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정부는 2019년 인구주택 총 조사(인구센서스)를 완료하고 이번 분기에 최종 결과를 공식 발표한다.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시행된 베트남 인구 센서스는 자료 수집 시 IT 기술을 처음으로 도입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베트남의 면모를 알 수 있는 센서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동남아 소비자 ‘TOP 3’=2019년 4월 기준 베트남의 인구는 9620만8984명으로 10년 전인 2009년보다 10.7%, 전년과 비교해서는 1.6%가 증가했다.
베트남 관계당국은 인구가 2025년을 전후해 1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09~2019년 인구 증가율이 연 평균 1.14%이고 앞으로 3~4년 사이에도 이와 비슷한 1%대를 유지할 것으로 가정한다면 2025년 1억 명 도달 가능성은 충분하다.
KOTRA 국가정보 및 국제통화기금(IMF)의 추산을 기준으로 베트남은 아세안(ASEAN)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나라다. 베트남의 인구 밀집도 또한 아세안에서 3번째로 높은데 ㎢당 290명으로 싱가포르(8,292명)와 필리핀(363명 다음이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이 다수의 섬이 모여 영토가 이루어진 반면 베트남은 해안을 접한 육지 기반의 국토를 형성해 시장 밀집성과 물류 접근성이 고루 높이 평가됐다.
베트남 인구는 호찌민과 하노이에 집중됐다. 베트남 내 63개 시, 성 가운데 약 18%가 호찌민과 하노이에 분포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호찌민으로 전체 인구 대비 9.3%인 899만3082명에 달했다. 호찌민에서도 인구가 많은 주요 지역은 떤빈(78만 명), 빈짠(70만 명) 등이다. 하노이는 전체의 8.4%인 805만3663명이었다.
도시의 고밀화 정도 및 인구 밀집도 또한 두 도시가 가장 높았다. 이는 소매 유통 및 소비 시장의 활기를 관찰할 수 있는 한 가지 참고 지표가 될 수 있다. 호찌민의 인구 밀집도는 4,363명/㎢, 하노이 2,398명/㎢이었다. 이는 베트남의 평균 인구 밀집도에 비해 15배와 8배다. 다만 하노이의 인구는 805만 명을 상회하지만 이 중 절반은 시외지역에 속해 있다. 호찌민의 시외지역 인구 비중은 20.7%다.
2019년 기준 베트남의 가구 수는 2687만, 가구 당 평균 인원은 3.5명이었다.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박닌성, 빈증성, 타이응웬성 등이었다. 이들 지역은 제조 및 가공 산업이 지역 경제를 이끌고 있으며 공장과 노동자 기숙사가 밀집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 베트남 소비자의 주머니 사정=2019년 기준 베트남의 1인당 월별 평균 소득은 560만 동(약 240달러)다. 대학 교육을 받은 노동자의 월별 평균 소득은 930만 동(약 400달러)으로 추산된다.
한편 작년 말 현지 통계청은 2017년의 연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985달러로 다시 산정한 바 있다. 이는 2017년 당시 산출했던 2385달러보다 높은 금액이다. 현지 통계청은 2010~2017년 실제 물가 및 기타 요소를 대조해 경제 규모를 검산한 결과 이 같은 값이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베트남 소비 시장 조사 시 2985달러라는 숫자는 평균 값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더불어 고려해야 할 것은 현지 소비자의 높은 현금 선호도, 베트남 정부의 공식 집계에 드러나지 않는 지하경제의 규모다. 2018년 초 베트남 통계청은 공식 집계되지 않는 현지 지하경제가 GDP의 30%에 이를 것으로 추측했다. 베트남은 개인 및 가정의 소규모 경제 활동이 전체 생산의 87.7%, 국가 총 고용시장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개인 및 가정의 영세한 상업 활동이 빈번하지만 행정 체계에 포착되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여서 규모를 정확히 가늠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베트남에서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호찌민이다. 호찌민의 1인당 평균 GDP는 2018년 6000달러를 넘어섰고 올해는 6670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호찌민시에 이어 소득이 높은 지역은 하이퐁과 수도 하노이다. 하이퐁이 타 지역보다 소득수준이 높은 것은 이 도시가 현지 주요 경제구 중 한 곳이기 때문이다. LG, 제너럴일렉트릭(GE)를 비롯한 글로벌 전자기기 제조업체들이 하이퐁에 생산시설을 가동 중이다.
한편 BMI리서치에 따르면 베트남의 가정당 연 평균 소득은 2019년 5729달러, 2020년 6206달러로 추산된다. 이 기관이 분석한 올해 1인당 평균 소득은 2429달러인데 이는 현지 통계청 자료보다 낮은 수준이다.
□ 젊은 나라 베트남=BMI리서치는 올해 기준 만 19세 이하 베트남 인구가 29.9%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만 20~39세에 속한 인구는 32.5%였다. 중위 연령은 32.5세로 추산된다. 올해 한국의 중위 연령은 43.7세다.
베트남은 지난 2007년부터 ‘인구 황금기’에 돌입했다. 인구 황금기는 2명 혹은 그 이상의 인구 당 부양해야 하는 인구가 1명에 불과한 구조를 가리키는 말이다. 베트남 당국은 이 시기가 약 30년간 지속돼 2040년 전후 시점에 끝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구 황금기는 베트남이 중진국 함정을 회피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책으로 꼽히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대응에 따라 인구 황금기 동안 최대한 도약해 중진국 이상의 경제수준으로 올라설 가능성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최근 현지 숙련 노동자의 비중이 적어 노동 효율성이 기대보다 낮고 이 때문에 인구 황금기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와 관련, 베트남 기획투자부는 “고학력 및 숙련 노동자의 비중이 11.1%에 불과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베트남 인구센서스 협력 기관인 유엔인구기금(UNFPA)도 “현재 베트남의 인구 노화 속도가 전례 없이 빠르다”라면서 “베트남의 노령화 지수는 2009년 35.9%에서 2019년 48.8%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 차분히 성장하는 소비시장=1억 명에 가까운 인구 성장 및 현지 소비자들의 경제력 제고 덕분에 베트남은 노동 시장의 강점이 우선 부각됐던 과거와 비교해 소매유통 시장 투자가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실제로 호찌민과 하노이 같은 5대 중앙정부 직할시의 소득 수준은 국가 평균 대비 2~3배에 이른다. 드러나지 않는 지하경제의 규모까지 고려한다면 현지 일부 지역의 소비자 심리는 표면에 드러난 평균 소득에 한정돼 있지 않을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한다.
다만 잠재성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인의 평균 소득 수준이 연간 3000달러 언저리이며 지역별 소비자의 경제력에 큰 편차가 있다는 시장의 이면 또한 감안해야 한다. 9600만 명을 상회하는 풍부한 인구와 소비자 개인의 경제 수준은 별개이며 이들의 소비 규모가 성장하기까지 자금 투입과 시간적인 인내가 지속 요구되는 시장임을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KOTRA 호치민 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