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 베트남 수출 증가 추세가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불거진 베트남 경제 위기설과 베트남 정부의 강력한 긴축 정책에 따른 전체적인 수입 수요의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베트남 무역 산업부와 한국 관세청 수출입통계 자료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 베트남 수출액은 4월까지 전년대비 91.6%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다 이후 점차 감소해 11월 말 기준으로는 43.3% 증가에 그쳤다. 6개월 만에 증가율이 50%p가량 떨어졌다.
수출이 둔화되며 지난 2007년 9월 이후 매월 꾸준히 4억 달러 이상을 유지하던 월별 무역 수지 흑자규모도 지난해 8월 3억 달러대로 낮아졌으며 11월에는 급기야 2억 4천만 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3월에만 7억 8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던 것에 비하면 1/3 수준이하로 떨어진 셈이다.
이 같은 수출 둔화세는 베트남의 경기 침체로 인한 내수 부진에다 상반기 경제 위기설 이후 베트남 정부가 강력한 수입 억제 정책을 추진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베트남의 지난해 월별 수입액은 4월 83억 달러를 정점으로 점차 하락해 10월에는 51억 달러를 기록했다. 1월~10월의 누적 수입액은 701억 달러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42.6% 증가했으나 당초 베트남 정부가 예상한 89.4%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특히 올해 베트남 정부가 수입 통제 등을 통한 물가억제를 경제정책의 주목표로 하고 있어 대 베트남에 대한 수출 확대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코트라 호치민코리아비즈니스센터 관계자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환경오염 방지시설이나 최상위소비시장 등과 같은 틈새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extra_vars1 | ||||||||||||||||||||| |
---|---|
extra_vars2 | ||||||||||||checked||||||||||||||||||||||||||||||||||||||||||||||||||||||||||||||||||||| |
범양데스콘유한책임회사 | |||
베트남 | 진출지역 | 호치민 | |
업체 | PUMYANG-DESCON LIMITED LIABILITY COMPANY | ||
Address | 8F. 146 Nguyen Cong Tru Str.. Dist.1. HCMC | ||
Tel | (84-8)3295-9153 | FAX | (84-8)3295-9153 |
Home Page | www.preche.com | ||
법인장 | 이종선 | ||
취급분야 | 주택. 사무실 건설. 판매(아파트. 상가 분양 등). 아파트 브랜드 |
|
댓글 0
조회 수 | 번호 | 제목 | 글쓴이 |
---|---|---|---|
1324 | 21 |
한미건설
![]() | kimswed |
1040 | 20 |
스페이스21
![]() | kimswed |
1025 | 19 |
신일
![]() | kimswed |
1509 | 18 |
아승글로벌
![]() | kimswed |
857 | 17 |
아키넷
![]() | kimswed |
914 | 16 |
에이스비나
![]() | kimswed |
945 | 15 |
연암건설
![]() | kimswed |
1318 | 14 |
용호비나
![]() | kimswed |
1019 | 13 |
우주건설
![]() | kimswed |
1529 | 12 |
윈윈건설
![]() | kimswed |
809 | 11 |
인피니티
![]() | kimswed |
1081 | 10 |
대우엔지니어링
![]() | kimswed |
906 | 9 |
대원
![]() | kimswed |
1140 | 8 |
동남건설
![]() | kimswed |
945 | 7 |
리엔코
![]() | kimswed |
801 | 6 |
미진
![]() | kimswed |
900 | 5 |
밀산건설
![]() | kimswed |
964 | » |
범양
![]() | kimswed |
1290 | 3 |
벽산
![]() | kimswed |
1047 | 2 |
부영
![]() | kimsw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