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베성형외과 | |||
베트남 | 진출지역 | 호치민 | |
HAN-VIET Plastic Surgery | |||
Address | 133 Vo Van Tan St.. Ward.6. Dist.3. HCMC | ||
Tel | (84-8)3930-5463 | FAX | (84-8)3930-5463 |
mggyy@naver.com | Home Page | ||
contact | 문기영 | ||
취급분야 |
성형수술 |
베트남 진출 1호 한국 성형 전문의 "이 병렬 원장" 한국의 성형 기술 베트남 진출 |
![]() |
드디어 한국의 성형기술이 베트남에 진출했다. 베트남에 부는 한류로 한국 드라마를 통해 본 한국여성의 화려한 모습, 그러나 그렇게 부러워하던 한국 여성들의 아름다움이 많은 부분이 인공적인 성형의를 손을 거친 것이 라는 사실을 알게된 베트남 여성들 이제는 한국의 성형 기술에 찬사를 보낸다. 한국의 성형 기술은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있다. 워낙 정교한 손재주를 바탕으로 까다로운 한국여성의 구미에 맞는 시술을 행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최고급 기술이 배양 된 것 이리라. 한국처럼 성형의가 잘 나가는 나라도 드물 것 같은데 부산에 사는 젊은 성형 전문의 이 병렬씨, 불숙 베트남의 초라한 병원에 베트남 최초의 성형 전문의로 등장했다.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 그의 사연을 통해 베트남에 사는 한국 모습의 일단을 엿보자 한비엣이라는 이름이 붙은 자그만한 병원, 베트남의 여닛 사설 병원들과 다를 바가 없다. 단지 다른 것이라곤 그 병원에는 한국의 전문 성형의가 근무한다는 사실 뿐이다. >>병원이 예상외로 좀 초라합니다. 환자는 좀 있는지요( 참 황당하고 당돌한 질문이지만 독자의 속마음을 대신하는 것이 기자의 본업 아닌가?)
>> 이 병원에서 하는 시술은 어떤 것 들 입니까? 이 병원을 개업할 당시 베트남 기관에서 나와서 지정한 시술 범위는 목위부분 즉 얼굴부분에 한정됩니다. 아직 얼굴 아래의 다른 부위의 경우 이병원에서의 시술은 원칙적으로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성형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미용 성형과 재건 성형입니다. 미용 성형은 말그대로 미용을 위한 시술이고 재건 성형이란 기형적인 모습이나 사고로 원형을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는 일입니다. 지금까지 온 환자들 중에는 예상외로 재건 성형에 해당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 한국과 좀 다른 점입니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재건 성형도 이곳에서 제대로 처리되지 않아 미흡한 모습으로 방문한 환자들을 정상으로 돌려놓는 일에 한국에서 느끼지 못한 보람을 갖게도 됩니다.
>> 한국처럼 성형의가 잘나가는 곳도 드물건데 왜 베트남에 오셨습니까? 그 질문에 대하여는 많은 분들이 같은 의문을 표합니다. 혹시 한국에서 별 볼일 이 없어 베트남에 온 허접한 성형의가 아닐 까 하는 의구심이 숨어 있는 질문인데.. 저의 경우는 남들이 이해하기는 힘들겠지만 나름데로 목적의식을 갖고 베트남에 왔습니다. >> 베트남의 현재 의료 수준과 앞으로의 사장 전망은 어떻게 보십니까? 저는 성형의니 성형에 대한 것에 국한되어 말씀드리겠습니다.
>> 잘나가는 성형의가 베트남에만 전력을 할 것 같지는 않은데 한국에서는 활동은? 한국에서는 부산에 FL( Family Love)라는 성형외과를 공동 운영하고 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을 반반씩 오가며 저와 공동 운영하고 있는 파트너와 교대 근무를 합니다. 일단 베트남에서의 제 의사 면허를 받는데만 13개월이 걸렸습니다. 저와같이 교대 근무를 할 의사의 베트남 면허가 나오는데로 그렇게 진행될 것입니다. >> 한국인 환자도 많이 방문 합니까?
>> 한국교민들에게 한말씀 남길 까요? 저는 성형 전문의기는 하지만 의사란 사실 모든 의술 행위가 가능합니다. |
2009 년 새해는 기축년이다. 소의 해다.
소는 성실함의 대명사다. 사상 최악의 경제한파가 몰아칠 신년이 바로 소의 해라는 것은 아이러니 한 일이 아닌가?
일근천하무난사(一勤天下無難事), 필자의 사무실 한 벽에 걸려있는 액자 속의 문구다. 미수(米壽, 88세)를 바라보는 필자의 노모가 직접 써준 글이다. 소처럼 열심히 일하면 어려운 일이 없다는 뜻으로 다시 마음에 새긴다.
성실함이 삶의 최대의 무기라는 것은 해본 사람들은 안다. 그러나 아무리 이런 글을 통해 중언부언 반복하여 얘기해도 그 힘을 모르는 사람은 결코 믿지도 않고 행하지도 않음을 또 안다. 더욱이 요즘처럼 약빠르게 돌아가는 세상에서 성실의 힘을 믿는 젊은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아마도 소처럼 평생을 밭에서 일하고 나중에 자신의 몸마저 인간의 식량을 바치는 손해나는 삶을 살라는 거냐고 반문하며 화를 낼 줄도 모른다. 그러니 젊은 이들이여 그냥 내키는 대로 살아보라. 어떻게 살아도 한 생이기는 하다. 보람있는 삶이나 이기적인 삶이나 다를 게 뭐 있겠는가? 그 역시 한 삶을 살다 간 것인데 말이다. 그런데 그런 결정을 내리기 전에 눈은 똑바로 뜨고 세상을 바라보자. 과연 우리는 무엇을 보고 있는가?
최근 어떤 회사의 TV 광고 문구가 마음을 자극한다.
“See The Unseen.”
말 그대로 해석한다면 [안 보이는 것을 보라]라는 뜻이다.
광고 문구를 만든 회사의 해석으로는 지금까지 보지 못한 것을 보게 해 주겠다는 뜻이란다. 재미있는 문구다.
안 보이는 것을 보라. 그 안보이는 것은 무엇일까?
새로 생긴 광고 회사에서 신년도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기 전에 토의를 하고 있다. 이 회사의 가장 큰 문제는 베트남 직원들의 활용도가 떨어져 한국 직원들에게 일이 몰리고 베트남 직원이 성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회사 전체의 조직력이 제자리 걸음을 한다. 영어를 좀 하는 한국 직원이 베트남 거래처를 만나러 가기 위하여는 영어 통역이 가능한 베트남 여직원과 디자인의 디테일을 챙길 베트남 디자이너가 따로 필요하다. 거래처가 한국회사라면 한국 디자이너 한 명이 가도 될 일을 거래처가 베트남 사람이라는 이유로 3명이 가야 하는 비 효율이 생기는 것이다. 또, 영어가 안 통하는 베트남 직원에게 업무지시를 하기 위하여는 역시 영어 통역이 가능한 베트남 여직원들 불러야 한다. 그리고도 업무지시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의구심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베트남이라는 특수 지역이기에 생기는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영어가 가능한 베트남 디자이너를 뽑으면 된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과연 그런 디자이너 있을까? 설사 있다 하더라도 일반 디자이너보다 몇 배 이상은 비싼 봉급을 줘야 하니 그 역시 또 다른 경제적 비효율을 만드는 결과다. 그래서 당분간 베트남 거래처를 제외하고 한국 거래처만 상대를 하자는 방안도 나온다.
고객이야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에게 주어진 오더의 공사를 직접 맡아 시행할 시행사는 한국인 회사로 다 커버가 안는다는 것도 문제다. 물론 현지 거래처 보다 비싼 한국인 시행사의 비용도 무시되지 않는다. 결국 어찌 할 수 없는 현지 사정상 당분간 이 비효율적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공연한 회의로 시간만 버렸다. 정말 방안은 없는 걸까? 혹시 우리가 뭔가 못 보고 있는 것은 아닌가?
물론 문제의 본질을 외면했다. 문제는 단 한가지다. 한국 직원이 베트남어를 못한다는 것. 이것만 해결되면 모든 문제는 다 사라진다. 비용의 비효율도, 거래처의 제한도, 업무지시의 부실함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직원의 활용도도 높아지고 더불어 시장의 범위도 전 베트남으로 턱없이 넓어진다. 왜 이런 간단한 사실을 못보고 있었을까? 이기적인 시각으로 자신을 돌아보지 않음이다. 보아야 할 것을 보지 않고 보이는 것, 보고 싶은 것만 봐서 그런게다.
우물 안에서는 세상도 안보이고 자신의 진정한 위치도 발견할 수 없다. 자신을 객관화하여야만 자신의 진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내 특성 내 사정을 냉철하게 살피고 진정으로 필요한 개선점을 내 안에서 찾아야 한다.
시각이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 첨언을 하지 않아도 너무나 당연한 말이다.
내 시각을 바꾼다는 것은 그 동안 너무나 당연히 보아 넘기던 점들을 의심의 눈으로 째려보고 남의 시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베트남에 사업을 하면서 베트남어를 모르고 한다는 것이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믿어질까? 영어를 좀 한다고 베트남어를 안 배워도 불편함을 없는가? 뻔한 의문을 외면하는 있는 이가 누구인가?
바로 이것이 외부의 시각에 비친 우리의 객관화된 모습니다. 후진국의 언어를 배우느니 영어를 한자라도 더 하는 게 이익이라고 생각하는 대다수의 베트남거주 한국인이 저지르는 대표적인 오류이자 그릇된 자만이기도 하다. 그리고도 베트남에서의 성공을 기대한다는 것은 어떤 과정을 거쳐 나온 희망인지 모르겠다. 이렇게 기본을 무시한 채 일방적인 성공을 운운하는 불합리한 군상이 객관적인 시각에 비친 우리의 모습일 수 있다.
올해는 눈 딱 감고 베트남어를 마스터 하는데 총력을 기울여보자.
내년 이맘때에는 자신의 탁월한 선택에 쾌재를 부를 것이다.
죽은 듯이 몸을 숙이고 숨만 가만히 내쉬어야 하는 불경기 시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지혜의 한가지이기도 하다.
물론, 실천하지 않는 지혜는 망상일 다름이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29 | 한국선급 | kimswed | 20115 |
28 |
베/서울병원
![]() | kimswed | 20078 |
27 |
ABCIS
![]() | kimswed | 19722 |
26 |
영재교육베트남
![]() | kimswed | 19775 |
25 |
베트남창업지원
![]() | kimswed | 21333 |
24 |
벧엘치과
![]() | kimswed | 20619 |
23 |
한국수출보험공사
![]() | kimswed | 8986 |
22 |
한국생산성기술연구원
![]() | kimswed | 9254 |
21 |
중소기업진흥공단
![]() | kimswed | 8859 |
» |
한베성형외과
![]() | kimswed | 8754 |
19 |
중외제약
![]() | kimswed | 8927 |
18 |
YE메디칼센터
![]() | kimswed | 8743 |
17 |
성모안과병원
![]() | kimswed | 9129 |
16 |
베트남사랑의병원
![]() | kimswed | 9336 |
15 |
롱안세계로병원
![]() | kimswed | 9204 |
14 |
대웅제약
![]() | kimswed | 8626 |
13 |
다솜병원
![]() | kimswed | 9257 |
12 |
성기철치과
![]() | kimswed | 8651 |
11 | 직업기술학교 | kimswed | 9212 |
10 |
한인유치원
![]() | kimswed | 10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