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활용 성공 사례 알칼리이온수

kimswed 2019.08.07 05:47 조회 수 : 199

“어느 날 갑자기 원산지증명서 자율발급이 안 돼요”

 

 

“큰 일 났습니다. 원산지증명서 자율 발급이 안 돼요.”


2017년 어느 날 J사 사무실이 발칵 뒤집혔다. 한-EU(유럽연합) FTA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을 획득해 그동안 어려움 없이 6000유로 이상의 수출 건에 대해 원산지증명서를 자율발급해 왔는데 갑자기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J사는 의료기기인 알칼리 이온수 생성기(Alkaline Water Ionizer)를 제조하는 회사로서 해당 기술에 대한 특허를 가지고 있으며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인정서(GMP)를 받은 회사다. 창업 준비단계 때부터 수돗물에 석회 물질이 많아 식수 구입 비율이 높은 미국이나 유럽 시장을 고려하고 제품을 개발했다. 현재 이탈리아, 인도를 중심으로 세계 40여 개 국에 수출하고 있다.


2015년 폴란드 알칼리 이온수 생성기 회사인 G사와의 거래 성사를 시작으로 유럽 시장 개척에 나서면서 한-EU FTA를 활용하기 위해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도 받았다. 이듬해인 2016년 무역의 날엔 100만불탑을 수상했다. J사는 기업 규모가 커지면서 2017년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사업자로 전환했다.

 

법인사업자 되면서 인증수출자 지위 상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이 승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몰랐다. 관련 규정(자유무역협정 원산지인증수출자 운영에 관한 고시 제15조 제3항)에 따라 사업자등록번호가 변경된 경우 ‘인증사항 변경 신고’ 대상이 아닌 ‘신규 인증’ 대상이다. 다시 말해 법인사업자가 된 J사는 새로운 사업자등록번호로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하는데, 이를 몰라 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상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당장 6,000유로를 초과하는 수출 건에 대한 원산지증명서 자율발급이 막혔다. 바이어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그 바람에 해외박람회를 통해 어렵게 발굴한 유럽 바이어와 거래가 끊기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처음부터 해외시장을 겨냥해 사업을 추진하던 J사는 이 위기를 빠르게 해결해야 했다. J사 K대표는 한국무역협회에 OK FTA 컨설팅을 신청했다.

 

증빙서류 관리로 사후검증 철저히 대비

 

FTA 컨설턴트들은 지속적으로 FTA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이해력이 기반이 돼야 한다며 먼저 FTA 기본교육 및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심화 교육을 실시했다.


이어 법인사업자로의 전환 과정에서 ‘상실’한 인증수출자 인증을 다시 획득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주요 수출국이 유럽과 인도여서 한-EU FTA와 한-인도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를 대상으로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을 획득했다. 개인사업자 시절에 획득한 경험이 있는 데다, OK FTA 컨설턴트의 도움을 받으니 한결 수월했다.


FTA 사후검증에도 대비했다. 회사는 원산지증명서 발급과 관련하여 발급 이후 관련 자료에 대한 보관 등 증빙서류 관리가 미흡한 상태였다. 이런 상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OK FTA 컨설팅은 원산지 관련 증빙서류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 이후 원산지증명서 작성대장 및 발급대장 관리, 구매처와의 거래관계 증빙 등 사후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서류 보관 방법으로는 전자적 형태는 물론 종이문서로 함께 관리하도록 변경해 사후 검증에 보다 철저히 대비할 수 있었다.

 

FTA 능력 높아지자 상품·서비스 개발 몰두

 

OK FTA 컨설팅을 받은 이후 J사는 바이어의 원산지증명서 발급 요청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한 예로 유럽 산마리노공화국에 소재한 바이어와 1만6000달러 상당의 수출거래를 진행하면서 곧바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했다.


원산지증명서 자율발급을 통해 FTA 활용 능력이 제고되고 관련 업무가 효율적으로 처리되면서, K대표는 신규 상품 및 서비스 개발에 몰두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알칼리 이온수 생성기를 스마트폰과 연동해 하루 마신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했다. K대표는 이에 대해 OK FTA 컨설팅 덕분이라며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J사는 FTA를 적극 활용해 높아진 가격경쟁력으로 세계시장 개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유럽과 인도 등에 이어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 내수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무역협회 FTA활용지원센터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5 ㈜하이팟 kimswed 6480 2021.03.30
54 락인컴퍼니 kimswed 5697 2021.03.23
53 코마츠코리아 kimswed 5455 2021.02.27
52 (주)인에코 kimswed 4557 2021.02.20
51 인도기업과 에이전트 계약 가능성 모색 kimswed 3841 2021.02.16
50 충북기업 소마 kimswed 3268 2020.12.05
49 비아이랜드 kimswed 2958 2020.11.20
48 FTA 활용 성공 사례 화장품 kimswed 2193 2020.11.07
47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티에스피코리아 kimswed 1401 2020.10.24
46 FTA 활용 성공 사례(난방시스템 kimswed 1132 2020.09.10
45 FTA 활용 성공 사례(핸드백 원단) kimswed 810 2020.09.05
44 FTA 활용 성공 사례 이삿짐용 사다리차 kimswed 230 2020.09.05
43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금강B&F kimswed 139 2020.08.31
42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kimswed 172 2020.08.25
41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백코리아 kimswed 114 2020.08.21
40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두드림 kimswed 132 2020.08.11
39 FTA 활용 성공 사례 물류자동화시스템 kimswed 97 2020.07.27
38 중국에서 가장 핫한 마케팅 도구는 라이브 방송 kimswed 78 2020.07.11
37 FTA 활용 성공 사례(여성 가슴팩 M사)] 스타트업 kimswed 115 2020.07.04
36 FTA 활용 성공 사례] 모터 코어 kimswed 130 2020.06.30
35 칫솔에 인생을 건 사나이’ 하용길 kimswed 130 2020.06.05
34 FTA 활용 성공사례 플렉시블 튜브 kimswed 205 2020.05.30
33 FTA 활용 성공사례] 흡수냉동기제품 kimswed 147 2020.05.30
32 한국 두유는 어떻게 베트남 시장을 석권했나 kimswed 204 2020.05.16
31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차 내장재 kimswed 90 2020.05.16
30 FTA 활용 성공사례] 전동공구 kimswed 96 2020.05.04
29 2019년을 대표한 무역인들 kimswed 166 2020.01.04
28 ㈜제이에스글로벌트레이딩 경험으로 터득한 인터넷 무역 노하우 kimswed 450 2019.12.26
27 차이나 비즈니스 8대 권역별 시장구분법을 활용 kimswed 159 2019.10.31
26 활용 성공사례 기계부품 kimswed 177 2019.10.12
25 FTA 활용 성공 사례] 유아용 침대 kimswed 193 2019.08.27
24 [FTA 활용 성공사례] 친환경 종합세제 kimswed 238 2019.08.25
23 락앤락’이 들려주는 베트남 시장 성공기 kimswed 202 2019.08.20
22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차부품 W사 kimswed 183 2019.08.10
» FTA 활용 성공 사례 알칼리이온수 kimswed 199 2019.08.07
20 FTA 활용 성공 사례 복합비료 kimswed 190 2019.08.07
19 FTA 활용 성공 사례 멀티콘센트 kimswed 244 2019.07.22
18 FTA 활용 성공 사례 가죽핸드백 kimswed 226 2019.07.01
17 아마존 프라임과 FBA의 역할 kimswed 266 2019.06.29
16 FTA 활용 성공 사례 화학제품 kimswed 204 20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