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세기 베트남 현대사 후편 미국의 경제봉쇄와 ‘도이머이’ - 도이머이란 Đổi (바꾸다)와 Mới (새롭게)의 합성어로 ‘새롭게 개혁한다’는 의미임 - |
20세기 베트남 현대사는 한 마디로 미국과 서방의 철저한 경제봉쇄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2 ~ 6차 경제개발계획, ‘도이머이’ 등과 같은 경제·정치개혁을 시도함으로써 국가의 번영과 현대화를 추구해온 베트남인들의 ‘도전과 응전의 역사’다. 자존심 구긴 미국, 베트남 ‘경제원천봉쇄’ 도이머이 이전 시기 2차 5개년 계획 (1976 ~80) 3차 5개년 계획(1981 ~ 1985) 도이머이 정책 본격화: 1986년 이후 1992년 이후 - 개혁 가속화 #참 조 |
21세기 베트남 근·현대사 불멸의 애국전사 호찌민 |
베트남 역사는 한 마디로 외세 간섭으로 분열된 민족의 통합과 식민지 외세로부터의 민족해방투쟁의 역사로 정의할 수 있다. 천년이 넘는 장구한 역사를 통해 베트남 민족은 역대 중국왕조의 동화정책에 저항했던 베트남은 근대에 이르러서도 100년의 프랑스 식민지정책에 대한 해방투쟁을 줄기차게 벌여왔으며, 2차 세계대전 중에는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군을 궤멸한 새로운 식민지배자 일본제국주의에 맞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이 중에서도 이번 호에 소개할 베트남 근·현대사는 식민지로 피폐한 약소국 베트남의 60년 투쟁을 이끌었고, 30여 년 동안 베트남 민족해방운동의 최고 사령관 호찌민 (1890~1969)을 빼놓고 설명하기란 불가능하다. 지난 호에 잠시 소개했던 대로 1945년 9월 호찌민은 자신을 수반으로 하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한다. 그러나 세계열강들은 이를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았다. 인도차이나 반도가 30년 전쟁에 휩싸이는 서곡이었다. 1946년, 전후 강대국 대열에서 탈락한 프랑스가 제일 먼저 식민 지배국의 영광을 되찾으려고 하노이·하이퐁 등 대도시에 전면폭격을 감행했다. 당시 프랑스와의 결전을 앞두고 호찌민은 단언했다. “당신들 1명이 죽을 때마다 베트남인 10명이 희생당할 것이다. 그러나 결국 당신들은 패배할 것이고 우리는 이길 것이다.” 이렇게 시작한 제 1차 인도차이나전쟁은 세계 전사에도 기록된 1954년 디엔 비엔 푸(Điện Biên Phủ)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프랑스가 무릎 꿇을 때까지 무려 7년 반의 세월이 흘렀다. 1954 항불 전쟁 이후 한편 북베트남은 어땠을까. 호찌민의 영도 하에 꾸준히 전쟁 복구와 경제재건이 이루어졌다. 동시에 남베트남을 대상으로 정치·경제·군사적 협상도 수차례 제의했다. 그때마다 고딘디엠 정권은 거부했다. 이처럼 친미정권이 반공정책을 강화하자 남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1960년 12월 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을 결성하고, 줄기차게 북베트남과 연계 투쟁을 전개했다. 베트남 전쟁기 그러나 호찌민이 이끈 베트남 군대는 무너지지 않았다. 그는 “미국의 살육에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 것인가”라는 어느 기자의 질문에 “20년, 혹은 100년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희생이 있더라도 끝내 이길 것”이라고 화답했다. 놀랍게도 1968년부터 미국은 휘청거리기 시작했으며, 1973년경 전쟁은 마침내 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1975년, 베트남 통일 무기보다 강한 베트남 민중의 신념이 제국주의를 물리치는 순간, 세계는 이 나라에 열광했다. 베트남 전쟁은 미제국주의의 침략적 본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상징으로 양심적이고 평화애호적인 세계인들의 가슴을 울렸다. 이 전쟁은 유럽의 68 혁명에, 미국과 일본의 반전운동에, 남미의 변혁운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성조기를 앞세우고 싸운 전쟁에서 한 번도 패한 일이 없다는 미국 군대의 오만무도함은 베트남전에서 여지없이 무너졌다. 당시 미국 군대는 전쟁에서 졌을 뿐만 아니라 정의의 편에 서지도 못했던 것이다. 다음 호에는 베트남 통일 후 미국의 경제보복,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 등으로 숨가쁘게 전개되는 베트남 현대사의 마지막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