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점포를 축소하는 소매업체

kimswed 2020.08.03 07:46 조회 수 : 127

코로나19로 인해 베트남인의 90%가 소득이 줄어들어 많은 이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언론사의 조사결과가 나왔다설문조사 응답자 중에서 절반은 소득이 20% 이상 떨어졌다고 밝혔다이러한 응답의 대부분은 미숙련 노동자였다.

 

월 750만 동(323달러미만의 저소득층 응답자의 17%는 가족들이 관광외식의류 및 전자제품 구매에 대한 지출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또 30%는 슈퍼마켓에서의 쇼핑 빈도를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GSO)의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로 인해 3100만 명이 일자리를 잃거나 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일자리를 잃지 않았지만소득이 감소한 경우는 57.3%에 달했다. 2020년 2분기 베트남인의 월평균 소득은 10.2% 감소한 520만 동(224달러)이다.

 

은행, ICT 분야상장기업 등에서 고임금을 받고 근무하던 소비계층도 회사가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급여를 30~50% 정도 삭감하여 지급하고 있다베트남의 새로운 중산층도 영향을 받으며 지출을 축소하고 있다.

 

글로벌 부동산 업체 JLL은 호치민시의 많은 소매점의 고객 수가 2월 및 3월에 80%가 감소했다고 보고했다외국인 여행자 수의 급격한 감소는 명품 소매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가족기업으로 운영하는 작은 상점은 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프리미엄 의류 내수 유통 및 수출 기업인 안 푸옥(An Phuoc)의 CEO는 자신의 회사가 단골의 주문을 받고 있으며 새로운 고객으로부터는 주문을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해외의 파트너들이 거래를 축소해 수출은 줄고 내수의 소비자도 지출을 억제함에 따라 국내시장에서의 매출이 불만족스럽다고 말했다.

 

베트남에서 가장 많은 점포를 운영 중인 사업자 중의 하나인 모바일 월드(Mobile World)는 2020년 6월 말 초저가폰 전문 매장을 모두 폐쇄했으며 폐쇄이유를 자신들의 잘못된 포지셔닝 전략에 있다고 말했다분석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스마트폰의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는 비즈니스의 불확실성에 있다고 말했다.

 

모바일 월드는 매년 매출 및 수익이 증가했으나 2020년 사업 목표를 당초 계획에서 매출은 10% 이상수익은 20% 감소한 목표로 수정했다특히경비를 축소하고 수익 실현을 위해 필요하면 점포 수를 줄이기로 했다.

 

많은 소매업체는 임대인에게 임대건물을 돌려주고사업 규모를 축소하고인력을 줄이며비즈니스 모델을 변경하거나 다른 수입원을 찾아야 했다시간이 지날수록 소매업체들의 사업축소는 계속되고 있다.

 

산업통상부에 따르면코로나19로 인해 베트남 유통사업 선도기업인 사이공 곹마트(Saigon Co-op)는 Co-opmart, Co.opXtra, Co.op Food, Co.opSmile과 함께 약 1,000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다.

 

Satra와 Lotte를 포함한 다른 소매 유통업체들도 그동안 매출이 50% 감소했다코로나가 억제되었지만 2020년 2분기에도 여전히 1조 동(500억 원)의 매출이 감소했다.

 

소비자가 지갑을 닫았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회복에도 매출을 늘리기가 어렵다는 분석이다상점을 축소하는 것이 손실을 막는 가장 간단한 해결책이지만 소매업체들은 자사 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해 손실 발생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상점을 보유하고 있다.

JLL의 자료에 따르면 한 달 임대료는 호치민시 중앙 비즈니스 지구(CBD)에서 평방미터당 79.4달러로비 CBD 지역에서 평방미터당 38.5 달러로 20% 이상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1군 상업지역에서 상점을 보유한 타운하우스가 임대료를 인하해도 임차인을 구할 수 없는 상점이 늘고 있으며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다.

 

시장조사기업인인 포커스메콩 리서치(Infocus Mekong Research)가 분석한 베트남 시장에서 해외기업이 실패하는 3가지 요인에 따르면 베트남 중산층의 가처분소득에 대한 분석 미흡소비자 수요에 대한 이해 부족회사 운영에 필요한 임대료 및 인적자원에 대한 경비의 과소평가를 들고 있다.

 

시장조사기업인 시미고(Cimigo)의 자료에 의하면 베트남에 진출하는 해외기업들이 유통분야에 진출할 때 충분한 시장조사를 하고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쇼핑 채널을 통해 꾸준하게 소비자의 수요를 찾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특히코로나19 이후 불확실성 속에서 경비를 절감하고 성공을 위한 수출전략에서 온라인쇼핑은 더욱 필요해 보인다.

 


김석운 베트남경제연구소장

 

(kswkso@hanmail.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87 베트남 외식산업 시장의 새로운 환경 kimswed 140 2020.08.21
586 베트남 문구 시장 kimswed 253 2020.08.15
585 베트남 진출기업, EU와의 FTA를 ‘기회’로 kimswed 130 2020.08.07
» 베트남 점포를 축소하는 소매업체 kimswed 127 2020.08.03
583 K웹툰, 베트남 시장 정조준 kimswed 128 2020.07.28
582 베트남 노동시장에서 소비시장으로 성장 중 kimswed 156 2020.07.23
581 베트남 식품시장 트렌드는 ‘안전’과 ‘건강 kimswed 135 2020.07.18
580 베트남 건강에 대한 관심 kimswed 139 2020.07.17
579 확산되는 베트남의 도박 문화 kimswed 179 2020.07.11
578 베트남 프로모션 필요성 kimswed 133 2020.07.02
577 베트남 소비시장의 핫 트렌드 ‘4’ kimswed 124 2020.06.27
576 베트남 온라인쇼핑 환경변화 kimswed 161 2020.06.18
575 탈중국 기업 모십니다" 유치 경쟁... 베트남 선두 kimswed 128 2020.06.17
574 베트남 지속 가능한 수출 kimswed 139 2020.06.03
573 베트남 새로운 일상(New normal kimswed 141 2020.05.22
572 신규 확진자 ‘0’ 동남아 국가들 kimswed 148 2020.05.11
571 사례로 보는 베트남 소매시장 진출 전략 kimswed 138 2020.05.08
570 베트남 지출 우선순위 kimswed 138 2020.05.07
569 베트남 새로운 트렌드 kimswed 104 2020.04.24
568 베트남에서 인기 끄는 ‘K-빨간 맛 kimswed 190 2020.04.19
567 베트남 수요 회복 탄력성 kimswed 129 2020.04.09
566 베트남 수요의 급격한 감소 kimswed 323 2020.03.26
565 베트남 소비패턴의 변화 kimswed 138 2020.03.12
564 베트남 외식업 환경의 변화 kimswed 143 2020.03.05
563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대형화 kimswed 160 2020.02.13
562 베트남 외국인 투자자의 유통시장 참여 kimswed 138 2020.01.30
561 베트남 취업? 언어가 중요하다 kimswed 179 2020.01.20
560 베트남 화장품 시장의 성장 잠재력 kimswed 219 2020.01.17
559 베트남 유통시장의 경쟁 심화 kimswed 149 2020.01.02
558 베트남 안전한 아기용품 kimswed 199 2019.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