(MOST,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에 따르면, 기술이전 신청 및 승인 건을 분석한 결과 63%가량이 다양한 산업에 걸쳐있음. 26%는 농업 생산 및 식품 가공, 11%는 의약 및 약학, 화장품 산업에 분포돼 있음. ㅇ 베트남 기술이전 및 기술시장, 발전은 거북이 걸음 - 과학·기술 개발 진흥 국가 프로그램과 이를 뒷받침하는 법 체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 기술 이전은 진전이 더딤. - 그동안 진행된 기술이전 활동은 대부분 외국계 회사들이 베트남에 지사를 설립하며 발생한 것이거나, 베트남 투자자들이 외국에서 기계 및 생산시설을 수입할 때 함께 들여오며 이행된 것임. 베트남 FOCUS 2018. 4. 9.(월) No. 596 - 3 - ㅇ 중소기업이 가진 한계점이 베트남 기술이전시장의 발전을 저해 - 베트남에서 기술 이전 활동이 더딘 것은 현지 기업 대부분이 중소기업이기 때문임. 베트남에서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 중 98%를 차지하는데, 이들의 자금 한계 때문에 기술과 장비를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음. - 실제로 베트남 기술 상용화 훈련 및 지원센터(TST)는 베트남 소지 현지 기업 중 자체 연구·개발(R&D) 시설을 보유한 곳은 5%에 불과하다고 전함. 또한 7%의 현지 기업들만이 R&D 활동과 기술이전 경험이 있었는데, 이들 중 다수가 기술이전은 받았지만 R&D 시설을 갖추지 못했음. 이는 베트남 기업 80% 가량이 기술이전에 접근할 수 있는 R&D 활동이 없다는 것을 뜻함. - 호찌민시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30%의 기업들이 기술 혁신에 대한 중요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술 및 장비 개선을 위해 개발 전략이나 계획도 수립하지 않고 있음. ㅇ 베트남 기술이전 시장, R&D 활동을 이행하고 신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는 인력 부족 - 베트남 내 공공 및 민간 기업들은 기술 정보를 서로 공유할 네트워크가 빈약하므로, 외국기업과 현지기업 간 기술이전 활동을 연계할 전문지식 및 기술 또한 부족함. 이 때문에 기술 공급자와 수요자 간 정보 교류, 특허 상용화, 기술 가치 평가 등의 활동이 비활성돼 있음. - 덧붙여, 법 체계가 불완전하고 현행법 시행이 엄격하지 못한 것 또한 현재 베트남 기술이전 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목됨. □ 한국-베트남 기술이전 협력 현황 ㅇ 준비된 한국 기술, 베트남에서는 왜 흡수가 느린가 - 한국과 베트남 간 원부자재 산업 양자 협력 중 일부로,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베트남 산업자원부는 협약을 체결하고 2014년 이래 한국의 기술을 베트남에 무상 이전하고 있음. - 베트남에 제공하기로 한 한국 기술은 182개임. 베트남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섬유·의류산업, 제조업, 엔지니어링, 전자기기 및 자동차 산업에 걸쳐 28개, 2016년 에는 11개의 기술이 베트남에 이전됐음. - 이처럼 무상 기술이전 활동이 예상보다 천천히 진행되고 있는 주요 원인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거의 모든 베트남 기업들이 중소 규모이기 때문임. 현지 중소기업 대부분이 기술 수준이 낮고 회사 자금이 한정적임. - 따라서 한국에서 무상으로 기술이 이전된다고 하더라도, 현지 중소기업들은 이전된 기술을 사용할 장비를 구입할 능력과 기술을 다룰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함. - 또한 현지 기업들은 이미 자금과 기술력이 확보된 외국투자기업에 비해 경쟁력 낮다고 평가되곤 하는데, 이 때문에 많은 현지 중소 기업들이 신 기술을 위한 장비에 자금을 투자한다고 하더라도 그 비용이 외투기업의 경쟁력을 따라잡을 만큼 큰 변화를 줄 것 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 덧붙여, 한국 기술 다수가 베트남 현황에 맞지 않아 현지 기업들의 수요에 부합하지 않는 것도 원인임. 2018. 4. 9.(월) No. 596 - 4 - ㅇ 우리 정부는 한국-베트남 과학·기술 기관(VKIST, Vietnam-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설립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통해 공적개발원조 (ODA)를 진행 중 - VKIST 설립 프로젝트는 하노이 화락 첨단기술 단지(Hoa Lac Hi-Tech Park)에서 진행 중임. 이 프로젝트의 발대식은 2017년 11월에 열렸고, 베트남 순방기간 중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3월 22일에 VKIST 기공식에 참석했음. - VKIST는 정보통신기술과 생명공학(주로 의약품 및 약초, 수확 후 가공 기술)에 중점을 두어, 연구·개발 활동 및 특허 등록 관리를 담당할 것임. ㅇ 한국-베트남 인큐베이터 단지(KVIP) 설립 프로젝트 - KVIP는 한국의 또 다른 ODA 자금 프로젝트로 베트남 남부 껀터(Cần Thơ)시에 기반해 있으며, 한국 테크노파크를 모델로 설립됨. - KVIP는 2015년부터 스타트업의 활동과 기술 인큐베이터를 지원 중임. ㅇ 한-베 기술 자문 및 솔루션 센터(TASK, Technology Advice and Solutions from Korea) 조성 약속 - 2018년 2월 초 우리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베트남 산업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한-베 산업협력 플라자에서, 양국 연합 위원회 미팅 중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베트남 산업 에이전시는 TASK 협약서에 서명함. ㅇ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은 한국 중소기업의 기술이전을 지원하고 한국 제조기술을 베트남 기업에 이전하기 위해, 호찌민시 사무소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를 주 최했음. - 일례로, 2017년 KITECH은 베트남 섬유·의류 협회(VITAS, Vietnam Textile and Apparel Association)와 협력해 'Smart Manufacturing System for Sustainable Textile Industry' 라는 주제 하 콘퍼런스를 개최함. 이는 3D 스마트 패션 디자인, VR 쇼룸, 스마트 염색 체계 등의 기술로 생산성을 제고하고 생산 비용은 절감하며, 섬유·의류 공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임. - 또, KITECH은 2016년 베트남 산업자원부 남부지국(SRO)과 협력해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Enterprises'라는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한 바 있음. □ 기술 진흥 담당 베트남 정부기관 ㅇ 베트남 과학·기술 프로젝트 총괄 기관은 현지 과학기술부 - 베트남 과학기술부는 중앙 정부 단위의 현지 전역 과학·기술 프로젝트 총괄 본부임. 그 아래, 지방 정부 단위의 과학·기술처(DOST, Depart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각 시, 성(province)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함. - 각 지역 과학·기술처들은 기술 진흥을 위해 대부분 그 산하에 ∆과학·기술 정보 ∆과 학·기술 응용 전담 직속 기관을 두고 있음. 한편, 일부 지역에서는 이 두 역할을 직속 기관 1개가 관리하기도 함. 2018. 4. 9.(월) No. 596 - 5 - - 일례로, 호찌민시 과학·기술처는 산하에 과학·기술정보 통계센터(CESTI, Center for Statistics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of Hochiminh City)와 과학·기술 진보응용센터(S.T.C., Center for Science and Technology Progress Application of Hochiminh City)를 두고 있음. 베트남의 주요 기술이전 관리기관 주: HCMC는 호찌민시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ㅇ 성 정부 소속 과학·기술처는 직접, 또는 담당 부서를 통해 기술이전 관련 온라인 페이 지를 관리함. - 베트남 최초의 기술이전 관리 온라인 홈페이지는 호찌민시 CESTI가 2001년에 구축한 Techport(전신은 Techmart online)임. - 2016년에는 Techport를 통해 기술 및 장비에 관련한 질문이 145건 접수됐으며, 80개 기업에 정보가 제공되고 7건의 기술이전 계약(총 36만 달러 규모)이 성사됐음. 2018. 4. 9.(월) No. 596 - 6 - □ 시사점 ㅇ 베트남,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술개혁의 중요성 인지 - 베트남은 최근 한-베 FTA, ATIGA 협정, EU-FTA, CPTPP 등 다양한 국제 무역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세계경제 편입 또한 가속화되고 있는 중임. - 아울러 베트남 경제는 노동집약적 산업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바, 이제는 점진적인 기술 개혁을 통해 현지 기업들의 생산 효율성 및 생산품의 부가가치를 제고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발전 계획의 주안점으로 두고 있음. 베트남 정부가 우선하는 사업 분야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ㅇ 베트남에 기술 및 관련 기기 수출 시, 현지 시장 현황을 고려해 현지 기업을 설득하고 장기적인 파트너로서 현지 기업에 믿음을 주는 태도 필요 - 기술개혁에 대한 베트남의 이상과는 달리, 현실은 현지 기업 대부분이 중소 또는 그 이하의 영세한 규모이므로 당장 눈앞에 보이는 변화가 없거나 미래 수익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현지 기업은 기술 및 장비 수입에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함. - 무엇보다 이들이 갖춘 자금이 한정적이므로, 기술을 수입한다고 하더라도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와 기술인력이 부족함. - 따라서 대베트남 기술 수출에 관련한 우리 기업은, 이러한 현지 시장 배경을 우선 이해하고 서비스 수출 사후 관리 등의 노력으로 현지 기업에 신뢰를 구축해야 할 것임. - 또한 현재 베트남 기업들의 신기술 도입 수요가 집중된 사업 분야를 파악해야 함. 예를 들어 베트남은 청과물이 국가 주요 수출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유통 및 가공 기술 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음. 한 기관 관계자는 하이테크 농업* 기술의 경우, 대규모 농작 기술보단 현지 중소기업 또는 개인에게 적합한 중소규모의 기술이 수요가 높다고 귀띔하기도 했음. - 아래는 KOTRA 호치민 무역관이 TST, SRO, CESTI에, 현지 기업들이 주목하는 사업 분야를 메일로 문의하고 그 답변을 요약한 것 * 참고 보고서: KOTRA 호치민 무역관 작성, '베트남 농림수산업, 이대로 일본에 내어줄 것인가 2018. 4. 9.(월) No. 596 - 7 - 각 기관이 정리한 현지기업 관심 사업 분야 주: 메일 회신일은 2018년 3월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ㅇ (참고) 2018년에 예정된 CESTI의 TECHMART 행사는 아래와 같음. - TECHMART 행사의 주요 활동은 기술·장비 소개 및 전시, 기술·장비 소개 세미나, 1:1 비즈니스 매칭임. - 2017년에는 생명공학 응용, 농업 하이테크, 껀터시 비즈니스 매칭, 메콩델타 지역 내 석짱성(Sóc Trăng Province) 과학·기술의 날 기념 행사를 포함해 총 4개의 행사가 개최됐음. 2018. 4. 9.(월) No. 596 - 8 - 2018년 TECHMART 행사 주: 1) TECHMART 2는 Trade Fair on Seeds & Breeders and Agricultural High Technology와 함께 개최됨, 2) TECHMART 3은 Exhibition and Convention on Scienc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Southern Central Coastal & Central Highlands Region와 함께 개최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원: 현지 언론, 기술 관련 베트남 정부기관 문의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2018. 4. 9.(월) No. 596 - 9 - 베트남 경제동향 및 투자관련 주요 이슈 Nghe An성 외국인직접투자 1억 달러 유치 목표 ○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응에안(Nghe An)성은 2018년 1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8개의 외국인 직접 투자 (FDI) 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이를위해 Nghe An성 인민위원회는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독일상공회의소(DIHK), 미국상업회의연합회(AmCham), 주베트남 호주상공회의소 (Auscham), 네덜란드비즈니스협회 베트남(DBAV), 주베트남 유럽상공회의소(EuroCham) 및 홍콩 사업협회(Hong Kong Chinese Enterprises Association) 등 국제기구와 적극적인 협력을 하고 있음. ○ Nghe An성은 또한 세계은행(World Bank)이 자금을 지원하는 Nghe An성의 Vinh시에 인프라 개발 사업, JICA가 자금을 지원하는 관개 시스템 개선 사업, 사우디아라비아가 자금을 지원하는 홍수 빈번 지역 인프라 개선 사업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기존 ODA 사업 진행을 가속화 할 것임. ○ 해당 지역은 2020년까지 사업 우선순위 목록 및 ODA(공적개발원조)나 스폰서로부터 금융 특혜가 필요한 분야 목록을 검토할 예정임. ○ 또한 올해 Nghe An은 2017-2020년 계획 하에 승인된 사업을 위해 국제 비정부기구 (NGO)로부터 2~3백만 달러를 동원할 것으로 기대됨. ○ FDI 프로젝트와 국제 원조를 효과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협력 확대 및 대책 모색과 함께, 이 지역은 올해 9억 5천만 달러 수익 창출과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임. ○ 현재 Nghe An 성은 많은 외국 파트너와 협력 관계를 맺어 왔으며, 이는 이 지역의 사회 경제적 발전 증진에 기여해 옴. [출처: Vietnam Investment Review Apr 08, 2018] 2018. 4. 9.(월) No. 596 - 10 - WTO 규정에 따라 해결해야 할 무역 문제 ○ 지난 4월 5일 외교부 정기 기자회견에서, 베트남 외교부 대변인 Le Thi Thu Hang은 미국의 무역 방어 조치에 따른 베트남 수출 품목에 대한 사항을 앞두고, 베트남과 미국 간의 무역 문제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다루어져야 하며 모든 관련 당사국들에게 공정하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밝힘. ○ 외교부 대변인은 기자 회견에서 몇몇 결정사항을 밝히고, 기자들의 관심 주제에 대해 의견을 표함. 특히 최근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 상태에 대한 베트남의 입장 표명에 앞서, Le Thi Thu Hang 대변인은 국가 간 무역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WTO 관행에 따르며, 모든 이해관계국의 이익을 합법적으로 보장하고, 지역 및 세계의 협력과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고 덧붙임. ○ 미국은 베트남을 비롯한 해외 제품 수입을 위한 무역 조치, 주로 관세 조치를 지속적으로 적용함. 기자회견에서 베트남의 수출 품목에 대한 미국 무역 방어 조치의 영향 관련 질문 시간 전에 앞서, 외교부 대변인은 “베트남과 미국 간의 무역 관계가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양측은 적극적으로 협동하고, 공통 관심 부문에 대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야 합니다‘ 라고 견해를 밝힘. ○ 같은 맥락으로 베트남과 미국 간 무역 문제는 발전하고 있는 양국 간의 전면적인 파트너십을 기반한 WTO 규정에 따라야하며 이해 관계국들에 대한 공정성을 토대로 해결되어야 합 니다." 라고 Le Thi Hang Hang이 강조함. ○ 최근 중국 국무원, 외교통상부 장관의 방베 결과에 대한 외교부 대변인의 질문 답변에 따르면, 베트남 방문 결과는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음. 양측 고위급 간부들은 각국의 공통 관심 부문에 대한 효과적인 조치실행, 상호이익을 위한 협력 확대, 해상 분쟁 통제, 양국의 관계 적극적 발전 및 유지에 대해 활발하게 얘기를 나눔. [출처: 베트남 온라인 상공업 신문 Apr 05, 2018] 태국산 수입차량, 전월 대비 증가 ○ 4월 첫째 주 베트남 하이퐁 항구를 통해 태국산 자동차가 500대 이상이 들어옴. 이는 2018년을 맞이한 후 가장 높은 수치로 집계됨. ○ 베트남 세관총국의 통계에 따르면, 3월 29일부터 4월 5일까지 1주일간 베트남이 수입한 자동차 수는 651대로 집계됨. 그중 9인승 이하 차량 수는 602대, 수입액은 1,600만 달러로 평균 한 대당 약 26,000 달러 수준임. 2018. 4. 9.(월) No. 596 - 11 - ○ 동기간 9인승 이하 수입차량 602대 가운데 태국산 차량은 523대를 차지하였음. 이어서 멕시코산 52대, 독일산 23대, 일본산 2대, 미국산 2대 순임. ○ 3월 초 태국으로부터 수입된 혼다 차량은 약 2,000대로, 2018년 2월과 비교해 급증함. 지난 3개월간 베트남은 3,679대의 자동차를 수입하였으며, 그중 9인승 이하 차량 수입 비중은 전체의 약 84%를 차지함. 이어서 트럭 522대, 9인승 이상 차량 21대, 기타 50대로 집계됨. ○ 지난 2018년 1월부로 자동차 수입, 생산, 조립 규제에 관한 시행령인 Decree 116/2017/ND-CP가 발효하면서 올해 1~3월 베트남 누계 자동차 수입량은 4,21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만 6,366대가 감소함. ○ 이번 4월 첫째 주 태국으로부터 수입한 차량 수는 급증한 반면, 인도네시아산 차량 수입을 늘리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함. 2017년 베트남 상위 자동차 수입국은 태국과 인도네시아로서, 인도네시아산 자동차 수입량을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함. [출처: 베트남 투자 온라인 신문 09 Apr, 2018] 2018년 CPI 유지 : 목표 도달 위해 총력 동원 ○ 3월, 베트남 산업통상부가 개최한 국내시장 운영회의 내용에 따르면, 최근 시장 흐름과 세계 추세에 따라 제품 가격이 전반적인 상승세를 탈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국회 승인 소비자 물가 지수 (CPI)를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추정됨(2017년 동기간 대비 4% 이하 상승). ○ 베트남 통계청(GSO)에 따르면, 2018년 3월 소비자 물가 지수는 지난달에 비해 0.27% 하락함. 식품, 소비재, 문화 서비스, Tet 공휴일 운송 서비스 부문에서는 최소 0.09%~최대 0.77% 감소함. 올해 초기 3개월 동안 전국 CPI는 2017년 동기간 대비 2.82% 증가함. ○ 베트남 통계청의 2018년 1분기 CPI 분석 결과 발표에서, 2018년 1월 1일 정부의 거시 경제 부문 운영에 관한 결의안 01을 발행함. 올해 1분기는 전반적으로 가격 운영 해결 정책이 매우 세밀하게 실현되었음. Tet(뗏; 베트남 휴일) 달인 1월과 2월에 급격한 CPI 상승을 일으키는 많은 변동사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월 CPI 수치 하락으로 1분기 평균 CPI가 여전히 국회 승인 CPI 범위 안에 있음. 2018. 4. 9.(월) No. 596 - 12 - ○ 그러나 이러한 Tet 휴일 기간의 CPI 상승과 그 다음 달의 CPI 점진적 감소 현상은 연간 CPI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준다고 전함. 특히 2017년 1월 CPI 수치는 최대 5.22%에 달한 후 몇 달에 거쳐 점차적으로 하락했지만 올해는 반대의 경우가 생길 수 있음. 시간 이 지남에 따라, 국가 가격 규제에 의해 의료 서비스 가격 등 많은 항목의 가격은 증가 함; 기본 급여는 7월 90,000 동(VND)의 상향 조정되어 다른 많은 유형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예정. ○ 지난 3월, 물가 압력 또한 작지 않았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를 1.75%로 인상 했으며(최근 가장 높은 수치), 금리 인상은 금년 말까지 약 2~3번 계속해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됨. 금리를 인상할 때의 달러 가치 상승은 국내 수입품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 이러한 변동사항 이전에, 베트남 통계청(GSO)은 올해 CPI에 대한 3가지 분석을 발표함. 이는 CPI가 동기간 대비 약 4%, 2017년 12월 대비 약 5% 증가할 것이라는 점임. 그러나 3월 가격 운영위원회 회의(cuoc hop Ban chi dao Dieu hanh gia)에서 Vuong Dinh Hue 부총리는 2018년 CPI 수치를 3.55%까지 인상하는 것에 대해 정부 부처 및 기관이 구체적인 임무 및 해결책 실현을 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할 것을 요청함. 따라서, 핵심 임무는 이 수치를 잘 통제하는 것임. ○ 하노이 산업통상국 부국장 쩐 티 프엉 란(Tran Thi Phuong Lan)은 작년과 같은 급격한 가격 상승 및 과잉 생산 예방, 수급 균형 등을 목표로 하노이 및 19개 도시의 수급을 연결하는 대규모 회의를 개최할 예정. 또한 2018년 소규모 수급 연결을 위한 활동도 정기적으로 진행되어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제품 공급을 보장할 것임. [출처 : 베트남 상공업 온라인 신문 Apr 03, 2018] 하이퐁, 외국인직접투자 916백만 달러 유치 ○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하이퐁시는 FDI(외국인직접투자) 916백만 달러를 유치하였으며, 이는 전년 동기대비 333.34% 증가한 수치임. ○ 해당 기간 동안 유치한 사업은 신규사업 15건, 증액사업 12건 등이며, 현재까지 효력이 남아 있는 사업은 총 532건이며 전체 금액은 154.4억 달러임. ○ 하이퐁시 인민위원회 Nguyen Van Tung 위원장에 따르면 위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는 행정절차개혁 노력, 투자환경 개선, 기업 애로사항 해결 집중 등 하이퐁시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함. ○ 이외, 기업설립 관련 구비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하여 설립된 기업은 전체 서류 중에서 67.89% 비중을 차지함. [출처 : 베트남 투자 온라인 신문 04 Apr, 2018] 2018. 4. 9.(월) No. 596 - 13 - 주요경제지표 대 베트남 국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자료원 : 베트남 기획투자부 (MPI : Ministry of Planning & Investment) 대 베트남 산업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자료원 : 베트남 기획투자부 (MPI : Ministry of Planning & Investment) 2018. 4. 9.(월) No. 596 - 14 - 베트남 대외교역 동향 (단위 : US$억)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2015년 관세총국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 US$백만)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2017년 순위기준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 US$백만)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2017년 순위기준 2018. 4. 9.(월) No. 596 - 15 - 베트남 주요국별 수출현황 (단위 : US$백만) 자료원 : 베트남 관세청 자료 /주*) General Statistics Office/ 2017년 순위 기준 베트남 주요국별 수입현황 (단위 : US$백만) 자료원 : 베트남 관세청 자료 /주*) General Statistics Office/ 2017년 순위 기준 2018. 4. 9.(월) No. 596 - 16 - 한-베트남 교역동향 (단위 : US$백만, 증감률%) 자료원 : KOTIS 한국의 대베트남 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 US$백만, 증감률%) 자료원 : KOTIS(MTI 3단위 기준) / 2017년 순위 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 US$백만, 증감률%) 자료원 : KOTIS(MTI 3단위 기준) / 2017년 순위 기준 2018. 4. 9.(월) No. 596 - 17 -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문변호사 구분 성명 현지법인명 Tel Email 특기사항 자문변호사 임범상 법무법인 로고스 / 변호사 84-28-3822-7161 bslim@lawlogos.com 법률 (노무/지재권) 자문변호사 최영진 법무법인 JP / 변호사 84-28-3910-0619 lawchoi@jplaws.com 법률 (FTA/투자)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문변호사/회계사 구분 성명 현지법인명 Tel Email 특기사항 자문변호사 최지웅 법무법인 아세안 / 변호사 84-24-7301-6900 jchoi@alfcounsel.com 법률 자문회계사 엄진용 동아 회계법인 / 회계사 84-9-4354-9077 uhmcpa77@gmail.com 회계 ◎ 자문변호사 무료 상담 - 호치민: 월 1회(매월 2주차 금요일) 사전 예약, 자문변호사 대면 상담 ▪ 사전 예약 시에는 아래의 담당자에게 질문 내용에 대해 사전 송부 요망 ▪ 담당자 : 노동욱 과장(kotrasgn@hanmail.net) - 하노이: 월 2회(매월 2주, 4주차 금요일) 사전 예약, 자문변호사 대면 상담 ▪ 담당자 : 김경돈 과장(kimkdon@gmail.com) ◎ 호치민 IP-DESK 상표· 디자인 출원 지원 - 지원내용 : 베트남 진출 우리기업의 지재권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상표· 디자인 출원 비용 지원 - 신청자격 : 한국에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는 기업으로 베트남에서 사업을 운영(예정) 중인 중소· 중견 기업 - 문의처: KOTRA 호치민 무역관 양미영 대리(kotrasgn@hanmail.net), (T) 84-8-3822-3944) ◎ 베트남 투자 한국기업 현지경영 애로사항 접수 (베트남 총리실 공동추진) => 김경돈 과장, (T)84-4-3946-0511, (F)84-4-3946-0519, kimkdon@gmail.com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전용 구인구직 웹사이트 운영(무료) www.workwithkorea.com (www.workwithkorea.com.vn)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76 외환거래법위반 kimswed 160 2018.04.17
575 對베트남 수출 kimswed 64 2018.04.15
574 베트남한인교민잡지 kimswed 178 2018.04.14
573 젊은 소비시장’베트남 몰려가는 한국 기업 kimswed 45 2018.04.14
» 베트남 기술이전 kimswed 71 2018.04.14
571 베트남소매치기 kimswed 292 2018.04.09
570 베트남투자기업현황 kimswed 85 2018.02.13
569 베트남주요항만 kimswed 84 2018.02.05
568 무역협회 kimswed 87 2018.01.29
567 베트남바이어전략 kimswed 106 2018.01.22
566 베트남신선식품 kimswed 101 2018.01.13
565 베트남제약산업 kimswed 97 2017.12.25
564 국제사기꾼수배 file kimswed 123 2017.12.16
563 베트남관광사업 file kimswed 153 2017.11.25
562 베트남온라인시장 kimswed 155 2017.11.07
561 베트남 글로벌 패션업체 진출 file kimswed 99 2017.09.12
560 베트남 스타트업 file kimswed 178 2017.09.02
559 베트남 은행의 수익률 file kimswed 290 2017.06.26
558 베트남 유망한 소비재 산업 file kimswed 171 2017.06.09
557 베트남 화장품수출 kimswed 611 2017.02.27
556 베트남전력시장 kimswed 423 2016.11.09
555 아모레퍼시픽 kimswed 239 2016.11.08
554 연안파력발전시스템 file kimswed 293 2016.08.26
553 라오스비자제도 file kimswed 507 2016.08.25
552 카타르무역사기주의보 file kimswed 253 2016.08.24
551 중국짝퉁화장품시장 file kimswed 292 2016.08.19
550 라오스소비시장 file kimswed 203 2016.08.16
549 캄보디아의 이동통신 시장 file kimswed 147 2016.08.15
548 라오스에땅을사라 file kimswed 299 2016.08.13
547 라오스창업아이템 file kimswed 257 2016.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