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체류 외국인 33만명

kimswed 2018.10.15 07:22 조회 수 : 43

 

 

▲송기헌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국회 법제사법위원회/원주을/사진=뉴시스

 

 

[한국무역신문=김보근 기자] 국내 외국인 불법체류자는 태국 국적이 가장 많았다. 태국 국적 외국인은 매년 1만 명 이상이 강제퇴거(추방) 됐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국회의원(원주을)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불법체류자 현황’에 따르면, 2018년 8월 기준 국내 외국인 체류자는 총 230만8206명이다. 이 가운데 불법체류자는 33만5455명으로 불법체류율은 14.5%였다.

 

국적별 외국인 불법체류자는 태국이 가장 많았다. 2018년 8월 기준 태국 국적 체류자는 18만 8,202명이다. 이 가운데 불법체류자는 12만 2,192명으로 불법체류율은 64.9%에 달했다. 태국 국적 체류자 10명 중 6.5명이 불법체류자인 꼴이다.


카자흐스탄, 몽골 국적의 불법체류율도 30%를 넘는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카자흐스탄 국적 체류자 3만525명 중 불법체류자는 1만 1746명(38.5%)였다. 몽골은 국적 체류자 4만4272명 중 불법체류자가 1만5478명(35.0%)이다.

 

다음으로는 필리핀, 러시아, 베트남 순으로 불법체류율이 높았다.


필리핀 국적 체류자 5만6213명 중 불법체류자는 1만2863명(22.9%)이다. 러시아는 국적 체류자 5만2593명 중 불법체류자가 1만1035명(21.0%)이었다. 베트남 국적 체류자 18만9710명 중 불법체류자는 3만8380명(20.2%)이다.

 

중국 국적 체류자는 가장 많은 규모로 105만9482명이 체류했다. 이 중  불법체류자는 7만1436명, 불법체류율은 6.7%로 가장 낮았다.

 

한편, 불법체류, 불법취업, 범죄 등으로 지난해 강제퇴거 당한 외국인은 2만6694명에 달했다. 태국 국적이 가장 많아 매년 1만 명 이상이 강제퇴거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기헌 의원이 제출받은 ‘강제퇴거 외국인 현황’에 따르면 2015년 2만1919명, 2016년 2만8784명, 2017년 2만 6694명, 2018년(8월) 2만1171명이 강제퇴거 됐다.


국적별 강제퇴거 현황을 보면, 태국 국적 외국인은 2015년 9,041명, 2016년 1만 788명, 2017년 1만 160명, 2018년(8월) 9,369명으로 증가했다.


다음으로는 중국 국적 외국인이 2015년 5621명, 2016년 8148명, 2017년 7508명, 2018년(8월) 5295명 강제퇴거 당했다.


이밖에 베트남, 러시아, 몽골 국적 순으로 강제퇴거 외국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제퇴거 외국인을 사유별로 분석한 결과, 불법체류와 불법취업이 단연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2018년(8월) 강제퇴거 외국인 2만1171명 중 불법체류로 퇴거당한 외국인이 1만746명, 불법취업이 8293명으로 전체의 90에 달했다.

 

송기헌 의원은 “국내 외국인 체류자가 230만 명을 넘어서고 국적도 다양해지면서 불법체류자 등과 관련한 사회적 문제와 갈등도 늘어나고 있다”며 “사증면제를 통해 입국한 외국인 체류자들의 불법체류와 불법취업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만큼 제도 개선 및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연도별 불체자 현황] (단위=명, %)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36 비엔비테크 제품이 아니라 마음을 팔아라 kimswed 365 2019.04.15
635 디에이치코리아 세계를 누비는 ‘평생 직장 kimswed 248 2019.04.14
634 FTA 활용 성공사례 헬스케어기기 kimswed 697 2019.04.13
633 페인트팜(주) 한 걸음 뒤에서 보는 무역 kimswed 296 2019.04.12
632 아로마리즈(주)]나는 무역인이다 kimswed 246 2019.04.01
631 경직된 한중관계 대화의 물꼬 kimswed 218 2019.03.31
630 ‘란런’ 경제 성공비결 china kimswed 225 2019.03.29
629 고려소각로공업㈜] 폐업 위기에서 수출 kimswed 336 2019.03.27
628 해외 바이어 만나기 딱 좋은 전시회 kimswed 231 2019.03.22
627 전북대학교 GTEP 시작이 반이다 kimswed 240 2019.03.21
626 수출시장의 오아시스, 캄보디아 kimswed 248 2019.03.17
625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kimswed 220 2019.03.03
624 대중 수출, 옌타이 보세항구 이용하면 쉬워진다 kimswed 222 2019.03.01
623 충북기업, (주)동신폴리켐 kimswed 294 2019.02.15
622 충북기업 굿모닝상사 kimswed 312 2019.02.09
621 PC·휴대폰으로 ‘안방 무역’ kimswed 26 2019.02.02
620 2019년 베트남 경제 전망 kimswed 32 2019.01.15
619 차이나 비즈니스 성공 가능성 kimswed 24 2019.01.12
618 베트남 한류열풍에 소주 kimswed 23 2019.01.10
617 중국, 도입예정 해외직구 인증규제 kimswed 43 2018.12.29
616 베트남서 ‘한국 소비재 판촉전 kimswed 33 2018.12.18
615 베트남에서 뜨는 ‘한국어 kimswed 33 2018.12.09
614 베트남서 한국산 ‘짝퉁’ 판치는데 kimswed 27 2018.12.03
613 FTA 활용 성공사례(11)] 여성 의류 C사 kimswed 39 2018.11.16
612 보따리상 밀반입 내년 12% 이상↑…베트남 kimswed 49 2018.11.06
611 베트남에서 뜨는 한국어 kimswed 56 2018.11.04
610 베트남 화장품 시장동향 kimswed 53 2018.11.01
609 중소기업이 꼭 알아둬야 할 지원제도 kimswed 39 2018.10.24
» 불법체류 외국인 33만명 kimswed 43 2018.10.15
607 라오스 비자제도와 노동환경 kimswed 70 2018.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