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식품업체들이 글로벌 온라인 식품 시장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식품 시장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어 글로벌 온라인 식품 시장 규모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됨에 따라 선제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9일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업체들의 식품 시장 침투율(이미 형성되있는 시장에서 경쟁자의 소비자를 빼앗는 비율)은 2018년 12.3%에서 지난해 15.2%로 증가했다.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19.6%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1년에는 23.6%, 2022년에는 27.2%까지 침투율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형마트와 백화점에서 구매하던 식품을 쿠팡, 마켓컬리 등을 통해 구매하는 소비자가 크게 증가했고 이 같은 추세는 내년 이후에도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으로 풀이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온라인 업체들 식품 시장 침투율이 국내 시장 대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국 내 온라인 업체들의 식품 시장 침투율은 2018년 2.3%, 2019년 2.4% 수준에 불과했지만 올해 3.2%로 성장이 예상되고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3.9%, 4.9%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업체를 통한 식품 판매율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물류 기술의 발달과 빠른 배송 서비스 강화 등에 기인한다.

"품질을 신뢰할 수 없어서", "배송 이후 교환 또는 반품이 어려워서", "배송 과정 중 상품 파손 및 품질 저하 우려가 높아서" 등의 소비자 불만이 배송 기술의 발달로 줄어들 수록 온라인 식품 시장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고려할 때 국내 시장과는 달리 아직 온라인 시장이 자리잡지 않은 미국을 비롯해 유럽 주요국가 등 글로벌 온라인 시장의 고성장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뿐이지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볼 여지가 많다.

 
associate_pic4



이 같은 흐름을 미리 감지한 국내 식품 기업 중 일부 기업들은 현지화 전략 또는 K푸드 전략 등을 통해 벌써부터 해외 시장 확장 드라이브를 거는 모습이다.

먼저 농심은 해외 사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국·미국 현지공장에서 신라면 등 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다수 생산해 현지 온오프라인 채널에 공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의 경우 올해 미국 내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이 코로나19 여파로 무기한 연기됐지만 사태가 진정된 이후 미국을 비롯해 해외 주요 국가에 공장을 짓고 김치의 해외 사업 부문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만두를 앞세워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건강을 콘셉트로 출시될 예정인 더비비고를 앞세워 미국 시장은 물론, 중국·베트남 등 해외 사업 부문 강화에 나선다.

주류 시장에서는 하이트진로의 해외 시장 공략이 주목된다. 진로이즈백출시 1주년을 맞아 일본, 미국, 중국 등 7개국에 수출을 시작했으며 미국에서 진로의 TV 광고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김명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글로벌 온라인 식품 시장의 고성장을 예상한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자의 온라인 채널 의존도 심화와 온오프라인 유통사의 배송 서비스가 다양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온라인 식품 시장 성장은 우리나라보다 미국에서 더 유효하다"며 "미국은 온라인 식품 침투율과 소비자 인지도가 낮은 초창기 시장이기 때문"이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02 FTA 활용 성공 사례 화학제품 kimswed 7396 2022.03.05
701 중국 MZ세대, ‘탕핑’을 외치다 kimswed 6349 2022.02.17
700 인도 경제, 인도 상인 이야기(6) kimswed 5782 2022.01.30
699 ‘상표브로커’로부터 내 브랜드를 지켜라 kimswed 5416 2022.01.22
698 인도가 보인다 kimswed 4231 2022.01.01
697 바이어 신용정보 480만 개 연말까지 무료공개 kimswed 2359 2021.12.18
696 인도 비즈니스가 어려워 보이는 4가지 이유(2) kimswed 1534 2021.12.06
695 최성욱 센트비 대표이사 kimswed 1622 2021.11.24
694 차이나 비즈니스 육심원의 퍼플카우 전략 kimswed 1348 2021.11.22
693 중국 식품시장 10가지 트렌드와 4개의 유망시장 kimswed 543 2021.11.12
692 3억 중국인 잠재우는 ‘수면경제’에 주목 kimswed 436 2021.11.05
691 중국 지역상방 커뮤니티를 활용하라 kimswed 434 2021.10.25
690 제주 특산물, FTA 타고 세계로 kimswed 380 2021.09.22
689 데이터 비즈니스의 기회와 함정 kimswed 362 2021.09.17
688 팬데믹 덕본 아세안 온라인 식품시장 kimswed 330 2021.09.04
687 인도네시아에서 ‘할랄 김치’가 뜬다 kimswed 454 2021.08.07
686 온라인 패션업계의 거인이 화장품 시장에 진입 kimswed 347 2021.07.08
685 주식회사 석우 kimswed 457 2021.06.21
684 준비된’ 화상상담 kimswed 339 2021.06.12
683 중국에 지사를 설치하려는데 자격요건 kimswed 326 2021.05.25
682 국내 기업과 북미 바이어 매칭에서 성과나기 어려운 이유 kimswed 293 2021.05.20
681 C-뷰티’ 대표주자 퍼펙트다이어리의 성공비결 kimswed 344 2021.05.02
680 중국인이 좋아 하는 중문 브랜드 kimswed 422 2021.04.17
679 대중국 화장품 수출기업이 직면한 세 가지 kimswed 373 2021.03.13
678 중국에서 등록한 상표 ‘불사용 취소신청’ kimswed 375 2021.03.08
677 실무자 피드백이 즉각적인 역량 강화로 kimswed 575 2021.03.03
676 미얀마 진출 한국기업 피해 현실화 kimswed 326 2021.02.15
675 바이러스, 시장 풍경을 바꾸다 kimswed 507 2021.01.27
674 한국무역, 2021년 새해 달라지는 것 kimswed 284 2021.01.04
673 차이나 비즈니스 현지화 전략에 매몰 kimswed 303 2020.12.30